•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법연구회’ 소장본(本)『 옥추경』연구 - 문왕팔괘 단조직과 구인단기도 기도문 중심- (Research of Bulpopyonkuhoe Okchukyung)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8.06
38P 미리보기
‘불법연구회’ 소장본(本)『 옥추경』연구 - 문왕팔괘 단조직과 구인단기도 기도문 중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76호 / 123 ~ 160페이지
    · 저자명 : 이정재

    초록

    『옥추경』은 소태산이 각후 참고한 도가계 경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경은 참고한 정도가 아닌 수행과 사상적 영향을 끼친 정황이 드러나고 있다. 이 경 은 소태산이 자신은 물론 제자들의 수행을 지도할 때 많이 참고했던 경으로 보 인다. 특히 구인제자들과의 행했던 길룡리에서의 구인 단원기도식은 그 대표 적인 사안으로 추정된다. 이 기도의 방식은 조선대 독경신앙의 전통에 입각한 방식이었다. 한국의『 옥추경』 이본을 조사한 결과 불법연구회가 소장하고 있 는『 옥추경』 이본은 조선대에 유행하던『 옥추경』의 전승 전통과 일치함을 알 아보았다. 구중회가 시도한『 옥추경』의 이본연구로도 국내의『 옥추경』 이본 의 대강을 아는 데는 충분했으나 좀더 면밀한 분석은 요구되는 상황이다. 불법연구회의『 옥추경』 이본은 그림『 옥추경』이 아닌『 구천응원뇌성보화천 존옥추경』의 원본을 계승한 것으로 일체의 신상도, 부전 등이 없는 것이다. 이 는 순수 독경용 경책의 특징을 드러낸 것이다. 불법연구회는 독경을 한문음으 로 하지 않고 번역을 하여 사용하고 있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한문원본의 한글 화의 과정은 앞서 살폈듯이 자료 (1)-(4)-(2)-(5)의 순으로 이루어졌음을 밝혔다. 즉, 다음의 순이다.
    (1) 구천응원뢰성보화천존옥추보경(九天應元雷聲普化化天尊玉樞寶經) (4) 옥추보경(玉樞寶經)(표제: 보경해(寶經解)) (2) 구천응원뢰성보화천존옥추보경(九天應元雷聲普化化天尊玉樞寶經, 표제: 옥추해 (玉樞解)) (5) 옥추보경주해(玉樞寶經註解) (표제: 옥추보경(玉樞寶經)) 이렇게 만들어진 한글본이 실제 독경에 사용되었는가의 문제는 자료에 표 시된 표식을 분석하여 밝힐 수 있었다. 자료 5에 보이는 별도의 표식 “장 1, 건 3, 감 6, 간 7, 진 9, 손 10, 리 10, 곤 13, 태 14, 중 15(長 一, 乾 三, 坎 六, 艮 七, 震 九, 巽 十, 离 十, 坤 十三, 兌 十四, 中 十五)”은 소태산이 조직한 십인일단 조직과 일치하 며 그 사상적 기반이 문왕팔괘에 있었던 점도 일치하였다. 이공주와 김영신, 이경순의 방위별 기도식에 대한 언급도 이와 일치한다. 자료 5는 단조직과 유 관하고 기도식에 사용되었다. 방위별로 할당된 기도문이 서로 달랐던 점을 미 루어볼 때 길룡리 구인선진들의 기도식 과정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즉 소태 산은『 옥추경』을 구인선진기도의 기도문으로 활용하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Okchukyung is a book referring to sotaesan. However, this is not the case, but it is revealed that he has had self-discipline and spiritual influence. This book was used by sotaesan to teach himself and actively utilize his disciples. In particular, it is believed that the prayer ceremony among the nine disciples he did was typical. The format of this prayer was based on the traditions of the Dokkyeong religion performed during the Choseon Dynasty. I analyzed this type of Okchukyung in total and used relevant materials to explain. The result of my research in Okchukyung is as follows. The Okchukyung carried out by the Buddhist research group were consistent with the traditions of the Choseon Dynasty. The study of the Okchukyung Dr. Kujungheo tried was enough to ascertain the outline of the other Okchukyungs in Korea. However, a more detailed analysis was required and presented a separate set of Okchukyung for them. The book of Buddhist research group belongs to the original book, "Kucheoneungwon Neosungbohwacheonjon Okchukyung " not a picture of a book. The book contains no pictures of gods, bujak, etc. This is characteristic of genuine Dokkyeong measures. However, the Buddhist research institute does not have a Chinese character, but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was written in Hangeul. I studied the translation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 I found it in the order of data (1-) 2 - 4 - 5. That is the next order. (1) 九天應元雷聲普化化天尊玉樞寶經 (4) 玉樞寶經(Title: 寶經解) (2) 九天應元雷聲普化化天尊玉樞寶經(Title: 玉樞解) (5) 玉樞寶經註解(Title: 玉樞寶經) I looked at the question of whether this was actually used in real Prayer and was able to analyze the signs presented in the data. The separate markings shown on the data 5 are as follows. “長 一, 乾 三, 坎 六, 艮 七, 震 九, 巽 十, 离 十, 坤 十三, 兌 十四, 中 十五” This corresponds to the organization of the ten people he has organized, and coincides with Munwangpalgwae. It is also consistent with the prayers of Lee gongju and Kim yeongsin. In this way, we can sufficiently infer their prayers type. That is why the book used to refer to the book as the prayer ceremony among the nine discip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