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티베트어역 『화엄경』의 구성에 관한 고찰 (On the Structure of the Tibetan Buddhāvataṃsakasūtr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4.02
35P 미리보기
티베트어역 『화엄경』의 구성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41호 / 387 ~ 421페이지
    · 저자명 : 박보람, 전호련

    초록

    티베트어역 『화엄경』(이하 『장역화엄』)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준비단계로서 그 전체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기존 연구에서는 『장역화엄』을 처(處)·회(會)·품(品)의 관점에서 『팔십화엄』과 비교할 때 비록 품수는 다르지만 처와 회의 구성은 같다고 파악하였다. 그러나 필자가 살펴본 바에 의하면 7처 9회 39품의 『팔십화엄』과는 달리 『장역화엄』은 9처 11회 45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차이는 『장역화엄』에만 존재하는 두 품, ‘de bzhin gshegs pa phal po che'i le'u’(여래장엄품)와 ‘kun tu bzang pos bstan pa'i le'u’(보현보살에 의한 가르침의 품)를 독립된 장소에서 설해진 독립된 회로 볼 것인가에 따라서 생겨나는데, 이들 품과 앞·뒤 품의 교주[主]·장소[處]·대중[衆]과 관련된 경문을 비교·조사해 본 결과 이 두 품은 독립된 회로 파악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장역화엄』의 구성과 관련하여 데게(sDe dge)본 간기에서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티베트의 대학승 부퇸(Bu ston)은 『장역화엄』을 세존의 삼시교(三時敎) 가운데에서 가장 마지막의 완벽한 교설로서 평가하면서 이 경을 일곱 개의 품, 즉 「여래장엄품」·「금강당보살(金剛幢菩薩)의 회향(품)」·「십지(十地)의 가르침」·「보현행(普賢行)의 가르침」·「여래출현(如來出現)의 가르침」·「세계로부터 떠남의 품」·「꽃줄기장엄의 품」을 중심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방식과 동아시아 화엄교학의 분석을 비교해보면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으며 그것이 무슨 의미인지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 보았다.

    영어초록

    With all the importance of the Tibetan Buddhāvataṃsaka sūtra(TBA), there has not been a substantial amount of researches on that sūtra. This paper, as a preliminary study, examined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TBA. Until now, the places(處) and the assemblies(會) of the TBA have been regarded as identical to those of the Chinese Buddhāvataṃsakasūtra in 80 volumes(80-CBA) although these two sūtras have different numbers of chapters each other. However, I found that the TBA is made up with 9 places, 11 assemblies and 45 chapters as compared to 7 places, 9 assemblies and 39 chapters of the 80-CBA.
    This difference comes from if the two chapters of the TBA, ‘de bzhin gshegs pa phal po che'i le'u’(Adornment of Tathāgata) and ‘kun tu bzang pos bstan pa'i le'u’(Teaching by Samanthabhadra) which are included only in the TBA, not in the 80-CBA should be regarded as independent assemblies or not. In this paper, I asserted that these two chapters should be considered as independent assemblies preached in different places.
    The colophon at the end of the sDe dge edition of the TBA gives many precious imformation as for the TBA itself. According to this, Bu ston, a great scholar in Tibet, esteemed this sūtra as the final perfect one among the Buddha’s three-level teachings and analysed it focusing on the seven chapters among the 45 chapters. I compared this analysis with that of East Asian Huayan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