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槐園 李埈의 <丹陽十景次武夷櫂歌韻>에 대한 고찰 (A Study on GoeWon(槐園) Lee, Jun(李埈)'s )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8.08
41P 미리보기
槐園 李埈의 &lt;丹陽十景次武夷櫂歌韻&gt;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25권 / 285 ~ 325페이지
    · 저자명 : 이상주

    초록

    槐園 李埈(1812~1853)은 1850년에 <丹陽十景次武夷櫂歌韻>을 지었다. 필자가 현재까지 확인한 바, 丹陽八景系 漢詩는 이준의 이 詩가 유일하며 가장 앞섰다고 보아야한다.
    이준은 衛正斥邪를 주장한 李恒老(1792년~1868)의 장남이다. 그는 家學을 통해서 尊華攘夷意識과 道統意識을 계승했다고 본다. <濕遊日錄>를 읽어보면, 그는 驪州 牧溪 堤川 丹陽지방을 여행하면서 宋時烈 權尙夏 禹倬 李滉 등 도학자들을 모신 서원과 유적을 탐방했다. 이런 일련의 정황이 이준으로 하여금 단양십경을 정해 시를 짓게 한 것으로 보인다.
    이준의 <丹陽十景次武夷櫂歌韻>의 제목은 팔경과 구곡을 감안하여 붙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준은 단양십경에 제4경을 중선암, 제10경을 역동서원으로 삼았다. 제4경 중선암은 권상하가 명명했는데, 그는 팔경을 정하지는 않았다. 제 10경은 역동 우탁을 모신 역동서원이다. 이준은 道統과 관련이 있는 유적과 명승지를 중심으로 10경을 설정했다.
    이준이 丹陽十景에 포함한 기존의 명승지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지은 시는, 거의 자연 명승의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묘사하였다. 그런데 이준은 10개 景에 대한 실경을 묘사하면서, 거의 그 景의 명칭과 그 景의 형상에 관련이 있는 내용이나 유학경전에 들어있는 用語를 인용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볼 때 이준이 <丹陽十景次武夷櫂歌韻>을 지은 이유는, 도학의식을 공고히 하고, 읽는 사람에게도 그런 의식을 고취앙양하기 위해서였다고 할 수 있다. 7언 절구라는 짧은 시에 그 내용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故事를 사용하여 비유적으로 묘사한 면이 있어 문예미도 양호한 편이다. 이런 점이 李埈의 <丹陽十景次武夷櫂歌韻>은 특징이라고 그 팔경계문학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영어초록

    GoeWon(槐園) Lee, Jun(李埈,1812~1853)'s <Danyangsipgyeongchamuidogaun(丹陽十景次武夷櫂歌韻)> had composed in 1850. The author, I have confirmed until now, Danyangpalgyeonggye Chinese poem(丹陽八景系 漢詩), that is to say, this Lee, Jun's poem(詩) has to see as unique and the most advance.
    Lee, Jun is a elder son of Lee, Hangno(李恒老 1792~1868) who had insisted on ‘Wijung Chuksa(衛正斥邪: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He had succeeded to Jonhuayangiuisik(尊華攘夷意識) and Dotonguisik(道通意識) through family study(家學), I think. He had toured at regions of Yeoju(驪州), Mokgye(牧溪), Jecheon(堤川) and Danyang(丹陽) and had visited remains and Seowon which served the Taoist scholars such as Song, Siyeol(宋時烈), Gwon, Sangha(權尙夏), Wu, Tak(禹倬), and Lee, Huang(李滉). It seems that this sense made compose poems after decision of Danyangsipgyeong(丹陽十景).
    Lee, Jun's <Danyangsipgyeongchamuidogaun (丹陽十景次武夷櫂歌韻)>title can be seen as attaching of consideration in Palgyeong(八景) and Gugok(九曲). Lee, Jun made of the 4th Gyeong(景) was Jungseonam and of the 10th Gyeong(景) was Yeokdong Seowon among the Danyangsipgyeong(丹陽十景). The 4th Gyeong(景) Jungseonam had named by Gwon, Sangha, he did not arranged the Palgyeong(八景). The 10th Gyeong(景) is Yeokdong Seowon which served Yeokdong Wu, Tak. Lee, Jun had selected 10 Gyeong(景) with centering of a famous sight and remains related in Taoism(道學). Other poets composed poems about Lee, Jun's Danyangsipgyeong(丹陽十景)including existing famous sights which were almost described figuratively the natural famous sights beauty. By the way Lee, Jun had quoted the term which included Confucianism Scriptures(儒學經典) or the contents of related Gyeong(景) Configuration and Gyeong(景) name almost, as he had described the real sceneries about 10 each Gyeong(景). As we generalize the above contents almost, we can think that the reason of Lee, Jun had composed<Danyangsipgyeongchamuidogaun(丹陽十景次武夷櫂歌韻)>was in order to be consolidative the Taoism sense, and to inspire and enhance the sense for the readers. In a quatrain with seven characters to line like short poem which expressed the contents that described figuratively, and the beauty of arts is favorable side. This point can be given the Palgyeonggye(八景系) literary meaning as the feature of Lee, Jun(李埈)'s<Danyangsipgyeongchamuidogaun(丹陽十景次武夷櫂歌韻)>.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과 해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