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미 행정법상의 원고적격: 사법적극주의와의 관계에서 (Standing of Common Law System: Can Judicial Review on Administrative Discretion be possibl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2.02
36P 미리보기
영미 행정법상의 원고적격: 사법적극주의와의 관계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홍익법학 / 13권 / 1호 / 735 ~ 770페이지
    · 저자명 : 이비안

    초록

    행정소송에 있어서의 원고적격 문제는 사법의 행정에 대한 간섭의 정도문제 즉, 권력분립 내지 행정에 대한 사법의 심사강도 문제와 직결된다. 원고적격의 범위를 넓히게 되는 경우 종래 행정의 영역이라 보고 있었던 영역에 대하여 사법의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그 대표적 사례가 영국의 World Development Movement 사건이나 미국의 United States v. SCRAP 사건, Massachusettes v. EPA 사건이다. 그러나 미국의 경우 Chevron 사건을 통하여 행정의 재량에 대한 간섭을 회피하여 왔고, Lujan 사건을 통하여 시민소송 규정을 무시하여 버림으로써 사법이 행정에 지나치게 간섭하는 경향에 제동을 걸고자 하였다. 어쨌든 미국은 전반적으로 사법소극주의 입장을 취하고 있으면서도 최근 Massachusettes v. EPA 사건에서 보듯 경우에 따라서는 사법적극주의 입장을 취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 도구로서 사용하는 것이 injury 등 원고적격의 인정범위 확대와 재량남용규정 적용범위 확대이다.
    이점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다를 바 없다 볼 수 있다. 소의 이익이 인정되는지 여부, 재량의 일탈, 남용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통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사법의 적극적 역할을 기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적지 아니한 견해들이 불확정개념, 재량개념, 의도적인 입법의 공백에 대해서 행정에게 자유의 영역이 주어져 있는 듯이 해석하지만, 위 모든 개념이 입법의 한계에서 발생하는 피치 못할 입법의 선택이지 행정에게 자유를 준 것이라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재량의 逸脫, 濫用이나 소의 利益 인정에 있어 그 기준을 지나치게 좁게 해석하고, 그로 인하여 사법이 스스로 그의 발목을 묶는 일은 피하여야 할 것이다. 위 개념들이 사법적극주의 입장이냐 아니냐에 따라 적용범위가 좌우되는 假裝개념임에도 불구하고, 당해 개념을 스스로 敎祖化하고, 그 결과 당해 假裝개념에 의하여 사법의 판단권한을 스스로 축소하는 일이 있어서는 아니 될 일이다.

    영어초록

    Issues on "standing" refer to the possibility of judicial review on administrative discretion. This paper introduced the three recent cases: World Development Movement case of the United Kingdom; and United States v. SCRA and Massachusettes v. EPA of the United States of the United States. These recent cases showed different opinions from the famous cases (for example, Chevron case and Lujan case) dealing with judiciary review on administrative discretion. Chevron case declared that only abuse of discretion could be subject to judicial review, and Lujan case required the concrete injury of an individual to have standing even though a specific statute provides citizen suit. Legal issues of the two cases seem to be different, but they have one common question of which extent the judiciary could expand its jurisdiction.
    Massachusettes v. EPA showed needs of balancing between the public interests and industries'. The statutes having Amorphous concepts and discretion sometimes could granted the broad delegation of Congress to the executive. These are inevitably made by limited capabilities of the legislative. Therefore, duties of balancing interests for a certain administrative decision are imposed on administrative agencies on behalf of Congress. Congress could not speculate all situations requiring interests-balance procedures before a certain case would happen. Courts review the case happened already so that they can easily identify the facts necessary for interests-balance. Although both Congress and courts suffer from lack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courts could be more familiar with a particular case's history and facts than Congress. The judicial decision for one specific case outweighs the legislative decisions using amorphous concept and discretion. In reality, a court is not allowed to review all administrative discretion due to inherent lacks of its knowledge, skills and knowhow when compared to administrative agencies. However, courts should be not prevented from reviewing administrative decisions all the time. When courts are sure of their own decisions, they should allowed their decisions to outweigh those of the agenc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홍익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