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경(詩經)』 속 춤동작의 문예적 표현 탐구 (Shijing 時經 Explore Literary Expressions of Dance Move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9.12
16P 미리보기
『시경(詩經)』 속 춤동작의 문예적 표현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 예술 / 7호 / 111 ~ 126페이지
    · 저자명 : 김미영

    초록

    본 논문은 『시경(詩經)』에 전하는 춤동작을 묘사한 문예적 표현을 추출하고 그 의미를 탐구하여 춤의 미학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시경』에 전하는 춤동작의 문예적 표현을 추출하고, 이어서 여러 註释을 바탕으로 그 언어들의 의미를 면밀하게 살펴보았다.
    그 결과 빠르고 날렵한 도약의 춤동작을 묘사한 ‘용약(踊躍)’, 절도에 얽매이지 않고 여유 있게 덩실거리는 춤동작을 표현한 ‘준준(蹲蹲)’, 정형화 되지 않은 취무(醉舞)의 모습을 묘사한 ‘선선(僊僊)’을 추출했고, 또 잔치 자리에서의 취무의 모습을 묘사할 때에도 쓰이고, 또는 새가 날갯짓을 하듯 넓은 소매를 양옆으로 펼치며 너울너울 춤추는 회무(回舞)를 묘사할 때에도 쓰인 ‘기기(僛僛)’ 등을 추출할 수 있었다. 특히 무당의 신들린 몸짓과 같이 격렬하게 몸을 흔들고 뛰고 도는 춤동작과 늦은 밤 달빛 아래에서 다소 몽환적인 느낌을 주는 춤을 묘사한 ‘파사(婆娑)’는 무무(巫舞)의 성격이 강하게 표현된 춤동작 언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경』의 시어는 동아시아 전 영역의 지식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고, 그 증거는 그들의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미가 다소 바뀐 것도 있지만 큰 틀에서 보면 대동소이하다. 그러므로 『시경』은 동아시아 춤동작 언어의 시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춤동작 언어를 구축하기 위한 초석을 그 시원에서부터 다지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연구 결과를 발판으로 춤의 가장 기본이자 핵심인 춤동작에서 춤의 미학적 고찰을 시작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ed to extract the literary expression of the dance movement language of 『詩經』 and find out its meaning to lay the aesthetic foundation of dance. So The study extracted the language of dance movements and carefully examined the meanings of the languages through various applications.
    As a result, the study was able to extract “踊躍” depicting fast and agile dance moves, “蹲蹲” expressing dance moves that were not tied to theft, “僊僊” depicting unformed movements of dance, or “醉舞,” or “僛僛,” which was used to describe tasks that were performed at parties, or when the bird spread its wide sleeves on both sides In particular, the dance moves that shake and run violently, such as the shaman’s grooved gestures, and the dance moves that give a somewhat dreamlike feel under the moonlight at night are drawing attention in that the character of 巫舞 is a strongly expressed dance movement language.
    『詩經』’s 詩語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intellectuals of East Asia, and it can be found in their literature. The meaning of 『詩經』’s 詩語 has changed somewhat today, but it is largely the same in the big picture. Therefore, 『詩經』 is the origin of East Asian dance mov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foundation for building the language of dance movements from the pub.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basis for starting aesthetic examination of dance in dance movements, which are the most basic and core of d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