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높은 외모 자존감은 높은 사회적 지위를 추론하게 하는가? 지각된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 및 자기의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Does High Appearance Self-Esteem Lead One to Infer a High Social Status?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Competence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nsciousnes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2.10
25P 미리보기
높은 외모 자존감은 높은 사회적 지위를 추론하게 하는가? 지각된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 및 자기의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학연구 / 33권 / 5호 / 1 ~ 25페이지
    · 저자명 : 조현영, 이수현

    초록

    본 연구는 높은 외모 자존감이 높은 사회적 지위를 추론하게 하는 새로운 요인임을 제안했다. 지위 신호 행동과외모 매력도, 자존감을 다룬 선행 연구의 결과에 기반하여, 타인의 판단과 관계없이 자신의 외적 특성을 인정하고그를 존중하는 사람일수록 사회적 지위가 높게 추론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했다. 또한 자존감과 사회적 능력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준 선행 연구에 기반해, 관찰자는 높은 외모 자존감을 가진 사람들로부터 우수한 사회적 능력을 추론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나아가,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이 지닌 주요 특성 중 신뢰할 만한 집단에 소속되어있는지의 여부 및 유머러스한 성격이 포함되어 있다는 선행 연구의 발견을 통해, 사회적 능력이 높게 인식되는 사람일수록 사회적 지위가 높게 추론될 것으로 예측했다. 즉, 사회적 능력을 지각된 외모 자존감과 사회적 지위의 매개 변수로 제안했다. 또한, 이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는 자기의식에 의해 조절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자기의식이 높은 사람은 타인에게 비치는 본인의 모습에 크게 신경을 쓰고 부정적인 인상을 남기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자기의식이 높은 사람과 달리 외모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다른 사람의 평가에 크게 개의치 않는 태도를 보인다. 사람들은 자신이 가지지 못한 특성을 보이는 사람을 부러워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자기의식이 높을수록 높은 외모 자존감을 가진 사람을 호의적인 태도로 바라볼 가능성이 크다. 즉, 높게 지각된 외모 자존감으로부터 높은 사회적 능력 및 지위를 추론하는 경향이 관찰자의 자기의식이 높을수록 강할 것으로 예측했다. 짧은 대화 형식의 자극물을사용하여 사전 조사 및 두 개의 본조사를 실시한 결과 데이터는 가설을 모두 지지했다. 사람들은 외모 자존감이 상대적으로 높게 지각되는 사람에게서 높은 사회적 지위를 추론했는데 이는 높게 지각된 외모 자존감으로부터 우수한사회적 능력을 예측하기 때문이다. 또한, 높은 외모 자존감으로부터 높은 사회적 능력 및 지위를 추론하는 경향은참가자의 자기의식이 높을수록 강했다. 다른 사람에게 본인의 모습이 어떻게 비추어질지 염려하는 사람은 외모 자존감이 높다는 특성을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더 호의적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타인의 시선을 걱정하는 자신과달리 외모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타인의 시선에서 자유로우므로 자연스럽게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여기게 되고, 이에 따라 사회적 지위 역시 높게 추론되는 것이다. 사전 조사와 연구 1은 미국인 참가자를, 연구 2 는 한국인 참가자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했고 각 연구에 사용된 등장인물의 이름과 대화의 맥락 역시 다양하게제작하여 연구 결과가 외적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외모 자존감이 새로운 지위 신호의 역할을 함을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지위 신호 연구 분야에 기여한다.

    영어초록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show appearance self-esteem (ASE) as one of the unconventional status signaling factors. Drawing on the literature on status-signaling behavior, physical attractiveness, and self-esteem, we propose that those who appreciate and are satisfied with their physical appearance, regardless of how others evaluate them, are perceived to have higher social status. The underlying mechanism through which perceived high ASE enables inference of higher social status is predicted to be their superior social competence. The associ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and status within a group and social competence that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corroborates this argument.
    We also propose one’s self-consciousness is a boundary condition in which the extent to which ASE works as a status signaling varies. Individuals with high self-consciousness care about their impressions on others in public. Moreover, people are likely to admire others with characteristics they do not have and evaluate them more favorably. The attitude addressed by those with high ASE is something highly self-conscious individuals do not possess. Therefore, people with high self-consciousness are relatively more likely to evaluate those with high ASE favorably than those with low self-consciousness. Specifically, the tendency to infer high social status from high ASE is expected to be stronger as one’s self-consciousness increases.
    Three short scenario-based experiments, including a pretest, support our main predictions.
    In the pretest, we used a scenario comprising a short conversation between “Aiden” and his colleague. The colleague says that Aiden’s profile picture on his social media account looks very weird. In high ASE condition, Aiden responds to his colleague that he likes the picture; in low ASE condition, Aiden says he will change the picture immediately. As predicted, Aiden’s social status was perceived to b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former situation than in the latter.
    In Study 1, we created a short conversation where a colleague asks a person to appear as a model in a company's advertising campaign. The person accepts a request in high ASE condition and refuses it for lack of confidence about their face in low ASE condition. Supporting our main prediction, a person in high ASE condition was perceived to have significantly greater social status than someone in low ASE condition. Mediation through social competence was also significant.
    Study 2 was conducted using a short fictitious conversation between “Jiwon Kim” and her colleague. The colleague says she will not attend the workshop because there will be colleagues from different departments who are physically very attractive, which would make her feel uncomfortable. In high ASE condition, Jiwon Kim tells the colleague that she does not need to worry and suggests the colleague participate in the workshop; in low ASE condition, Jiwon Kim agrees with her colleague and decides not to attend the workshop. Participants perceived Jiwon Kim in high ASE condition as possessing higher social status than in low ASE condition due to her higher perceived social competence.
    Furthermore, mediation through social competence was stronger for those with high self consciousness than those with low self-consciousness. Specifically, the degree to which people infer superior social competence from high ASE was stronger as the level of self-consciousness increased. It seems that highly self-conscious individuals evaluate others with high ASE more favorably. In other words, unlike a person concerned about how others perceive them, people with high ASE are free from these anxieties, so they are naturally considered to be able to form social relationships.
    This study, therefore, contributes to the existing literature on status signaling by identifying ASE as an unconventional tool of social status infer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