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위사업법상 청렴서약위반 입찰참가자격제한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Problems and the improvement plans of the system of restricting qualification to participate in bidding against violation of the terms of Pledge of Integrity under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ct)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3.03
35P 미리보기
방위사업법상 청렴서약위반 입찰참가자격제한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성균관법학 / 35권 / 1호 / 295 ~ 329페이지
    · 저자명 : 나상혁

    초록

    방위사업법상의 청렴서약위반 입찰참가자격제한 제도는 방위사업에 있어 청렴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청렴서약위반 입찰참가자격제한 사유 중에서 금품․향응 제공 부분은 기존 국가계약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부정당업자 입찰참가자격제한 제도의 특별법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고, 나머지 금품․향응 약속, 특정정보 제공 및 요구, 연구성과물 누설, 하도급 불공정행위에 대한 사유는 방위사업법령상의 고유한 입찰참가자격제한 사유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방위사업 계약도 공공계약에 해당함에 따라 국가계약법상의 부정당업자 입찰참가자격제한 제도의 적용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방위사업법에서 가중 또는 추가로 입찰참가자격제한 제도를 규정하고 있는 것은 방위사업 비리에 대한 예방 및 국방연구개발 사업의 특성을 반영할 필요로 인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최근 5년간 청렴서약위반 입찰참가자격제한 처분건수는 5건으로 방위사업청 전체 입찰참가자격제한 처분의 1.3%에 불과하다. 이는 청렴서약위반 입찰참가자격제한이 업체 또는 연구기관의 대표 및 임원이 청렴서약을 위반한 경우로 그 요건을 한정하고 있어 제재 대상이 상당부분 협소해지는 문제에 따른 것이다.
    또한 실무상 청렴서약위반 입찰참가자격제한 처분의 경우에도 전자조달시스템의 게재를 통해 다른 중앙행정기관에서의 입찰에 참가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는데, 이는 법률상의 근거가 없는 것으로 법률유보의 원칙에 반할 여지가 큰 문제가 있다. 또한 현행 청렴서약위반 입찰참가자격제한의 사유에 더하여 방위사업의 특색에 맞는 제재 사유가 추가되거나, 국가계약법에서 신설된 제척기간을 도입할 필요성도 크다.
    따라서 첫째, 업체 및 연구기관이 작성한 청렴서약서 위반을 근거로 처분하는 방식은 불필요한 것으로 계약상대자, 입찰자 등이 제재사유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에는 그 행위에 근거하여 입찰참가자격제한 처분을 할 수 있도록 현행 방위사업법 제59조를 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청렴서약위반 입찰참자가격제한을 규정함에 있어 원가부정행위 및 원가 또는 성능을 증명하는 문서를 위․변조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입찰참가자격제한의 사유로 추가하고 국가계약법에 비하여 그 제재기간을 가중할 필요가 있다. 셋째, 행정기본법 제23조 제1항에서 정하는 제재처분의 범위에 입찰참가자격의 제한을 추가하여 제척기간 적용의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현행 국가계약법 제27조에 지방계약법 제31조 제4항과 유사한 방식으로 확장제재의 근거를 직접적으로 명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개선방안을 통해 유명무실하게 운용되고 있는 방위사업법상의 청렴서약위반 입찰참가자격제한 제도를 실효성 있고 합법적인 제도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system of restricting qualification to participate in bidding against violation of the terms of Pledge of Integrity is to enhance(secure) transparency(integrity) and fairness under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s. Among the reasons for restricting bidding participation in violation of the terms of Pledge of Integrity, provision of giving and receiving of valuables, entertainment has a special act of the system for restricting bidding participation against fraudulent parties. Other promises, including provision of giving and receiving of valuables, entertainment, supply and demands of specific information, divulgence of research result, and unfair subcontract transaction acts are inherent reasons for restricting bidding participation.
    Although the contracts of defense acquisition programs are also subject to the restriction system of illegal parties under the National Contract Act, it reflects the need for prevention of defense acquisition progra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fens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In fact, however, there have been five cases of restricting qualification to participate in bidding against violation of the terms of Pledge of Integrity, accounting for only 1.3% of total bidding restrictions by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The system of restricting qualification to participate in bidding against violation of the terms of Pledge of Integrity has only effects on the representative officers and staff of enterprises or research institutes. It causes narrowing the subject to sanctions. In addition, the disposition of restricting qualification to participate in bidding against violation of the terms of Pledge of Integrity in practice is posted on the E-procurement system in practice to block to participate the other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This is a lot of room for being a serious problem against the principle of legal reservation because there is no legal basis. Furthermore, in addition to the restricting qualification to participate in bidding against violation of the terms of Pledge of Integrity, additional reasons for sanctions which suit the characteristics of defense acquisition programs and introduction of an exclusion period newly established in the National Contract Law are needed.
    First, Article 59 of the current Defense Acquisition Act needs to be revised. It is not necessary to impose the defense contractors or research institutes due to violation of the provisions of pledge of integrity based on they submitted. When the contractor or bidding participant’ acts meet the reason of sanctions, they shall be a penalty of the restricting qualification to participate in bidding based on the acts. Second, in stipulating restriction qualification to participate in bidding against violation of the terms of Pledge of Integrity, it is necessary to add cost irregularities and forgery·falsification of documents as reasons for restricting qualification to participate in bidding, and increase the period sanctions compared to the National Contract Act. Third, the basis for the application of the exclusion period by adding restricting qualification to participate in bidding to the scope of sanctions prescribed in Article 23 (1) of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on should be needed. Fourth,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basis for expansion sanctions in a similar manner to Article 31 (4) of the Local Contract Act in Article 27 of the current National Contract Act.
    The system of restricting qualification to participate in bidding against violation of the terms of Pledge of Integrity under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ct is only nominal. Such improvement measure will help the system to improve into more practical and legitimate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균관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