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방자치법 제172조에 따른 제소권 원고적격에 대한 소고 - 2014추521 전원합의제 판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ligibility of a plaintiff under Article 172 of the Local Autonomy Law - Focusing on 2014 Chuo 521 the Power Agreement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7.11
25P 미리보기
지방자치법 제172조에 따른 제소권 원고적격에 대한 소고 - 2014추521 전원합의제 판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법논집 / 41권 / 4호 / 371 ~ 395페이지
    · 저자명 : 이혜영

    초록

    지방자치제도상 지방의회의 의결은 결국 그 지방자치단체의 감독기관에 의해 소송이 제기된 경우유일하게 적법성에 대한 통제를 받을 수 있으며, 이것은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성과 자율성이 가능한 한존중되어야 하는 취지로 더불어 지방자치에 대한 국가의 관여는 가능한 한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측면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법령에 위반되는 사항에 대한 조례안은 이미 조례의 제정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국가의 지도⋅ 감독권을 규정한 제172조는 충분히 조항의 가치가 있다.
    우리나라는 기초자치단체와 광역자치단체의 중층구조로 지방자치제도를 운영하는 것을 빌미로 항상 그 지도⋅감독권을 상급 자치단체에게 부여하고 있다. 이에 대법원은 기초지방의회의 재의결사항에 대하여 주무부장관이 제소권이 없다면서 원고적격을 부정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판단할 경우 그 위법상태는 구체적 사후적으로 통제되지 않는 한 계속하여 위법한상태를 유지할 수 밖에 없으며, 국가가 지방자치행정의 합법성을 감독하고 국가법질서의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전에 조례의 제정을 시정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 마련된 제172조의 법취지에도 위배될 우려가 있어 대법원판결처럼 제소권의 원고적격을 축소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더불어 위법의 우려가 높은 조례안에 대해 사후적으로 사법심사를 거쳐 무효화되도록 방치하는 것은 지방행정의 낭비를 초래하고, 자치입법에 대한 주민의 신뢰를 실추시키는 결과를 야기하며, 회복하기 어려운 법질서의 혼란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기초지방의회의 의결에 대해서도 주무부장관의 직접제소권을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위법한 지방의회의 의결에 대한 에 대한 절차적 통제규정으로서 그 자체가 지방의회의 권한을 침해하는 것이라 볼 수 없고, 나아가 지방의회의 법률상의 권한을축소시키거나 침해한다고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Local Autonomy the decision of the provincial councils can only be controlled by legitimacy if lawsuits are filed by the supervisory bodies of the local autonomous bodies. This means that independence and autonomy of local autonomous bodies should be respected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the state’s involvement in local autonomy is understood to be desirable as far as possible.
    However, the ordinance for violating the Act is outside the scope of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and Article 172, which prescribes the right of the state to supervise and supervise, Korea has always been giving guidance and supervision to higher self-governing bodies in order to operate local self-government system with middle-level structure of basic autonomous entity and metropolitan autonomous entity. The Supreme Court denied that the Minister of Justice had no right to complain about the re-affirmation of the basic local council.
    But in this case, the state of illegality must continue to be illegal unless it is controlled specifically and externally. In order to ensure that the state oversees the legality of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maintains the unity of national laws and ordinances. It is not desirable to reduce the eligibility of the plaintiffs’ right of appeal as in the case of the Supreme Court judgment because there is a risk of violation of the purpose of the Article 172, which was established as an institutional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enactment.
    In addition, neglecting the ordinances that are highly concerned about illegal acts after being subjected to judicial review and invalidation causes wasting of local administration, causing loss of the residents’ confidence in self - governing legislation, confusion of difficult - to - recover laws It is desirable to recognize the right of direct appeal by the Minister of Justice on the resolution of the basic provincial councils. This is not a violation of the powers of the local council itself as a procedural control regulation on the decisions of the unlawful provincial councils, nor can it be seen that the legislative power of the provincial councils is reduced or infring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법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