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佛國寺 금동아미타불상과 금동비로자나불상 新硏究 - 圖像 再考와 尊格의 화엄교의적 解釋을 중심으로 (A New Study of the Gilt-bronze Amitabha Buddha Statue and Gilt-bronze Vairocana Buddha Statue at Bulguksa Temple - Focusing on the Reconsideration of the Iconography and the Avatamska Doctrinal Interp)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1.03
44P 미리보기
佛國寺 금동아미타불상과 금동비로자나불상 新硏究 - 圖像 再考와 尊格의 화엄교의적 解釋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31권 / 37 ~ 80페이지
    · 저자명 : 서지민

    초록

    본고에서는 불국사 금동아미타불상과 금동비로자나불상에 대한 다양한 학설 중에서 합의되지 않거나 적절하나 해명이 이루어지지 못했던 불상의 제작시기, 手印을 반대로 결한 이유, 아미타불상 도상문제, 두 불상의 도상체계에 대한 화엄교의적 관점의 해석을 제시하였다.
    불국사 금동아미타불상과 금동비로자나불상은 長身의 체구이다. 기존에는 이런 특징을 석굴암 본존불상의 양식계보의 연장선에 두면서 8세기 후반에서 9세기 전반에 제작되었다고 보는 견해와 唐末五代 불상의 영향으로 이해하면서 9세기 후반에 제작되었다는 견해가 제기되었다. 하지만 필자는 중국 天龍山石窟의 盛唐代 불상 중에도 불국사 금동아미타불상과 금동비로자나불상과 같은 장신형의 예가 있음을 지적하고 그런 양식의 성당대 불상 영향으로 8세기 후반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또 가장 양식적으로 흡사한 백률사 금동여래입상이 8세기 후반에 제작되었다고 추정되고 있는 점, 9세기 이후에는 국가시책에 따라 대형의 금동불상을 조성하기 어려웠다는 사실도 불상의 제작시기를 8세기 후반으로 설정하는 근거로 제시하였다.
    이 불상들은 양손을 반대로 수인을 결하고 있는데, 이는 지의에 의해서 정립된 중국식 坐禪修行法에는 成佛하기 위해서 산란한 마음을 진정시켜서 禪定에 들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 精相인 왼쪽으로 動相인 오른쪽을 눌러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이런 중국식 좌선수행법은 종파와 시대를 초월하여 주변국가까지 영향을 끼쳤고 불국사 금동아미타불상과 금동비로자나불상도 이런 논리에 따라 도상이 변용된 것이 아닌가 추측해 보았다.
    불국사 금동아미타불상은 아미타불의 수인인 中品下生印 내지는 說法印의 변형으로 이해되고 있다. 하지만 같은 수인의 도상 예인 일본 나라 東大寺의 ≪구사만다라≫나 ≪법화당근본만다라도≫의 주존 등을 볼 때 화엄의 노사나불 또는 석가모니불일 가능성이 크다고 추정하였다. 즉 불국사 금동아미타불상은 극락정토신앙에 따라 조성된 아미타불상이 아니라 근본적으로는 석가모니불의 존격을 갖고 있는 화엄의 노사나불상 도상으로 파악된다.
    그렇다면 ‘화엄종 사찰 불국사에서 함께 제작되어 특정한 신앙체계를 갖고 있다고 여겨지는 금동아미타불상과 금동비로자나불상이 구현하고자 한 바는 무엇인가?’라는 의문이 제기된다. 통일신라시대 화엄사상에 큰 영향을 끼친 중국 화엄2대조인 지엄은 화엄경의 經主이나 그 개념이 추상적이고 모호한 十佛을 解境과 行境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二種十佛說을 제시하였다. 이 화엄불신론에 비추어보면 중생의 誓願에 응해서 나타난 부처인 해경십불은 금동아미타불상(석가모니불)으로, 석가모니의 근원적인 깨달음인 행경십불은 금동비로자나불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렇다면 결국 이 2구의 불상은 화엄경의 교의와 그를 구체화하는 지엄의 화엄불신론을 구현한 불상으로 講堂인 藏堂(현재 無說殿)에 봉안되어 교육적인 자료로 활용되지 않았을까 추정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esented the Avatamska doctrinal interpretation of the time of the fabrication of the gilt-bronze Amitabha Buddha statue and gilt-bronze Vairocana Buddha statue at Bulguksa Temple for which no agreement was reached and no appropriate explanation was given among diverse theories about the statues, the reason why the hand sign was reversed, the issue of the representation of Amitabha Buddha statues, and the representation system of the two Buddha statues.
