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인의 여가활동과 인지건강: 경기도를 중심으로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 Cognitive Health in Geyonggi Province)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2.12
15P 미리보기
노인의 여가활동과 인지건강: 경기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 14권 / 2호 / 51 ~ 65페이지
    · 저자명 : 김춘남, 박수현

    초록

    목적: 본 조사는 노인의 여가활동 실태를 파악하고 인지건강 측면에서 여가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여가활동 실태 조사는 2021년 6월 16일부터 동년7월 17일까지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 3,500명을 대상으로 1:1 면접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모집단은 통계청의 경기도 집계구 및 가구수 현황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표본은 지역과 성별, 연령을 고려한 10개 층으로 추출하였다.
    결과: 65세 이상 경기도 거주 노인의 가장 많은 여가활동유형은 휴식(73.4%)로 나타났으며 동반자 없이 혼자(38.7%) 수행한다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여가활동 참여빈도는 일주일에 몇 번(41.3%) 참여한다는 비율이 가장 많았고회당 평균 여가지출 비용은 11,122원이었다. 여가활동 기간은 응답자의 대부분(98.9%)이 1년 이상이었으며 주로 종교시설과 공터같은 기타시설의 이용 비중이 높았고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58.0%)’한다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가장 원하는 여가활동은 관광(28.9%)과 취미오락활동(23.35), 휴식(17.6%) 순이었다. 자원봉사활동은 응답자의 0.7%만 참여하고 있었으며 미참여 이유는 ‘관심 없음(45.2%)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경기도 노인의 99.3%는인터넷이 되지 않는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문자 수신(93.3%)과 발신(83.1%)의 활용률이 가장 높았다. 여가활동을 방해하는 요인은 경제적 지출 부담(3.41점)이 가장 많았으며 기후환경(3.34점), 시간부족(2.92점) 순이었다.
    결론: 적극적인 여가활동은 노년기의 고독감을 해소하고신체적, 인지적 건강상태를 증진시키며 사회적 관계를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노인이 소극적 여가를 넘어 삶의 가치와 보람을 적극적으로 추구할 수 있도록 ‘혼자 또 함께’ 하는 활동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지리적 한계와 노년층의 신체적 제한을 고려할 때 전자기기를 이용한 여가 컨텐츠개발을 통해 인지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한다. 이와 함께 지역사회 중심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공적인 영역의 역할과 함께 노인 스스로의 동기 부여와 여가 경력 개발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A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atus of leisure activities among the elderly and to seek policy proposals to support leisure activities in terms of cognitive health.
    A survey on the status of leisure activities was conducted in 3,500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living in Gyeonggi-do, in the form of one-on-on interviews from June 16 to July 17, 2021. The population was set based on the current output areas and number of households in Gyeonggi-do by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and the sample was extracted into 10 layers considering region, gender, and age.
    The most common leisure activity for the elderly aged ≥65 years was rest (73.4%), and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performed activities alone (38.7%) without companions was the highest. The most frequent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was “several times a week,” and the average leisure expenditure per session was 11,122 won. During the leisure activity period, most (98.9%) of the respondents were more than one year old , and the proportion of use of religious facilities and other facilities, such as open spaces, was high. Regarding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the response rate for “general satisfaction” (58.0%) was the highest. The most desired leisure activity was tourism (28.9%), followed by hobby entertainment (23.35%), and rest (17.6%). Only 0.7% of the respondents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ies, and the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that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response is “not interested” (45.2%). In Gyeonggi-do, 99.3% of the smartphone or cell phone users did not have Internet access, and the utilization rates of text reception (93.3%) and transmission (83.1%) were the highest . The economic expenditure burden (3.41 points) was the most common factor interrupting leisure activities, followed by climate condition (3.34 points) and lack of time (2.92 points).
    Active leisure activities relieve loneliness in old age, improve physical and cognitive health, and help maintain social relationships.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and physical limitations of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n alternative for managing cognitive health through the development of leisure content using electronic devices. In addition, the motivation of the elderly and the development of leisure careers are necessary, along with the role of the public domain in designing various community-centered progra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