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독교교육정보」학술지의 핵심 가치체계와 학문적 성과에 관한 연구: 2015-2017년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A Self-Evaluation on the Core Values and Academic Outcomes of the Journal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Period of 2015 to 2017)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8.06
33P 미리보기
「기독교교육정보」학술지의 핵심 가치체계와 학문적 성과에 관한 연구: 2015-2017년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교육정보 / 57호 / 295 ~ 327페이지
    · 저자명 : 김기숙, 한미라

    초록

    본 논문은 두 가지의 목적으로 공동 집필되었다. 첫째, 한국 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한국 기독교교육정보학회가 추구해 온 학술지 정책을 알리기 위해 학술지가 추구하고 있는 핵심 가치들을 명료화하는 것이다. 둘째,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 동안 「기독교교육정보」지에 게재된 논문들(117편)의 학문적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학회의 학술지인 「기독교교육정보」지의 분석준거는, 본 학회의 설립취지로부터 도출된 다섯 개의 핵심가치(정체성, 융합성, 실용성, 공공성, 정보성)와 15개의 하위가치(전통, 전문성, 인성, 개방, 통합, 혁신, 적용성, 현실성, 효율성, 정의, 평등, 공익, 공유, 컨텐츠, 첨단성)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정체성이란 기독교교육을 위한 기초 이론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고 있다. 정체성의 핵심가치를 구현하는 하위가치로는 역사와 전통, 전문성, 인성으로 보았다. 둘쨰, 융합성은 2000년 설립 당시부터 본 학회가 추구해왔던 핵심가치에 해당된다. 융합성의 핵심가치를 구현하는 하위가치로는 개방, 통합, 혁신으로 보았다. 셋째, 실용성이란, 학술 논문의 교육현장에서의 적용성(applicability)을 말한다. 하위가치로는 적용성, 현실성, 효율성으로 보았다. 넷째, 모든 학문이 본질적으로 공공성을 추구하고 있듯이, 기독교교육학도 궁극적으로는 인간 공동체의 공공성을 지향함을 강조한다. 본 학술지가 규정한 공공성의 하위가치란 정의, 평등, 공익에 관한 내용에 근거한다. 다섯째, 정보성은 본 학회 설립 당시부터 일관되게 강조하고 있는 기본가치이다. 정보성의 정의는 시대에 변화에 따라 조금씩 최신화 되어야 한다. 본 학회가 이해하고 있는 21세기 정보성은 공유, 컨텐츠, 첨단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최근 3년간 본 학술지 게재논문들의 자체평가에서 발견한 성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 할 수 있겠다. 첫째, 지난 10년간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지 계속평가 이후 본 학술지 게재논문들의 이론과 실천의 균형비율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2008년 이론과 실천의 비율이 1:9, 2010년에 3:7, 그리고 2014년에 4:6, 2017년에는 6:4). 둘째, 학제간 융합연구가 활성화된 것이 커다란 성과라고 평가할 수 있다. 논문을 투고하는 연구자들의 전공을 보면, 교육학, 사회복지, 경영학, 상담학, 심리학, 행정학과 심지어 공학, 의학교수들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셋째, 투고 논문들이 관련된 교육현장과 연구 결과들의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것이 괄목할 만한 변화이다. 즉, 연구재단의 분류에서는 기타로 분류된 교육현장 영역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말이다. 기독교교육 연구자들이 교회, 가정, 학교라는 기존의 영역을 넘어 보다 광역의 교육현장에서 연구된 논문들이 많이 게재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끝으로, 지난 18년간 정보성과 융합성을 꾸준히 강조해온 본 학술지, 「기독교육정보」는 기독교계 첨단 학술 저널의 하나로서 공적 책무성을 강화하는 학술지로 자리매김 해가고 있다고 평가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has been prepared for the 4th continuous evaluation of the academic journal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More specifically, it analyzes the core values and scholarly achievements of 117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KSCEIT) during the three years from 2015 to 2017.
    The criteria consisting of 5 core values and 15 sub-values for analyzing the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are developed by the editorial committee of the journal of KSCEIT. The five core values of academic journals pursued by the KSCEIT are academic identity, hybrid, practicality, publicness, informativeness. Identity includes the study of basic theories for Christian education. The three sub-values that embody the identity of Christian education are seen as history & tradition, professionalism, and humanness.
    Since the KSCEIT's genesis in 2000, the concept of hybrid has become one of core values that the Society has pursued. The sub-values that embody hybrid are seen as openness, integration, and innovation. The practicality emphasized by the Society is the application of academic discoveries in the various fields of education. The sub-values are considered as application, realness, and efficiency. Although all academic disciplines claim to pursue a public nature, Christian education considers more preciously of publicness than any academic discipline. The sub-values of as defined in this article is about justice, equality and public interest. Informativeness is the core value emphasiz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The sub-values used for evaluating this category are shared-ness, digital contents, and cutting-edged.
    The finding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3rd evaluation (2011), the bala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of the articles published has been improved. The balance ratio between theory and practice of the articles was shown improving: in 2008 9:1, reached 7:3 in 2010, 6:4, in 2014, and 4:6 in 2017. Second, it is a great achievement that interdisciplinary hybrid researches were conducted most during the same period.
    The professors who contributed to this journal are getting diverse, such as general education, social welfare, business administration, counseling, psychology, and public administration, and nowadays even professors of engineering and medicine are contributing their articles as well.
    Third, it is another achievement that the scope of education field and practice research is expanding. As a result, in the ratio of educational papers in KSCEIT's Journal, there is a large increase in unclassified education field. This means that there are a lot of papers dealing with a more inclusive field of education than those limited to the conventional Christian education field like church, home, and school.
    This journal is one of the cutting-edge journals in Korean Christian academics and its fame has been build up and improving as a reliable academic journal enhancing public accountability. Finally, one of the greatest fear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ight be that “humanities will no longer be able to study humanness.” The quality of this journal is a result of the joint efforts of editors, authors of the last 18 years, and critical readers. In the future, KSCEIT promises to become a leader of the Christian academic community and to raise awareness of these issues. We look forward to hearing good news from the fourth evaluation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