    The bodies of the gilt-bronze Amitabha Buddha statue and gilt-bronze Vairocana Buddha statue at Bulguksa Temple are tall. Previously, views that regarded the foregoing statues to have been fabricated in the late 8th century or the first half of the 9th century by placing this characteristic on the extension of the style lineage of Sakyamuni Buddha statues in Seokguram and views that regarded them to have been fabricated in the late 9th century by understanding them to have been affected by the Buddha statues during the period of the Five Dynasties after the end of Tang Dynasty were raised. However, I pointed out that among the ancient Buddha statues in Tianlongshan Grottoes in China, there are examples of long body types like the gilt-bronze Amitabha Buddha statue and the gilt-bronze Vairocana Buddha statue at Bulguksa Temple and regarded the relevant Buddha statues to have been fabricated in the late 8th century. I also presented the fact that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statue at Baekryulsa Temple, which is the most similar to the two Buddha statues in terms of styles, is assumed to have been fabricated in the late 8th century and the fact that it had been difficult to construct large gilt-bronze Buddha statues since the 9th century due to national policies as the grounds for setting the time of fabrication to the latter half of the 8th century.
    These Buddha statues are making reversed hand signs with two hands. With regard to the foregoing, a logical argument that the sitting Zen meditation performance method established by Zhiyi(智顗)requires calming down the restless mind to begin meditation and to do that, the right side, which is in the dynamic phase, should be pressed by the lift side, which is in the static phase, is set out. This Chinese-style sitting Zen meditation performance method transcended sects and times to affect even neighboring countries, and I guessed that the representation of the gilt-bronze Amitabha Buddha statue and gilt-bronze Vairocana Buddha statue at Bulguksa Temple might have been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logical argument.
    The hand sign of the gilt-bronze Amitabha Buddha statue at Bulguksa Temple is understood as a variation of the sign for the middle grade low level heavenly world or Buddhist sermons, which is the Amitabha Buddha's hand sign. However, given the signs of the main Buddhas in the “Kusa mandala” and “fundamental mandala in the Buddhist sermon hall” of Todaiji Temple in Nara, Japan, which are examples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same hand sign, it was presumed that the sign was highly likely to be that of Nosana Buddha or Sakyamuni Buddha of Avatamska sect. That is, the hand sign of the gilt-bronze Amitabha Buddha statue at Bulguksa Temple is not that of statues of Amitabha Buddha that were formed according to the Sukhavati belief but is undrstood to be basically a representation of the Nosana Buddha statue of Avatamska sect, which has the level of dignity of the Sakyamuni Buddha.
    Then, the following question is raised, “What did the gilt-bronze Amitabha Buddha statue and the gilt-bronze Vairocana Buddha statue, which are believed to have a certain belief system, fabricated together at Bulguksa Temple, intend to embody?” Zhìyǎn(智儼), the second founder of Avatamska sect in China, who greatly affected the Avatamska ideology of the Unified Shilla Dynasty, presented the theory of two types of ten Buddhas that explained ten Buddhas with abstract and ambiguous concepts by dividing them into the area of solution(解境) and the area of enlightenment(行境). In the light of this Buddha's body theory of Avatamska sect, the ten Buddhas that appeared in response to people’s vow can be embodied with the gilt-bronze Amitabha Buddha statue (Sakyamuni Buddha) and the ten Buddhas, which are the fundamental enlightenment of Sakyamuni, can be embodied with the gilt-bronze Vairocana Buddha statue. Then, in the end, it was assumed that these two Buddha statues were enshrined in the Jangdang(藏堂) (currently Museoljeon(無說殿)), which is a sermon hall, and utilized as educational mater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