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광고의 ‘낯설게 하기’ 사진 전략과 수용자 참여 -비주얼게임 형식의 전개를 중심으로- ('Defamiliarization of Advertising Photographs in 1990s and Audience Participation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Visual game format-)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5.06
11P 미리보기
1990년대 광고의 ‘낯설게 하기’ 사진 전략과 수용자 참여 -비주얼게임 형식의 전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지식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지식저널 / 34호 / 227 ~ 237페이지
    · 저자명 : 정무환

    초록

    1990년대는 광고에서 사진에 대한 유난히 우월적이고 특권적인 지위가 부여된 시기로 이 논문은 ‘낯설게 하기(Defamiliarization)’를 전략으로 전개된 1990년대 광고의 사진 전략을 회고한다. 쉬클롭스키(Victor Shiklovsky)의 ‘생소화(Defamiliarization)’와 브레히트(B. Brecht)의 ‘소격효과(alienation effect)’ 등의 부조화 이론을 근거로 1990년대 사진광고들을 고찰하고 그 성격과 의의, 그리고 형식을 분석하였다. 텍스트(text)가 일체 배제된 사진 중심의 방식으로 면밀한 판독(deciperment)이 요구되는 특징을 보였던 1990년대의 광고들은 1970년대 후반의 상징주의적 담배광고의 방식과 1990년대 초반의 베네통(Benetton)의 영향을 받으면서 1990년대 후반 메르세데스(Mercedes ), 폭스바겐(Volkswagen), 그리고 브라질의 아방가르드한 광고사례에서와 같이 성공적인 비주얼게임 광고 형식을 구축하였다.
    1990년대 후반에 제시된 비주얼게임(Visual Game) 광고는 궁극적으로 수용자에게 광고를 해독(decoding)하는 재미와 해방감을 제공하는 독자 중심적 광고의 형식이었다. 이는 수용자가 광고에 대한 인습적, 수동적 태도를 무너뜨리고 광고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그 여지를 극대화한 ‘수용자 참여’의 광고 방식이었다. 텍스트를 배제하고 광고의 내용을 사진을 통해 생소하게 제시함으로써 수용자들이 낯설게 느끼고 의문을 갖도록 하는 전략적 방식은 2000년대 이후 다시 텍스트를 사용하는 방식을 통해 난이도가 조정되었으나 형성된 게임의 형식은 이후의 광고스타일의 전개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영어초록

    1990's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photographs had superior and privileged position in advertising. This thesis retrospects photograph strategy in advertising in 1990's which was developed with Defamiliarization as strategy. This thesis considers 1990's advertising photographs based on dissonance theory such as analyzed Victor Shiklovsky's defamiliarization and Brecht's alienation effect analyzed its nature, significance and form. 1990's advertising that requires photograph centered deciperment with text completely excluded established successful audience participating advertising such as Mercedes' advertisement, Volkswagen's advertisement and avant guard advertisements in Brazil in the latter part of 1990's after influenced by symbolism cigarette advertisement in the latter part of 1970's and Benetton in the early part of 1990's.
    Audience participation advertising in the latter part of 1990's was presented as a form of visual game that provides audience with pleasure of decoding advertisements and sense of freedom. This was 'audience participation' advertising that allowed audience to actively participate in advertising communication process tearing down conventional and passiv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Strategy and form of game that make audience feel unfamiliar with advertisements and raise doubts by removing texts and presenting advertisement in an unfamiliar manner has had a continuous influence on advertising style though it was adjusted in more easily manner that uses text again in 200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지식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