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류주식을 취득하는 신규 투자자에게 우월적 권리나 이익을 부여한 것을 주주평등의 원칙에 대한 예외로 허용할 수 있는지 여부 (Whether the Granting of Preferential Rights or Interests to New Investors Acquiring Different Classes of Shares may be Allowed as an Exception to the Principle of Equity of Shareholders)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4.03
46P 미리보기
종류주식을 취득하는 신규 투자자에게 우월적 권리나 이익을 부여한 것을 주주평등의 원칙에 대한 예외로 허용할 수 있는지 여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67호 / 659 ~ 704페이지
    · 저자명 : 손태원

    초록

    주주평등의 원칙은 주주가 가진 주식 수에 따라 평등한 취급을 하도록 회사를 구속하는 원칙이고, 이를 위반한 약정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무효이다. 대상판결에서는 회사가 투자유치를 통해 신규 투자자에게 종류주식을 발행하면서 체결한 투자계약의 내용으로 다른 주주에게 부여하지 않은 우월한 권리나 이익을 부여한 것이 주주평등의 원칙에 위반하는지 여부가 주된 쟁점이 되었다.
    주주평등의 원칙을 지나치게 경직된 관점에서 획일적, 형식적, 기계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거래계의 실질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유치를 저해하는 등으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하고,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주주평등의 원칙, 즉 주식 수에 따른 평등 취급 원칙의 예외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 다만 지나치게 유연한 관점으로 접근하거나 주주와 회사 간의 법률관계에 사적자치의 원칙을 무제한으로 적용하면, 자본충실의 원칙을 침해하여 채권자 보호에 소홀해질 수 있는 등으로 다른 차원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까지 고려하여서 균형 잡힌 시각으로 사안의 해결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대상판결은 주주평등의 원칙에 대한 예외 허용 가능성을 급진적으로 확대하지 않고 조심스럽게 한걸음씩 나아가려고 하였다.
    주주평등의 원칙에 대한 예외는 법률이 허용하는 절차와 방식에 따르거나 그 차등적 취급을 정당화할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 이를 허용할 수 있다. 예외 허용 여부에 관한 구체적인 판단 기준으로, ① 차등적 취급의 구체적 내용, ② 회사가 차등적 취급을 하게 된 경위와 목적, ③ 차등적 취급이 회사 및 주주 전체의 이익을 위해 필요하였는지 여부와 정도, ④ 일부 주주에 대한 차등적 취급이 상법 등 관계 법령에 근거를 두었는지 아니면 강행법규에 저촉되거나 채권자보다 후순위에 있는 주주의 본질적 지위를 부정하는지 여부, ⑤ 일부 주주에게 회사의 경영참여 및 감독과 관련하여 특별한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회사의 기관이 가지는 의사결정 권한을 제한하여 종국적으로 주주의 의결권이 침해되는지 여부를 비롯하여 차등적 취급에 따라 다른 주주가 입는 불이익의 내용과 정도, ⑥ 개별 주주가 처분할 수 있는 사항에 관한 차등적 취급으로 불이익을 입게 되는 주주의 동의 여부와 전반적인 동의율, ⑦ 그 밖에 회사의 상장 여부, 사업목적, 지배구조, 사업현황, 재무상태 등이 있다. 제반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일부 주주에게 우월적 권리나 이익을 부여하여 차등 취급하는 것이 주주와 회사 전체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등을 따져서 정의와 형평의 관념에 비추어 신중하게 판단하여야 한다.
    주주 전원의 동의에 따라 이루어진 차등적 취급 약정이 상법 등 강행법규를 위반하지 않고 법질서가 허용하는 범위 내의 것이라면 사안에 따라서 그 효력을 인정할 여지가 있다. 하지만 주주에게 투하자본의 회수를 절대적으로 보장하는 취지의 금전지급약정은 회사의 자본적 기초를 위태롭게 하고 주주로서 부담하는 본질적 책임에서조차 벗어나게 하여 특정 주주에게 상법이 허용하는 범위를 초과하는 권리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법질서가 허용하지 않는 강행법규 위반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하여 주주 전원의 동의를 받았다 하더라도 예외적으로 효력을 얻을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상의 논의는 주주와 회사 사이의 법률관계에 대한 것이다. 주주간 계약에는 주주평등의 원칙이 직접 적용되어서 그 효력을 좌우하게 된다고 할 수 없다. 회사가 신규 투자자를 유치하면서 투자계약을 체결할 때 대주주 겸 경영진이 함께 계약 당사자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은데, 투자계약 중 대주주 겸 경영진 개인과 신규 투자자 사이에 체결된 부분에는 주주평등의 원칙이 직접 적용되지 않는다. 주주는 회사와 계약을 체결하면서 사적자치의 원칙상 다른 주주 내지 이사 개인과도 회사와 관련한 계약을 체결할 수 있고, 그 계약의 효력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주주와 회사가 체결한 계약의 효력과는 별개로 보아야 한다.
