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온라인 게임 결제 한도’규제는 게임 이용자를 위한 것인가?: 자율규제의 개념, 행정행위로서의 법적성격 검토, 헌법 가치를 통한 법적 문제를 중심으로 (Is South Korea’s Online Game Payment Limits Regulation Going to Benefit Gamers?: Review of the Concept of Self-regulation and Legal Characteristic as an Administrative act, Focused on the Related Lega)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8.11
17P 미리보기
한국의‘온라인 게임 결제 한도’규제는 게임 이용자를 위한 것인가?: 자율규제의 개념, 행정행위로서의 법적성격 검토, 헌법 가치를 통한 법적 문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융합과학회지 / 7권 / 4호 / 205 ~ 221페이지
    · 저자명 : 이동규, 김종범, 박한흠

    초록

    연구목적 : 온라인 게임의 월 결제한도에 대해서는 특별한 명시적인 법령상의 근거가 없다. 그럼에도불구하고 게임물관리위원회에 게임물의 등급을 신청할 때, 한도를 반드시 기재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한도를 기재하지 아니하거나, 50만원 이상의 금액을 기재하는 경우 기재사실을 수정하도록 권고하는 등 등급결정을 유보하고 있다. 반면에 휴대 전화기를 기반으로 이용되는 모바일 게임의 경우에는 결제한도에 대한 규제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현재의 온라인 게임 결제한도에 대한 규제가 과연 법적인 관점에서 정당한 규제로 인정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의문이 존재한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게임의 결제한도에 대한 규제를 중심으로 법적 성격을 논의하고 기본권 침해여부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 온라인 게임의 결제한도 규제가 법적인 측면에서 정당화될 수있는지의 여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자율규제의 개념, 행정행위로서의 결제한도 규제 법적 성격검토, 헌법 가치를 통한 법적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특히 온라인 게임 결제한도 규제에 대해서도어떠한 기본권이 제한되는지, 그러한 제한이 법률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해당 기본권들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는 것은 아닌지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결론 :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온라인게임에 대한 결제한도 제한은 그 법적 근거가 없이 과잉금지의 원칙과 계약자유의 원칙, 그리고 게임사업자 및 게임 이용자의 기본권을 침해한다. 이러한 이유로 규제완화 또는 규제개선의 필요성과 당위성은 강조할 수 있다고 본다. 게임 사업자와 게임 이용자의 기본권을 침해하고 계약 자유의 원칙을위반하는 등 법적으로도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과다한 결제의 유인이 온라인 게임에 비하여높다고 볼 수 있는 모바일 게임에 대해서는 특별한 한도 규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둘째, 결제의한도에 대해서 현실적으로 어느 정도의 제한이 존재하고 있다.

    영어초록

    Pupose : There is no explicit statutory basis for monthly payment limits for online games. Nevertheless, when games companies apply for game rating designation to the Game Rating & Administration Committee, they are required to include a monthly limit. If any game company does not list these limits or proposed limit is over 500,000 won, the applicant is advised to revise the submitted content. On the contrary no such restriction is imposed on the payment limit in the case of mobile games working on mobile phones. There are many questions as to whether the current regulation on online game payment limit can be deemed legitimate when viewed from the legal perspective. In this study, therefore, the author discussed the legal nature of the limits imposed on online game payment and investigated the possible infringement of basic human rights by such regulations. Methods : The author examined whether the regulation of online game payment limit can be justified from legal perspective, in particular, issues including the concept of autonomous regulation, the legal nature of payment limit restriction as an administrative act, and other associated legal issues stemming from constitutional values. In particular, the author examined whether the basic rights have ever been compromised with regard to online gaming payment limits, whether such restrictions are based on laws, and whether they infringe on the foundation of the basic rights. Conclusion : It was conclud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at the restriction of payment limit for online games violates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excessive regulation,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as well as the basic rights of game service providers and game users without any justifiable legal basis. It can be emphasized, for this reason, that deregulation or improved regulation of the related laws are urgently required or justified.
    Such restrictions violate the fundamental rights of game service providers and game users as well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First, no specific restriction is imposed on the mobile games, which is considered to be temping users to pay excessive fee than the PC-based online game does. Second, some practical limits are imposed on to the payment lim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융합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