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唐京高句麗遺民의 私第와 葬地 (Analysis of residency and burial site in the epitaph of the refugees of Koguryo)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7.09
52P 미리보기
唐京高句麗遺民의 私第와 葬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27호 / 261 ~ 312페이지
    · 저자명 : 김수진

    초록

    고구려 유민 묘지명에 기록된 내용 중 官歷은 묘주의 당에서의 위상을 보여주는 가장 확실한 지표임이 분명하다. 그런데 묘지명에 기록된 私 第와 葬地역시 생전과 사후의 ‘공간’을 통해 묘주의 위상을 보여준다는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는데 그동안 단편적인 정보로 치부하고 주목하지 않았다. 장안과 낙양에 편적되었던 고구려 유민의 사제와 장지에 대한분석은 이주 이후 유민들의 실상을 파악하는 단서를 제공한다.
    장안성은 궁성, 황성, 외곽성으로 나뉘었고 외곽성은 다시 주작대로를기준으로 街西는 장안현, 街東은 만년현이 관할하였다. 외곽성에는 황족이하 관료에서 서민, 노비까지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거주하였다. 이러한 신분에서 비롯된 계층성은 공간에도 구현되었는데 당대 관인들은 가서보다는 ‘가동’을 선호하였고, 가동 중에서도 大明宮앞의 북부에 거주하기를 희망하였다.
    현재까지 장안성에서 확인되는 고구려 유민과 후손이 보유했던 사제는 모두 가동의 간선도로 상의 坊에 위치하고 있어 출입이 편리하고 지가가 높은 곳이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성안 최고의 고급 저택가는 대명궁의바로 남쪽, 궁성과 황성의 동쪽에 해당하는 가동의 북부 1~4열의 諸坊으로 이곳에 고제석, 천남생, 천비, 왕모중의 사제가 있었다.
    가동 북부는 고위 관료들의 주거지로 선호되면서 8세기 중반 포화상태에 이르러 이 시기 장안에 새롭게 진출한 관료들은 높은 품계를 갖고 있어도 진입하기 어려웠다. 고선지와 남단덕의 사제는 가동의 중부에있었다. 이들 집안은 대대로 변경에 거주하다 고선지와 남단덕 대에 이르러 장안에 편적되었기 때문에 정3품의 지위와 재력으로도 가동 북부에 진출하지 못한 것이다. 고선지는 가동의 선양방과 가서의 영안방에 사제가 있었는데 각각 본택과 별장으로, 이와 같이 ‘가동에는 본택, 가서에는 별장’을 소유하는 것은 당대 고위 관료들의 거주의 전형이었다. 고구려 유민과 후손들은 장안성 최상의 공간에서 관인 생활을 이어갔다.
    무주기 낙양이 정치 중심지가 되면서 고구려 유민들도 장안에 편적된지 20여년 만에 낙양으로 이주하였다. 고현, 천헌성, 고족유, 고모, 고질, 고자가 장안에서 낙양으로 이주하였고, 현종 대 이후에는 고흠덕, 고원망, 두선부(官舍), 고덕, 고씨 부인, 고진이 낙양에 거주한 것으로 확인된다. 왕모중의 사제와 이사도의 留後院도 낙양에 있었다. 낙양성은 장안성과 달리 서민가와 관료가라는 거주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았기 때문에 고구려 유민의 거주지 역시 특정 지역에 편중되지 않고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고구려 유민들이 낙양으로 이주하게 된 가장 큰 동인은 ‘관료’로서神都에서의 정치에 참여했기 때문이었다.
    장안이라는 공간은 일견 개방적인 듯하지만 폐쇄적이고 특권적이었는데 이러한 공간적 특성은 장지를 통해 사후에도 이어졌다. 당대에는성안의 거주지와 성 밖의 장지가 같은 생활권 속에 있었다. 가동에 거주한 고구려 유민들은 5품 이상, 그 중 다수는 3품의 관료로서, 장지는 東 郊에 마련되었는데 가동 북부에 거주한 고관과 환관의 장지가 주로 동교에 조성되었던 양상과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의 생전과 사후의 편적지는 모두 만년현으로, 생전의 공간적 차별성은 사후에도 이어졌다. 무주기에 낙양으로 이주한 고구려 유민들은 관인으로서 정치에 참여하다 자연스럽게 邙山에 장지를 마련한 경우들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An epitaph on a tombstone provides about personal information the deceased such as residency and burial site, which was considered to be subsidiary records. However the record of private residence and burial site demonstrates the spatial stature of one’s lifetime and the other side. The epitaph on the tombstones in Chang’an and Luoyang involves significant clues to trace of the refugees of Koguryo.
    The bureaucrats of Tang preferred to reside at the east side of the main road of Chang’ancheng. High ranking officials resided at the northen region in front of Daminggong, which was known as the Gold Coast of Chang’ancheng. Owning a residency in the northeastern district in Chang’ancheng, implied power and wealth. The refugees of Koguryo and there descendants such as, Ko Che-sŏk(高提昔), Ch’ŏn Nam-saeng(泉男生), Ch’ŏnbi(泉毖) and Wang Mo-chung(王毛仲) resided in the northeastern district. As this relevant district became popular, the neighborhood was already overcrowded around the mid 8th century. In that time, Ko Sŏn-chi (高仙芝) and Nam Dan-tŏk(南單德), who advanced into Chang’ancheng had no choice but to reside at the central district although they were high ranking officials. High ranking officials generally owned a main house in the northeastern district, and a villa in the western district. Ko Sŏn-chi also owned a main house in the northeastern district, and a villa in the western district.
    The refugees of Koguryo also resided in Luoyang. As the governmental center moved to Luoyang at the Wu Zhou Period, the refugees engaged in the government also moved. Ch’ŏn Hŏn-sŏng(泉獻誠), Ko Mo(高牟), Wang Mo-chung(王毛仲), Ko Tŏk(高德), Mrs. Ko(高氏夫人), Ko Chin(高震), and Yi Sa-to(李師道) were verified as refugees of Koguryo and their descendants, who resided in Luoyangcheng. However, the residential areas were not classified by social classes as Chang’ancheng, and the refugees’s residency showed no tendency as well.
    Burial sites were usually constructed in the suburbs nearby residence. The residents of the northeastern district were mostly in Donggyo(東郊), the east suburb. The high ranked refugees’s burial site also shows an identical pattern. Spatial discrimination during lifetime continued after death.
    Meanwhile, the refugees who moved to Luoyang as bureaucrats, generally constructed their burial sites in Mangsh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