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동 청소년 문학과 전환기 문학의 만남, 그 의의와 교육적 기능에 대하여 - S. 프뤼츠의 『코넬리우스 혹은 사람들이 무언가 다른 것을 찾기 때문에』를 중심으로 (Die Überschneidung der Kinder- und Jugendliteratur mit der Wendeliteratur, ihre Bedeutung und pädagogische Funktion - Sigurd Pruetz’ Cornelius oder Weil man dann etwas anderes findet)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3.12
25P 미리보기
아동 청소년 문학과 전환기 문학의 만남, 그 의의와 교육적 기능에 대하여 - S. 프뤼츠의 『코넬리우스 혹은 사람들이 무언가 다른 것을 찾기 때문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교육 / 88권 / 39 ~ 63페이지
    · 저자명 : 박찬일

    초록

    본 논문은 지구르트 프뤼츠 Sigurd Pruetz의 소설 『코넬리우스 혹은 사람들이 무언가 다른 것을 찾기 때문에』을 다음 세 가지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이 소설이 어린 세대가 마주하는 전환기의 현실을 그리면서 특히 어떤 부분을 주목하고 있는지 논하려 한다. 둘째, 이 작품에서 아동과 청소년이 전환기를 이해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가리키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더불어 이 소설이 아동과 청소년에게 전환기를 설명하기 위해 어떤 서술전략을 활용하고 있는지 분석해 보겠다. 끝으로 이 텍스트가 한국의 문학교육 현장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은 무엇이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며 논문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Sigurd Pruetz‘ „Cornelius oder Weil man dann etwas anderes findet“ (1999) zeigt die deutsche Gesellschaft unmittelbar nach der Wiedervereinigung aus der Perspektive eines 12-jährigen Kindes aus Ostdeutschland. Die vorliegende Arbeit untersucht die Gattungsmerkmale des Romans, der sowohl zur Kinder- und Jugendliteratur als auch zur Wendeliteratur gehört, und analysiert ihn mit Blick auf die Entwicklung des Protagonisten im besonderen Kontext der Wende. Im Gegensatz zu vielen frühen Wenderomanen, die ‚Wendekinder‘ als hilflose und frustrierte Figuren darstellen, stellt Pruetz‘ Roman den Prozess der Anpassung des Protagonisten an die Gesellschaft und seiner Suche nach der neuen Zugehörigkeit in den Vordergrund. Bemerkenswert an dem Roman ist, dass die Aufklärung der Kinder über die deutsche Wendezeit ein Verständnis der Elterngeneration voraussetzt, die in der ehemaligen DDR lebte. Im Hinblick auf die gesellschaftliche Integration nach der Wiedervereinigung wird im Roman deutlich, dass nicht nur die Integration zwischen Ost und West, sondern auch die zwischen den Generationen wichtig ist. Darüber hinaus besticht der Text als Lehrmittel im koreanischen Unterricht, da er den Schülern die Möglichkeit gibt, sich mit der deutschen Gesellschaft unmittelbar nach der Wiedervereinigung auseinanderzusetzen, sowie auch mit der gegenwärtigen deutschen Gesellschaft, deren Integrationsbemühungen bis heute nicht abgeschlossen sind. Schließlich bietet Pruetz‘ Roman die Möglichkeit einer Auseinandersetzung mit der derzeitigen Realität der Teilung Ko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