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고전문학 작품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 영화『겐지모노가타리 천년의 수수께끼』로쿠조미야스도코로 캐릭터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ransmedia Storytelling in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 Focusing on the Character of Rokujomiyasudokoro in the Film "Genji Monogatari: Sennen no Nazo"-)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4.08
18P 미리보기
일본 고전문학 작품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 영화『겐지모노가타리 천년의 수수께끼』로쿠조미야스도코로 캐릭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 / 103호 / 241 ~ 258페이지
    · 저자명 : 전영희

    초록

    근래에 들어 문화콘텐츠가 각광을 받으면서 OSMU(One Source Multi Use)의 원형 콘텐츠로서 고전문학 텍스트가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그중에서도 일본 고전문학의 대표적인 작품이자 다양한 형태로 가장 많이 재생산되고 있는 작품이라면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를 들 수 있다. 헤이안 시대 여성 궁인에 의해 탄생된 『겐지모노가타리』는 시대 흐름에 따라 실제로 다양한 형태로 향유되어 왔다. 즉『겐지모노가타리』는 일본 고전문학 작품 중에서도 킬러 콘텐츠로 파악할 수 있다. 『겐지모노가타리』에서 파생되어 변용되고 재창조되는 문화콘텐츠들은 그 전체상과 가짓수를 파악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방면에 걸쳐 생성되고 향유되고 왔는데, 현대에 이르러 서는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만화, 다카라즈카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겐지모노가타리』라는 고전작품이 이미 대중문화콘텐츠로서 확고하게 자리를 잡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겐지모노가타리』의 이러한 특징에 주목하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의한 『겐지모노가타리』를 원작으로 하는 콘텐츠의 분석을 일본 고전문학 작품에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서 캐릭터가 가지는 중요성이다. 이는 어떤 이야기라도 견고하게 구축된 세계관에 충분한 배경 이야기와 갈등을 가진 캐릭터가 있어 멀티플랫폼을 통해 이야기될 수 있다면 트랜스미디어가 될 수 있기 때문인데, 이 부분이 고전 문학연구에 있어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고전 문학작품 연구는 대부분 원문에 입각한 충실한 해석이지만, 작품의 캐릭터를 이해하는데 새로운 비교 콘텐츠라는 재료를 얻게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원문의 해석을 통한 캐릭터와 콘텐츠 속 캐릭터의 비교 분석은 결과적으로 두 캐릭터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만든다. 즉 결과적으로 원작 텍스트상의 캐릭터 이해로 이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을 가진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가장 적합한 일본 고전이 바로 『겐지모노가타리』일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탄생한 문화콘텐츠의 분석은 원문 『겐지모노가타리』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좋은 분석 도구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In recent years, as cultural contents have become more and more popular, classical texts have begun to attract attention as the prototype content for OSMU (One Source Multi Use). Among them,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orks of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and the most reproduced work in various forms is the 『Genji Monogatari (源氏物語)』. Created by a female courtier in the Heian period, it has actually been enjoyed in various forms throughout the ages, making it one of the “killer” works of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The cultural contents that are derived, transformed, and reinvented from Genji Monogatari have been created and enjoyed in so many ways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full picture. In modern times, they have been utilized in various media such as movies, dramas, anime, manga, and takarazuka. This means that 『Genji Monogatari』has already been firmly established as a popular cultural content.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se characteristics of 『Genji Monogatari』and use transmedia storytelling to analyze content based on 『Genji Monogatari』in classical Japanese literature. What deserves special attention is the importance of characters in transmedia storytelling. Any story can qualify as transmedia if it can be told through multiplatforms with characters who have enough backstories and conflicts in a solidly built world, enabling its storytelling across various platforms. This part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on classical literary works is primarily a faithful interpretation based on the original text, but it also provides new comparative content to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s of the work. C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s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text and the characters in the content lead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both characters, which in turn leads to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s in the original text. Arguably, the most suitable Japanese classic for transmedia storytelling with these characteristics is 『Genji Monogatari』, and the analysis of cultural contents created based on it will be a good analytical tool to better understand the original text, 『Genji Monogatar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