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러시아 소수민족언어의 겉과 속: 캐슬스와 밀러(Castels & Miller)의 유형이론 분석을 중심으로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Russian Minority Languages: Focusing on Analysis of Castels & Miller’s Type Theor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0.12
35P 미리보기
러시아 소수민족언어의 겉과 속: 캐슬스와 밀러(Castels & Miller)의 유형이론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스토리앤이미지텔링 / 20호 / 261 ~ 295페이지
    · 저자명 : 전병국

    초록

    러시아의 체제 전환기는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혼란스럽고 불(不)분명한 시기였다. 당연히 기존과는 다른 특성이 드러날 확률이 높은 시기라 할 수 있다. 상황이 어렵고 급할수록 속에 있는 마음이 드러나기 쉽기 때문이다. 이시기 ‘러시아 내 비명목 민족언어는 어떤 상황에 처해 있었으며, 러시아 정부는 과연 어떤 입장에서 비명목 민족언어를 대했을까?’ 이 질문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당시 언어환경과 언어정책에 관한 경제적 효율성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 아니다. 정체성과 방향성을 살펴보는데 중심을 두었다. 이를 통해서 러시아가 지녔던 약자와 타자에 대한 시야를 확인해 보고 미래 러시아가 나아가고자 하는 다문화국가로의 향방(向方)을 예측해보고자 하였다. 본고는 캐슬스와 밀러의 유형이론 틀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정책이 표면적으로는 다문화주의 유형의 정책이었지만, 실행 면에서는 동화주의 유형에 가까웠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러시아와 러시아 정부의 정책은 ‘나’ 라는 테두리 안에 갇혀 있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transition period in Russia was a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confusing and uncertain time. It is natural that this period was highly likely to reveal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from before. Humans tend to easily expose their inner feelings in a difficult and urgent situation.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What was the situation that non-nominal ethnic languages in Russia faced, and which position did the Russian government took to deal with non-nominal ethnic languages?’
    This study is not intended to examine the economic efficiency of language environments and language policies of the time. Instead, this study is focused on considering the identity and the directivity. It is to understand Russia’s perspective towards the weak and the other and forecast the direction of Russia as a multicultural state in the future.
    For analysis, the frame of Castels & Miller’s type theory was used, and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although on the surface, the policies claimed to multiculturalism, the implementation was rather close to assimilation. In other words, the policies of Russia and Russian government were stuck in the framework of ‘me’, at tha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스토리앤이미지텔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