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능엄경』과 유불회통 -조선 초-중기 유불지식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The Śūrańgama-sūtra (楞嚴經) and the Korean Convergencial Universal Mind Theor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3.03
24P 미리보기
『능엄경』과 유불회통 -조선 초-중기 유불지식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74권 / 57 ~ 80페이지
    · 저자명 : 박정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능엄경』이 조선 초-중기 유불지식인들 모두에게 널리 읽히고중시되었던 현상을 주목하고 그것을 유불회통의 핵심 내용과 관련지어 철학적으로이해하는 데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2가지 의문이 제기된다. 첫째, 유교인들이 『능엄경』을 통해 어떤 내용을 수용하였으며 그 내용이 불교비판이라는 당시의 통념과는어떻게 구분되는가? 둘째, 이 시기의 유불회통의 내용과 관련하여 계환의 『능엄경』 주석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가? 조선 초-중기 유교지식인들은『능엄경』을 ‘신앙’으로 수용한 것 이상으로 학문적 탐구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그들은『능엄경』을 주로 『주역』이나 『중용』과 비교하여 분석하고 있는데 불교인들도 유교의 심성 논의의 핵심 내용을『능엄경』의 관점에 비추어 이해하고 있다. 『능엄경』에서 묘정명심은 생멸심을 일으키는 근원이 되는 불생불멸의 깨달음의 성품, 즉 아뢰야식 내지 진여심이다. 이 심은 인간과 세계를 만들어내는 우주심이어서 존재하지 않는 곳이 없지만 이 각성의 총체를 깨닫지못하기 때문에 ‘두 가지 장애’에 얽매이게 된다. 그러므로 능엄경 에서 강조하는공부는 묘정명심을 시작부터 끝까지 ‘동일한 내용’으로 삼아 장애를 풀어나가는 ‘법공’의 과정이다.
    조선 초-중기 유교인들은 성과 정을 총괄하는 심인 ‘심통성정’ 논의를 전개하면서 심이 만물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근본적인 지위를 갖는다고 보았다. 그들은 우주 만물의 생성의 근원인 태극의 지위, 그리고 공부의 출발과 궁극 표준이 되는 심의지각활동인 ‘미발지각’의 존재를 통찰한다. 이러한 유교인들의 심성 논의의 심화는그들로 하여금 ‘작용시성’의 불교는 경계하면서도『 능엄경』의 묘정명심은 수용하고 회통하게 했다. 이 과정에서 계환의 주석에 담긴 ‘유식-여래장’적 관점은 두 가지장애를 번뇌장과 소지장으로 구체화하고, 장애를 풀어가는 공부 과정을 유교의 미발함양 공부와 회통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fact that many Confucianists had read and studied the Śūrańgama-sūtra (楞嚴經) during the early-middle Joseon dynasty for the view of the Korean Convergencial Universal One Mind Theory between Buddhism and Neo-Confucianism. I will mainly discuss two questions. Firstly, which points in the text’s teachings do Confucianists agree with and why? Secondly, what role did Gyewhan’s commentary play along the way? Joseon Buddhist priests and Confucianist scholars approached the Sutra not only through naive faith, but also as a philosophical academic text. The Śūrańgama-sūtr a helped opponents understand each other’s texts. The Concept of “spiritually pure bright mind” (妙淨明心) in the Sutra is truly the ultimate reality, which can generate all kinds of universal things. However, we cannot easily perceive this mind’s existe nce, so we usually have two obstructions—both affective and cognitive. Therefore the discipline of the Śūrańgama-sūtra is untying those obstructions to the light of the real mind.
    Numerous Confucianists developed arguments based on the Sutra’s teachings to clarify or develop their own Universal Mind Theory during the early-middle Joseon dynasty, despite the national policy of suppressing Buddhism. They recognized mind as the ultimate entity (太極, taegeuk) or the transcendental leading spiritual activity (未發知覺, mibaljigak). Although the Confucianists criticized some assertionsof Zen Buddhism, they basically accepted the Sutra’s ontology and discipline.
    Furthermore, Gyewhan’s commentary helped Buddhist priests and Confucian scholar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n obstruction to arising caused by misassumptions regarding the nature of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