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의 복안적 시점과 스에쓰무하나[末摘花] (Stereoscopic Vewpoint of The tale of Genji - Focused on Suetsumuhana-)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8.12
25P 미리보기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의 복안적 시점과 스에쓰무하나[末摘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일본연구 / 78호 / 181 ~ 205페이지
    · 저자명 : 권도영

    초록

    本論文は『源氏物語』の登場人物の末摘花を中心に物語作者の複眼的視点が光源氏の造型にいかに関わるか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 取り柄のない醜女として登場する末摘花は末摘花巻では否定的に評価される。源氏の失望感として現れたその否定的評価は単に空蝉に劣る外見や内面のみではなく、貧しい没落貴族でありながらも変化を嫌う生き方にも及んでいる。ところが、蓬生巻では生き方を変えずに貧しさの中で源氏を待ち続けた末摘花が肯定的に評価される。このような末摘花に対する評価の変化は語りの視点が変わった結果でもあるが、源氏が彼女を褒め称えて二条東院に引き取った内容を考えれば問題を語りの視点変化だけに限定できないように思われる。蓬生巻が源氏の須磨・明石退去を背景にすることを視野に入れれば、末摘花に対する肯定的な評価には須磨・明石退去の際に源氏が味わった経験が影響を及ぼしているようである。桐壺院の死後、須磨・明石退去を経るうちに源氏が人々の心変わりを目睹したために末摘花の変わらない心を高く評価するようになったということだが、蓬生巻にはその関係を薄弱なものにする草子地が見られる。物語作者が、不変を肯定する物語の言説における源氏の変化を価値付けにくかったために不自然な草子地を必要としたということである。ここに価値の衝突が起きた作者の複眼的視点が確認できる。 物語作者の視点は源氏に内在化して現れることもあるが、時には源氏を客体化することもある。前者の例は末摘花巻を挙げることができ、後者は玉鬘十帖で末摘花の古風な和歌詠みを非難する源氏の様子から確認できる。末摘花の変わらない古風な歌詠みを非難する源氏の様子は歌論に対する見解としても解し得るが、玉鬘に対して母の夕顔の時に変わらない愛情を訴える源氏の様子に照応して考えれば、源氏の変わらない好色を非難する物語作者の声のようにも思われる。『源氏物語』を短篇として局所的に読む時と一本の長編として読む時は、作者の複眼的視点が源氏を物語の価値を規定する存在にも物語の価値に反する存在にも造型する。末摘花という人物はそのような読書のためのライドラインを提示する存在なのである。

    영어초록

    This paper considers how the stereoscopic viewpoint of the author of The tale of Genji is related to the Genji’s character molding. And the consideration will start with Suetsumuhana, a female character who has oppositional evaluation.
    Suetsumuhana is considered a negative figure in “The Saffron-Flower” chapter. The negative perception that Genji’s disappointment shows not only her inferior appearance and inner self, but also her life attitude that seems to refuse to escape poverty. However, in the “The Palace in the Tangled Woods” chapter, Suetsumuhana’s refusal to escape poverty is positively evaluated. This change of evaluation is due to not only a change in the viewpoint of a narrative but also Genji’s change. While experiencing Kiritsubon’s death and the eviction of Suma and Akashi, Genji saw people changing according to the times. It makes Genji look at Setsumuhana positively. However, there are signs of negating such a relationship in “The Palace in the Tangled Woods” chapter. The narrative author replaces the unnatural sausage instead of adding value to the changes in Genji in a statement affirming the unchanged appearance. Here you can see the author’s point of view of conflict of value.
    The viewpoint of the narrative is sometimes indicated by the Genji, but sometimes the Genji is objectified. An example of the former is “The Saffron-Flower” chapter. Another example of the latter is the criticism to Suetsumuhana who practiced an old-style Waka in Tamakazura-jujo. Genji, who criticizes the old-style Waka, may be a force of opinion about Waka. However, if you think about Genji’s constant amorous personality, you can take it as a rebuke to Genji’s unalterable personality. When we read a chapter of The tale of Genji as a short story, and as we read The tale of Genji as a long narrative Genji differentiates hemself from the stereoscopic viewpoint of the author. The character, Siethmuhana, presents guidelines for such rea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