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기도의 ‘귀환’동포사회와 한국살이:안산시와 시흥시 (‘Returned’ Korean Communities in Gyeonggi-do and Their Lives: Ansan and Siheung)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0.02
35P 미리보기
경기도의 ‘귀환’동포사회와 한국살이:안산시와 시흥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재외한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재외한인연구 / 50호 / 29 ~ 63페이지
    · 저자명 : 임영상, 림학, JOO DONG WAN

    초록

    2004년 재외동포법 개정과 2007년 실시된 방문취업제도로 중국동포들은 한국에 정착하기 시작했으며, ‘귀환’ 이주가 대세가 되었다. 2019년 현재, 재한 중국동포의 수는 이미 80만명을 넘어섰다. 한국내 고려인동포 수도 8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2017년 11월 15일행정자치부가 발표한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에 따르면, 경기도의 외국인주민은571,384명(총 1,764,664명 외국인주민의 32.4%)으로 서울시 404,037명(22.9%)보다 10% 이상 많다. 시‧군‧구별로는 경기도 안산시가 1위이고 시흥시는 6위이나, 인구 대비 외국인주민이 10%가 넘는 곳은 경기도에서는 안산시와 시흥시뿐이다.
    흔히 소수민족외국인주민집거지(ethnic enclave)는 낙후되고 위험한 게토(ghetto)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도 코리아타운과 같은 아시안 커뮤니티는 오히려 도시재생을 가져오기도 했다. 일본의 오사카 이쿠노에서는 일본의 지역상인과 한인상인들이 지역재생을위한 방안으로 ‘코리아타운’을 만들었고, 그 결과는 오사카의 명소가 된 바 있다.
    안산과 시흥의 중국동포사회는, 비록 최근의 일이기는 하지만, 자체 중국동포들만을 위한노력에 머무르지 않고 지역의 다문화공동체를 글로벌공동체로 만들어가는 노력을 기울이고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롤 모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안산의 고려인사회도 희망이 보이고 있다. ‘귀환’ 이주민인 중국동포와 고려인동포는 다른 나라 출신 외국인주민과는 달리한국사회에 또 다른 역할과 기여를 할 수 있다. 인구절벽과 남북협력 시대를 맞아서이다.
    한편, 고려인동포사회뿐만 아니라 중국동포사회도 중도입국자녀들의 교육 문제가 현안이되고 있다. 젊은 동포가정은 자녀가 중국에서 태어났건 한국에서 태어났건 중국어를 거의할 수 없는 한국인으로 자라나고 있다. 중국동포 자녀가 압도적인 다수를 이루고 있는 초등학교나 또 중고등학교도 중국어수업 등 중국어를 반드시 공부하게 하는 중국어 특화학교를운영할 수 있는 교육법의 개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필자들은 서울 대동초등학교나 영일초등학교 등 중국동포들이 다수 다니고 있는 학교를 전학년에 중국어로 배우는 중국어 특화학교로의 개편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단순히 중도입국 학생들을 위한 특별학급이나 방학 동안의 예비학교보다 전체 학생들이 이중언어를 공부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체제를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글로벌 인재로 키울수 있는 동포자녀의 교육문제에 경기도와 경기도 교육청이 더 함께 협력해야 할 때이다.

    영어초록

    With the revision of the Overseas Koreans Act of 2004 and the visiting employment system implemented in 2007, Korean Chinese began to settle in Korea and “return” migration became the mainstream. As of 2019, the number of Korean Chinese in Korea has already exceeded 800,000. The number of Korean Russian in Korea is estimated to be 80,000.
    According to the 「Regional Residents of Local Governments」 announced on November 15, 2017,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in Gyeonggi-do was 571,384 (32.4% of 1,764,664 foreign residents). It is 10% more than Seoul's 404,037 (22.9%). By city, county, and district, Ansan, Gyeonggi-do ranked first and Siheungi ranked sixth in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But only Ansan and Siheung in Gyeonggi-do exceed 10% of the population.
    Often, ethnic minority settlements (ethnic enclave) are considered obsolete and dangerous ghetto. But even in the United States, Asian communities like Koreatown have brought about urban regeneration. In Osaka Ikuno, Japan, local merchants and Korean merchants created ‘Koreatown’ as a way to revitalize the region, and the result has become a landmark of Osaka.
    The Korean-Chinese community in Ansan and Siheung will be new ‘roll models’. They are making efforts to make local multicultural communities into global communities. The Korean Russian society in Ansan is showing hope. Unlike the foreign residents from other countries, Korean Chinese and Korean Russian who are ‘returned’ migrants can play another role and contribute to Korean society. Their role is even greater in the age of South Korea's population cliff and the age of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 education problem of children who have entered Korea while studying is becoming an issue not only in Korean Russian community but also in Korean Chinese society. We have already insisted that the school, which is attended by a large number of Korean Chinese studnets, such as Seoul Daedong Elementary School and Yeongil Elementary School, needs to be reorganized into a specialized Chinese language school where students learn Chinese in all grades.
    Rather than just special classes for the students who have entered Korea while studying or preparatory schools during vacations, the whole school needs to have a new bilingual educational system. It is time for Government of Gyeonggi-do and Department of Education in Gyeonggi-do to cooperate together on the educational issues of Korean Chinese and Korean Russian children for their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