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항공론장의 구조에 관한 연구-넥트와 크루게의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unter Public Sphe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09.12
37P 미리보기
대항공론장의 구조에 관한 연구-넥트와 크루게의 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15호 / 239 ~ 275페이지
    · 저자명 : 윤영태

    초록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민주적 발전을 위한 ‘진정한’ 공론장의 형성, 그 가능성과 한계는 무엇인가, 그 구체적 형태로서 지배적 공론장에 대항하는 대항공론장의 가능성과 그 조건은 무엇인가라는 기본적인 질문에서 출발했다. 즉 현대사회의 정치경제적 조건 속에서 대항공론장의 의미, 자본주의적 생산양식 하에서 형성될 수 있는 대항공론장의 구조와 성격, 그리고 그 한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했다. 이를 위한 접근은 이론적 수준에서 오스카 넥트(Oskar Negt)와 알렉산더 크루게(Alexander Kluge)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넥트와 크루게는 1972년 <공론장과 경험> 연구를 통해 프롤레타리아 공론장 개념을 중심으로 대항공론장에 대한 분석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항공론장 개념 및 이론적 접근, 그리고 대항공론장의 구조와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넥트와 크루게에 의하면 공론장은 다양한 세력들에 의해 구성되며 다양한 세력들 간의 각축의 장이다. 이속에서 프롤레타리아 공론장은 대항공론장으로서 동시에 부분공론장으로 기능한다. 공론장의 원래적 기능에 따라 공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하는 능력이 있다고 해서 공론장이 단일하게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론장은 다양한 분리선, 세력관계로 이루어진 사회적으로 조직된 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지배적 공론장과 대항공론장은 다양하고, 때론 겹치며 경쟁하는 영역들로 즉, 복수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그 상호관계 역시 역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변증법적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한편 넥트와 크루게에 의하면 대항공론장의 형성, 그 가능성과 한계는 이중성을 지니고 있다. 경험과 상상력과 같은 인간의 의식이 자본주의적 생산양식 하에서 이중적으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프롤레타리아 공론장과 같은 대항공론장의 이론이 실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넥트와 크루게가 시도했던 유물론적 대항공론장 이론은 여전히 현대사회의 미디어와 공론장 분석을 위한 문제의식과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공론장 분석에 계급적 성격을 부여했다는 점과 아울러 넥트와 크루게의 대항공론장 이론은 경험을 강조함으로써 여러 미디어실천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언론운동, 퍼블릭 액세스, 미디어교육, 미디어운동 등은 역시 우리사회에서 우리사회의 민주주의와 관련하여 여전히 진행 중인 중요 문제이다. 넥트와 크루게의 이론은 이러한 문제들에 접근하는 또 하나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적지 않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tential and limitation for the production of counter public sphere in modern capitalism. Most contemporary conceptualizations of the public sphere are based on the ideas expressed in Jürgen Habermas' book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 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Strukturwandel der Öffentlichkeit: Untersuchungen zu einer Kategorie der bürgerlichen Gesellschaft)'. In 'Public sphere and experience : toward an analysis of the bourgeois and proletarian public sphere (Öffentlichkeit und Erfahrung. Zur Organisationsanalyse von bürgerlicher und proletarischer Öffentlichkeit), Oskar Negt and Alexander Kluge criticize Habermas’ historical description of the public sphere, and confront it with "proletarian public sphere". They argue that the bourgeois public sphere was in fact constituted by a number of significant exclusions. They claim that the bourgeois public sphere discriminates against the proletarian class. On the contrary, it is the arena and eventually the power base of a stratum of the bourgeois as a universal class. Thus, they stipulate a hegemonic tendency of the bourgeois public sphere, which dominated at the cost of alternative publics, thereby averting other groups from articulating their particular concerns.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counter public sphere, this study tried to review the public sphere theory of Negt & Kluge. The public sphere is regarded in accordance as an institution of the civil society with its normative characteristics. The public sphere is no power-free space, but the social space is characterized by hierarchy and struggle. The emancipator potential of the public sphere is considerably smaller than also in the discussion around new media that it is accepted. In this sense, the public sphere is not the opposite, but firm component of pow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