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간자격등록제도의 문제점과 법적 개선방안 – 민간자격 등록요건인 “다른 법령에서 금지하는 행위와 관련된 분야”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Problems of Private Qualification Registration System and Legal Improvement Plan - Based on interpretations of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of private qualification “fields related to acts prohibited)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0.04
32P 미리보기
민간자격등록제도의 문제점과 법적 개선방안 – 민간자격 등록요건인 “다른 법령에서 금지하는 행위와 관련된 분야”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法學論文集 / 44권 / 1호 / 339 ~ 370페이지
    · 저자명 : 백옥선

    초록

    2008년 「자격기본법」에 민간자격 관리를 위한 등록제가 도입된 이후 등록 민간자격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등록된 민간자격으로 인한 폐단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정부는 민간자격의 폐해를 해소하기 위하여 민간자격등록에 대한 여러 가지 제도 개편을 추진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민간자격 등록제의 실효성이나 정당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제기될 수 있는 상황이다. 민간자격으로 인한 소비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등록제를 도입한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문제를 논외로 하더라도, 현행 민간자격 등록제는 등록요건 등을 비롯 여러 제도적 장치가 다른 등록제와 비교할 때 등록제의 기능을 하는 데 부족하게 입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앞으로 민간자격 등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민간자격 등록제 운영과 관련된 법적 분쟁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까지 민간자격 등록에 대한 법적 분쟁은 거의 없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민간자격 등록요건 중 하나인 “다른 법령에서 금지하는 행위와 관련된 분야”에 대한 해석에 관한 소송과 법제처의 법령해석사례가 나오고 있고, 법원과 법제처의 해석의 방향이나 결과도 상이하게 나타나는 상황이라는 점에서도 논의의 필요성이 있다. 특히 민간자격등록제도에 대한 해석상의 문제들이 나타나는 이유가 일정부분 입법적 문제점에서 비롯된다는 점에서 민간자격 등록요건인 “다른 법령에서 금지하는 행위와 관련된 분야”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민간자격 등록제도의 입법적인 해결방안의 마련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민간자격 등록이 거부되는 제한사유를 넓게 해석하는 것은 민간자격등록제의 도입취지에 부합하지 않으며, 과잉적인 제한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비판적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이러한 해석의 원인이 현행 「자격기본법」에 도입된 민간자격 등록제도의 문제점에 있는 만큼 민간자격 등록제를 폐지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현실적으로 등록제의 폐지가 어렵거나 유지의 필요성이 인정된다면 최소한 관련규정을 재정비하여야만 한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In 2008 a registration system was introduced in the 「Framework Act on Qualif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private qualification. Following its introduction, there was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registered private qualifications, and also an increase in the harmful effects of registered private qualifications. In order to provide solutions for the harmful effects of private qualification the government implemented various policy reforms, however fundamentally the issue lies with the questions raised on the effectiveness and legitimacy of the registration system for private qualification. Even if the issue of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implement the registration system as a safety net to minimize consumer damage from private qualification is considered as irrelevant, the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and other institutional strategies in the current registration system for private qualification, when compared to other registration system, can be seen as inadequate to implement the function of a registration system. Under such circumstances where there is a continuous increase in private qualification registration, it is expected that legal dispute related to the administration of private qualification registration system will also increase.
    Up until now, it can be said that there have been very few legal disputes regarding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of private qualification. However, there is also a need for discussion in that there have been lawsuits and case studies by the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one of the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fields related to acts prohibited by other laws”, and that the direction and outcome of interpretation by the court and the ministry are different. In particular, as the reasons for interpretive problems of the private qualification registration system can been viewed as due to partially a legislative problem, the examination of the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of private qualification “fields related to acts prohibited by other laws” in order to establish a legislative solution is deemed necessary. In this paper, In this paper, it was critically pointed out that the broad interpretation of the reasons for restricting private qualification registration does not conform to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private qualification registration system and may be an excessive restriction. It was also said that it was necessary to consider abolishing the private qualification registration system as the cause of this interpretation lies in the problem of the private qualification registration system introduced under the 「Framework Act on Qualifications」. In reality, if the abolition of the registration system is difficult or the need for maintenance is recognized, the relevant regulations should be reorganized at le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法學論文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