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화경』 「견보탑품」에 나오는 寶塔의 상징성 고찰 (The Study on The Symbolism in The Chapter Apparition of a Stupa in The Lotus Sutr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3.08
30P 미리보기
『법화경』 「견보탑품」에 나오는 寶塔의 상징성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35호 / 231 ~ 260페이지
    · 저자명 : 차차석

    초록

    『법화경』의 「견보탑품」에는 땅속에서 솟아나와 허공에 머물러 있는 보탑이나온다. 본고는 그 寶塔의 상징성과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내용을 요약하자면,첫째 사상적인 차원에서는 『바가바드기타』와 같은 인도사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보지만 그것을 불교적인 시각에서 재해석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대지를 뚫고 보탑이 솟아나왔다는 점에서 많은 사상가들은 大地를 心地,無明, 삼계육도의 범속함으로 해석하고자 했다. 그리고 보탑이 허공에 머물러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법신불이 시공을 초월해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하거나대상의식을 탈각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셋째 중국을 대표하는 법화사상가인 천태, 길장, 규기는 중국 전통의 체용론을응용하여 방편과 진실이란 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불타가 구원의 주체이며, 그 구원이 시공을 초월해 존재해야 한다는 점에서접근하고 있지만 세밀한 입장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넷째 사리탑과 달리 보탑 속에 다보여래가 앉아 있으며, 나아가 석가불과 한자리에 앉게 된다는 이불병좌는 초기불교에서 중시한 ‘법의 상속’과 교단의 정통성계승이란 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과거불과 현재불의 통일 내지 통합을통해 기존교단을 포용하고, 새로운 불교적 가치를 지향하는 법화불교의 사상적경향을 잘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말할 수 있다. 적어도 새로운 불교운동인법화불교가 지향하는 방향을 불타론과 결부시켜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견보탑품」의 내용은 인도의 전통신화 내지 사상, 초기불교의 교단상황, 그리고 법화운동가들의 종교적 의지가 융합되어 있다. 그런 만큼 신화적이고상징적인 표현이 농후해 이해하기 어려운 점도 있지만 인도의 문화, 사상적 배경과불교교단의 전개라는 점을 감안하면 보탑이 지니는 다양한 상징성을 읽을 수 있는것이다. 그것도 법화불교가 지향하는 방향을 분명하게 알려주고 있다.

    영어초록

    There is the story on a stupa in the sky which is aroused from a place on the earth in the chapter apparition of a stupa in the Lotus sutra. This paper’ aim is the consideration on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tupa.
    To sum up, the first, in the point of thought, the story on the stupa may be able to be seen as the effect of Indian thought, but it is reinterpreted in buddhist view point. The thinking that Dharmakaya(the body of truth, or Buddha) is in the stupa, not sarira(Sacred relics of the Buddha), which is resulted from the effect of absolute monism of Brahmanism made the object for the salvation and devotion of Buddhism something transcendental and monistic.
    The second, many thinkers have desired to interpretate the earth as the mindground, the ignorance(avidya), and the mediocrity of the world in the reason that the stupa was aroused from the earth. And, from the fact that the stupa is in the sky, they understood dharmakaya-buddha is transcendental to time and space, and free from objective consciousness. The way to read the text as above made the symbolic meaning more important than a reading literally, and have opened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 different interpretations.
    The third, three representative thinkers on the Lotus sutra in China as Tientai, Jizang, and Kuiji showed the tendency of reading the story on the stupa in the point of the skilful device(upaya) and the truth through traditional theory of substance and function in China. They are similar to the point that Buddha is a main agent of the salvation,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a detailed analysis.
    In such detailed point, Tientai interprets the stupa in the sky as the dharmakaya in the state of the factual reality(dharmata), but Jizang emphasizes, on the ground of logical analysis, that dharmakaya is the true nature of the Middle Way. The thinkers above interpret the voice from the stupa also in the point of the skilful device(upaya) and the truth, but we can also interpret it as a inner voice by buddhist strong faith and practice will, as it were, a voice of faith and a great aspiration in Mahaprajnaparamita Shastra.
    The fourth, we can understand that the sitting of the Buddha of abundant treasure(Prabhutaratna) in the stupa diffrently with sarira stupa in which there is sarira, buddha's bone. and the sitting together of Sakyamuni and Prabhutaratna shows the transmission of Dharma and the succession of the legitimacy of buddhist order which are putted emphasis on in early buddhism. And we can say that the unity of the past-buddha with the present-buddha symbolizes the ideological tendency of the Lotus sutra philosophy that desired to accept old buddhist order, and aim new buddhist value.
    The chapter apparition of a stupa involves the traditional myths and thoughts in India, the circumstance of early buddhist order, and a religious faith of the Lotus sutra thought activists. So although we would be not able to understand the story, because of symbolic and mythical expressions of it. but we can read the symbolism of the stupa in it in the point of the background of Indian culture and thoughts, and the development of buddhist or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