    이 사건과 같이 투자계약에서 대주주 겸 경영진이 이해관계인으로서 회사의 신규 투자자에 대한 책임을 연대하여 부담한다고 약정한 경우에 그 책임이 회사의 책임에 부종하는 연대보증책임인지, 아니면 회사의 책임에 독립하는 연대책임인지가 다투어진다. 이 부분 쟁점은 대주주 겸 경영진 개인과 신규 투자자 사이의 채권적 계약 해석 문제로 귀결된다. 계약의 형식과 내용, 계약이 체결된 동기와 경위 및 목적, 당사자의 진정한 의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논리와 경험의 법칙, 사회일반의 상식과 거래의 통념에 따라 합리적으로 해석해야 하는 등 계약 해석에 관한 일반 원칙을 적용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rinciple of equity among shareholders holds a company responsible for the fair and equal treatment of shareholders based on the number of shares held by each holder, and any agreement between shareholders and a company in violation of this principle is null and void, barring special circumstances. The main issue of the subject case pertains to whether the granting of preferential rights or interests to new investors through the issuance of different classes of shares as part of an investment agreement is in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equity of shareholders.
    While it needs to be noted that an excessively standardized, formal, and mechanical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equity of shareholders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actual transaction practices and stifle the investment of venture businesses, exceptions to the principle of equal treatment of shareholders, i.e., the principle that shareholders should be treated equal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shares each holds, may be recognized where there are extraordinary circumstances. However, it needs to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that taking a too lenient approach or indiscriminately applying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to legal relationships between shareholders and a company may have adverse impact on other fronts, such as infringing on the principle that a company’s assets have to equal to the sum of its liabilities and shareholders’ equity and thus neglecting creditor protection. The subject case attempted to cautiously tread in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allowing an exception to the principle of equitable treatment of shareholders.
    An exception to the principle of equal treatment of shareholders may be admitted where either it follows statutorily stipulated procedures and methods or where there exist extraordinary circumstances justifying differential treatment of shareholders. The specific standards for determination include: (1) the specifics of differential treatment; (2) the context in which a company adopted discriminatory approach and the purpose thereof; (3) whether the discriminatory approach was necessary for the interest of the company and shareholders as a whole and if so, the degree of the necessity; (4) whether the preferential treatment of some shareholders over the others has its statutory basis in the relevant statutes such as the Commercial Act, or whether it instead contravenes imperative provisions and refuses to admit the fundamental rights of shareholders having a lower priority than creditors; (5) whether the granting of special powers to some shareholders with regard to management participation and oversight would restrict the decision-making powers of corporate organizations, thereby ultimately infringing on shareholder voting rights, and the specifics of the disadvantages incurred by the other shareholders and the degree thereof due to the preferential treatment; (6) whether the other shareholders, who would suffer disadvantages due to the preferential treatment of some shareholders, consented to such inequitable treatment that empowers an individual shareholder to dispose of their shares at their discretion and the overall consenting rate; and (7) whether the company in question is listed on the public exchange, the purpose of business, the governance structure, the state of business operations, and the company’s financial conditions. All relevant factors should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to examine whether the granting of preferential rights or interests to some shareholders and affording preferential treatment to only some shareholders serve the interest of the shareholders and company as a whole, and to make a cautious determination in light of the concept of justice and equity.
    If a shareholder agreement on preferential treatment concluded with the consent of all shareholders is neither in violation of the imperative provisions like the Commercial Act nor exceeds the confines of the legal order, the validity of such an agreement may possibly be recognized. However, a payment agreement giving an absolute assurance of the recovery of the injected capital would compromise a company’s capital base and allow a leeway for shareholders to deviate from the fundamental responsibility of shareholders, thereby granting rights beyond the scope specified by the Commercial Act to some shareholders, which constitutes a violation of imperative provisions in defiance of the legal order; hence, such an agreement does not fall within the cases eligible for an exception to the recognition of validity even if consent has been obtained from all shareholders.
    The discussion so far pertains to the legal relationship between shareholders and a company. On the other hand, an agreement between shareholders is not subject to the direct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equal treatment of shareholders that would determine the validity thereof. When a company attracts investment and concludes an investment agreement, where a majority shareholder-managing partner promises to join as a contracting party, the part of the investment contract concluded between a majority shareholder-managing partner as an individual and new investors is not subject to the direct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equal treatment of shareholders. A shareholder, when concluding an agreement with a company, may conclude a company-related agreement with the other shareholders or an individual company director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and the validity of such company-related agreement should be considered discrete and separate from that of the agreement concluded between the shareholders and the company, unless there exist extraordinary circumstances warranting otherwise.
    In a case like the instant case where a majority shareholder-managing partner, as a stakeholder, promises to be jointly and severally liable for new investors of a company, whether the liability constitutes a jointly guaranteed liability attendant to the company’s liability or a joint and several liability independent of the company’s liability is at dispute. This ultimately boils down to the interpretation of an in personam contract concluded between an individual majority shareholder-managing partner and new investors. The general principles concerning contract interpretation may be applicable, which requires reasonableness in the interpretation of a contract that comprehensively takes into account the form and content of a contract, the motivation, background, and purpose driving the conclusion of a contract, and the genuine intention of the parties concerned, in accordance with logical and empirical rules, common sense of the general society, and general idea of transa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