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 검열과 “식민지-제국” 표상 -『조선출판경찰월보』의 다섯 가지 통계표가 말해주는 것 ("Colony-Empire" as Japanese Empire self-representation in The Japanese Censorship in the Colony Korea What Five Statistical tables of administrative activities on the publications in The Publication P)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0.12
45P 미리보기
식민지 검열과 “식민지-제국” 표상 -『조선출판경찰월보』의 다섯 가지 통계표가 말해주는 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72호 / 489 ~ 533페이지
    · 저자명 : 이혜령

    초록

    식민지 검열 연구에 있어, 출판물의 물질성은 새삼 주목을 필요로 한다. 왜냐하면 식민지 검열은 발행의 허가와 금지, 차압과 삭제, 주의 등 행정처분을 주로 하여, 출판물이라는 물건의 물질성의 변경을 매개로 출판물의 책임자와 독자에게 영향을 가하고자 한 것이기 때문이다. 출판경찰의 활동은 출판물의 책임자가 출판물을 제작하는 과정(A), 그리고 그 출판물이 독자의 손에 들어가는 과정(B), 이 두 과정에 대한 개입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총독부 경무국 도서과가 매월 작성한 『조선출판경찰월보』는 이 과정에 대한 기록으로, 출판물에 대한 행정처분 기록이었다. 그 활동을 통계로 나타낸 『월보』의 다섯 개의 통계표는 ‘출판물’이라는 물건의 身元을 어떻게 기술할 것인가를 둘러싸고, 제국 일본의 흥미로운 세계상을 보여주었다. 출판물이 제작되는 곳은 일본 제국의 영토인가, 외국인가, 영토라면 일본 본토인 내지인가, 조선인가, 그것은 누가 만들었는가, 어떤 문자로 인쇄되었으며, 어떤 법의 적용을 받는가 등이 출판물의 신원기술에 제시된 항목이었다. ‘출판물납본수 및 출판출원수표’ ‘출판물행정처분건수표’ ‘신문지행정처분건수표’ ‘차압처분통계’ ‘주의통계’ 등 다섯 가지 통계표는 ‘식민지’가 영토와 인구, 법의 차원에서 일본 제국의 비동질적 내부이자 그런 이유에서 외부로 설정될 수밖에 없었던 딜레마를 보여준다. 특히 출판물에 의한 지식과 사상의 이동이 활발해지는데 그 통제는 인적 통제보다 더욱 곤란했다. 제국의 팽창과 함께 이주가 빈번해지고 이중언어 사용지역이 커지기 때문이다. 행정처분의 양에 있어 압도적인 비중을 이루던 ‘내지’와 ‘지나’에서 ‘조선’으로 들어오는 불온문서-특히 삐라-에 대한 대처방식은 이를 잘 보여준다. 이러한 검열기록은 제국 일본의 자기표상이 식민지를 포함된 외부이자 배제된 내부로 유지하는 ‘식민지-제국’임을 보여준다. 한편, 식민지 검열은 ‘출판물’ 자체에 향해 있던 것만은 아니다. 검열은 궁극적으로는 출판물을 매개로 어떻게 지배의 대상인 인간을 기술하고 통제할 것인가가 문제였다. 따라서 식민지 검열은 어디에서, 누가 썼느냐보다는 어떤 문자로 쓰였는가를 중요시했다. 왜냐하면 그것은 누가 읽을 것인가를 지시하기 때문이다. 잠재적 해악성의 실현은 바로 누구의 손에 그 불온문서가 들리게 될 것인가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출판물의 언어, ‘사용문자’는 『월보』의 통계표에는 제시되지 않는 출판물의 독자의 신원을 지시하는 기표였던 것이다. 특정한 ‘사용문자’로 지시된 독자는 언제나 같은 종족-즉 동족으로 가정된 독자, 즉 동족독자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blication Police Monthly of Korea(朝鮮出版警察月報) was confidential documents about the censorship actions against publications in colonial Korea, and published by the Book Department(圖書課) of Police Bureau (警務局) under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such classification categories manifest the political and cultural designs of the censorship apparatus of the colonial regime how to control publishers and audiences by regulating aspects of their publications.
    The end purpose of censorship lies in coercing mental compliance, but the object of violence applied is the physical products of mental labor, that is, the publications. Notably the Monthly records the administrative actions taken against publication as well as their publishers. Thus the publications were the immediate concern of the publication police (by extension imperial Japan), and the responsible publishers were next concern. The enterprise of publication can be divided into two processes of manufacturing (process A) and distributing (process B) to the reader. The colonial Publication Police (Shuppan keisatsu) interfered with these two processes, screening and controlling publications passing through them, and the recordings of such activities being the Monthly. In the Monthly, the five statistical tables of administrative actions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y are a quantitative representation of the Japanese censorship activities in Korea, and were indispensable at almost all issues of the Monthly during its life of about ten years. Five statistical tables shows Japanese empire's self-representation as "colony-empire" through problems of how 'identification' of the publications could be describe. For Japanese empire, the colony Chōsen had to be the external part included in the empire and also the inner part excluded from the emp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