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계 유형원의 여리경과 체국경야 - 마을과 도시, 그리고 국가개혁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Yeorikyoung(閭里頃) and Chekukkyoungya(體國經野) of Bangyae Yu Hyeong-Weon(磻溪 柳馨遠)- With Focus on Village, Town, and Reformation of State -)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3.12
46P 미리보기
반계 유형원의 여리경과 체국경야 - 마을과 도시, 그리고 국가개혁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67호 / 283 ~ 328페이지
    · 저자명 : 최윤오

    초록

    『磻溪隨錄』은 17세기 반계 유형원의 실학적 토지개혁론을 담고 있으며 동시에 공전제[정전제]를 통해 이상적인 국가건설론을 그려내고 있었다. 특히 그의 공전제 토지개혁론은 閭里頃의 구성을 통해 그 특징이 잘 나타나 있으며, 마을 단위의 토지와 주민의 생활공동체 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여리경이란 1경에 민호 20호 정도의 주거공간으로서 일반적으로 마을공동체로 불리는 촌락이며, 주변 토지는 여리경의 생산공간이기도 하다. 여리경은 일종의 촌락공동체이지만 토지공유제를 기반으로 하며 노비노동 대신 고용노동이 기반을 이루는 삶의 공간이다. 또한 공전제 농민은 농병일치제를 통해 군역을 지게 되며 제반 부역은 토지단위를 통해 징발된다. 閭正이나 里正은 양민 가운데 나이 많고 근면정직한 자를 자치적으로 선발하였고 面의 鄕正은 새로운 사류층을 선발하여 운영을 맡겼다. 養民과 養士를 통해 공전제를 완성시키려 했다.
    여리경 마을공동체는 상위의 城邑頃 도시공동체의 기초단위를 이루며 군현제의 최하 단위였다. 여리경 마을공동체의 재생산구조는 站店頃과 鋪子, 즉 장시유통망을 통해 확대될 수 있도록 구획되었다. 공전제국가는 이같은 여리경과 성읍경을 농민의 자치적인 공동체로 만들어갈 수 있도록 법제장치를 마련하였으며 그 원리를 『周禮』의 ‘體國經野’에서 찾고 있었다.
    여리경 마을공동체는 아래로부터 조직된 촌락공동체였으며 성읍경 도시공동체와 공전제국가의 최하 단위로 구획되었다. 여리경에 관한 구상은 1798년 다산 정약용에 의해 공동농장 형태의 여전론으로 발전하였고, 농민의 확대재생산을 보장할 수 있는 공동체 이론으로 체계화되었다. 본고는 반계 유형원의 토지개혁론을 통해 농민공동체인 마을과 도시, 그리고 국가의 공간구성을 정리해보고자 했으며 그것을 17세기 마을공동체의 특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Bangyae Yu Hyeong-Weon(磻溪 柳馨遠) spread in BangyeSoorok(磻溪隨錄) not only the land reform theory but also the ideal reformation of state by Gongjeonje(公田制). Especially, Gongjeonje(公田制) was characterized by Yeorikyoung(閭里頃)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whole village's residence and the farmland divided per village.
    Yeorikyoung(閭里頃), which is now commonly regarded as a kind of village community, is a shared residence space of a village that is made up of 20 houses per Kyoung(頃). The villagers cultivate farmland which is called Jeonyakyoung(田野頃) and located around Yeorikyoung(閭里頃) not by the slavery system. Also, they have a duty of military service and pay taxes on the farmland. Yeojung(閭正) and Lijung(里正) who are the representatives of Yeo(閭) and Li(里) are elected among the elderly and the diligent in Yangin(良人). However, Hyangjung(鄕正) who is the representative of Myoun(面) is elected among Sa(士). All of these are the ways of complement the state based on Gongjeonje(公田制) by raising Min(民) and Sa(士).
    While Yeorikyoung(閭里頃) is the lowest district unit of the Prefecture-Country System(郡縣制), Sungeupkyoung(城邑頃) constructed by the similar way of Yeorikyoung(閭里頃) is a shared residence space of Eupchi(邑治). Furthermore, Chamjumkyoung(站店頃) and Poja(鋪子) established in traffic and commercial points distributes material supplies. Surely, the state based on Gongjeonje(公田制) prepares the system to make Yeorikyoung(閭里頃) and Sungeupkyoung(城邑頃) autonomous. To support these ideas Bangyae Yu Hyeong-Weon cited the rule of Chekukkyoungya(體國經野) on Jurye(『周禮』).
    The idea of Yeorikyoung(閭里頃) developed Dasan Jungyakyong(茶山 丁若鏞)'s Yeojeonje(閭田制) which was suggested in 1789 as a kind of a cooperative farm. In this theory, he systemized some ways to guarantee the expansive reproduction of farmers.
    This article focused on the organization of space in Bangyae Yu Hyeong-Weon(磻溪 柳馨遠)'s land reform theory. Resultingly, he conceived Yeorikyoung(閭里頃) as a village community in 17th century, and tried to expand and apply the organization in the whole st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