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인사 대장경판과 『대방광불화엄경』 인출- 남해 부소암 소장 『대방광불화엄경(진본)』 권53 사례 - (Printing of Haeinsa’s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and the Avatamsaka Sutra:The Case of the Avataṃsaka Sutra (Jin edition) Vol. 53 Owned by Busoam Hermitage in Namha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2.12
25P 미리보기
해인사 대장경판과 『대방광불화엄경』 인출- 남해 부소암 소장 『대방광불화엄경(진본)』 권53 사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54호 / 31 ~ 55페이지
    · 저자명 : 한홍익

    초록

    경남 합천군 소재 법보종찰 해인사는 신라 애장왕 3년(802) 순응스님에 의해 창건되었다. 이후 이정․희랑․관혜․의천 등 고승 대덕이 해인사에 주석하면서 화엄을 중심으로 수행과 교화를 전승해 왔으며 화엄십찰로 자리매김 하였다.
    이로 인해 해인사는 『三本華嚴經』을 비롯한 다양한 『화엄경』경전을 소장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 글에서는 해인사 소장하고 있는 『대방광불화엄경(진본)』목판 3종을 연구하던 중 경남 남해 부소암 소장 『대방광불화엄경(진본)』권53 인경본을 사례를 상호 비교 검토하면서 부소암 소장 『대방광불화엄경(진본)』권53의 형태․서지학적 검토와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남해 부소암은 대한불교조계종 10교구 영천 은해사 말사이며, 소장본 『대방광불화엄경(진본)』권53 인경본은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736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먼저 부소암 소장 『대방광불화엄경(진본)』권53 인경본에 새겨진 외형적 형태와 서지학적 내용을 정리한 다음 書體, 函次, 刻手名 으로 비교 검토 기준을 확정하면서 현존하는 해인사 소장 3종 『대방광불화엄경 (진본)』을 비교 대상 경전으로 확정하였다. 부소암 인경본과 동일한 經典, 卷, 張을 확정하였으며 해당 권․장차가 부재시에는 동일한 경전에서 다른 권․장차와 서체를 비교하면서 동일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러던 중 해인사 소장 <사간 중복 065>로 분류된 『대방광불화엄경(진본)』권51을 새롭게 확인되면서 비교 목판을 3종에서 4종으로 변경 확정하여 함께 비교 검토하였다.
    부소암 소장 『대방광불화엄경(진본)』권53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인경본에 새겨진 서체와 함차, 각수명 등으로 해인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4종의 『대방광불화엄경(진본)』가운데 유일하게 <사간 중복 065>로 분류된 『대방광불화엄경(진본)』권51이 형태․서지학적 특징으로 동일한 경판으로 확정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였다.
    그러면서도 숙종 3년(수창4, 1098)조성된 『대방광불화엄경(진본)』권45이 해인사 스님인 시주로 조성하였다는 사실을 새롭게 확인하면서 고종 23년(1236) 국책사업으로 조성된 『팔만대장경』조성 시기보다 앞서 조상한 사실과 함께 이미 해인사에서는 경판을 조성할 수 있는 인적․물적 자원을 확보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남해 부소암 소장 『대방광불화엄경(진본)』권53은 새롭게 발견된 인경본으로 현재 확인되는 한편 동일한 서지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경판과의 관계와 함께 희소본의 가치도 확보하였다. 또한 해인사에서 분류되고 있는 사간판의 분류 체계를 재조사할 필요성과 향후 해당 경판을 복원하는데 있어서 원천텍스트로 활용할 수 있는 희소적 가치도 함께 확보하였다.

    영어초록

    Located at Hapcheon-gun, South Gyeongsang Province, Haeinsa Temple (Korea’s Dharma Jewel Temple) was established by Ven. Suneung in 802 in the 3rd year of the reign of Silla’s King Aejang. Presided by eminent resident monks such as Ijeong, Huirang, Gwanhye, and Uicheon, Haeinsa Temple continued practice and edification activities focused on Hwaeom (Avataṃsaka), eventually establishing itself as one of the ten major Hwaeom temples in Korea.
    This status enabled Haeinsa Temple to secure and own diverse types and editions of the Avataṃsaka Sutra including the three types of the Avataṃsaka Sutra.
    In this study I performed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the three types of woodblocks of the Avataṃsaka Sutra (Jin edition) owned by Haeinsa Temple and the printed copy of the Avataṃsaka Sutra (Jin edition) Vol. 53 owned by Busoam Hermitage in Namhae; and I investigated the external form, bibliography and values of the latter.
    Busoam Hermitage in Namhae is a branch temple of Eunhaesa Temple in Yeongcheong, the head temple of the 10th district of the Jogye Order. The Avataṃsaka Sutra (Jin edition) Vol. 53, which it owns, has been designated as a general treasure by the Korean government.
    First, I organized the external form and bibliographic content as appeared in the printed copy of the Avataṃsaka Sutra Vol. 53 (Jin edition, owned by Busoam), and established the categories of comparative investigation such as calligraphy styles, case IDs, and engraver names. As its comparison sutra, I chose the 3 types of the Avataṃsaka Sutra (Jin edition, owned by Haeinsa). From these three types, I tried to find the identical sutras, volumes, and chapters with the printed copy of Busoam; when corresponding volumes and chapters were not found, I consulted other volumes, chapters and calligraphy styles in the same sutra to check whether they are identical or not. In the midst of my study, I discovered the Avataṃsaka Sutra Vol. 51 (Jin edition, owned by Haeinsa), which was categorized as the “temple-produced duplicated woodblocks 065,” and I was able to expand my comparison sutras from the previous 3 types to the 4 types.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Avataṃsaka Sutra Vol. 53 (Jin edition, owned by Busoam) was the calligraphy style, case IDs, and engraver names of the printed copy;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I was able to confirm that this printed copy was the same sutra, in terms of form and bibliography, as the Avataṃsaka Sutra Vol. 51 (Jin edition, owned by Haeinsa), the only identical case among the 4 types of the Avataṃsaka Sutra (Jin edition) owned by Haeinsa.
    I also newly discovered that the Avataṃsaka Sutra Vol. 45 (Jin edition, owned by Haeinsa) was produced in 1098 based on the donation of a monk at Haeinsa Temple, which was earlier than the production of the Tripitaka Koreana in 1236 as a national project. This confirms that Haeinsa had already secured sufficient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o inscribe scriptural woodblocks.
    Accordingly, the Avataṃsaka Sutra Vol. 53 (Jin edition), owned by Busoam Hermitage in Namhae, has been confirmed as a newly discovered printed copy, and its value as a rare edition was confirmed along with its relation with the woodblocks which have identical bibliographic elements. I also found the need to reinvestigate the categorization system of temple-produced woodblocks at Haeinsa, and the printed copy of Busoam can be used as a source text when the corresponding woodblocks are restored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