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계 창작 시대 한시를 어떻게 향유할 것인가-한시 창작 AI에 대한 비판적 고찰- (How to enjoy Sino-poetry in the era of Generative AI -A Critical Review of AI for Sino-poetry creatio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4.04
36P 미리보기
기계 창작 시대 한시를 어떻게 향유할 것인가-한시 창작 AI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90호 / 367 ~ 402페이지
    · 저자명 : 지영원, 유인태

    초록

    본 글은 한시 창작 AI의 현황을 검토하고 향후의 가능성과 그 의미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딥러닝 기술의 대두 이후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각종 창작 AI의 도전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한시에 대해서도 비슷한 시도가 포착되고 있다. 한시는 한자 문화권의 대표적 문예 양식으로서 함축과 풍격, 율격과 의상 등을 중시하는 그 특성으로 인해 창작 AI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효과적 매개가 될 수 있다. 또한 창작 AI를 기동하기 위해서는 표준적 형식으로 구축된 대규모 한시 데이터셋(dataset)이 요구되는데, 중화권에서는 그러한 성격의 한시 데이터가 개방적으로 공유되고 있어, AI의 학습 데이터를 확보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현존하는 한시 창작 AI는 수십여 종에 이르며 <九歌>, <SikuGPT2>, <詩三百> 등이 그 대표적 사례에 해당한다. <九歌>는 청화대학교에서 제작한 창작 AI 및 구현 웹사이트로, 순환 신경망(RNN)의 방식을 사용하였다. 해당 창작 AI는 한시 약 80만여 수가 수록된 공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고 자체적으로 가공한 약 10만여 수의 한시 데이터베이스를 학습하여 이를 토대로 한시를 창작한다. <SikuGPT2>는 남경농업대학교에서 제작한 창작 AI로, GPT2의 인과 언어 모델(CLM)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 창작 AI는 한시 약 30만여 수가 수록된 공개 데이터베이스와 四庫全書 데이터베이스를 학습하여 창작에 활용하고 있다. <詩三百>은 언어 모델을 분명하게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위에서 언급한 공개 데이터베이스 외에도 대련 약 70만 연이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한시 창작 AI는 AI 생성 모델(generative model)의 확장적 구현이라는 측면에서 일정한 의의를 지닌다고 해야겠으나, 점점 사멸해가는 한시 문학의 특성상 한시 창작 AI에 의해 창작된 작품은 의례적 칭찬 이상의 온당한 평가를 받기가 쉽지 않다. 다만 이로부터 몇 가지 시사점을 정리해보자면, 생성형 AI 기술을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한시(근체시)라는 전통적 문예 장르가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 한시 창작 AI를 구현하려면 본격적 학습 데이터로써 웹 표준 형식의 대규모 한시 데이터셋(dataset)이 구축되어야 한다는 점, 한시 창작 AI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소위 ‘기계(machine)’를 매개로 한시에 관한 새로운 시각 및 통찰 등을 전달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 등을 예시해볼 수 있겠다. 그리고 현시점에서 상용화된 대표적 한시 창작 AI 플랫폼들로부터 ‘대동소이한 창작 경향’, ‘용사의 부재’, ‘율격에의 지나친 의존’ 등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부정적 징후를 개선하기 위한 유효한 변수로 “고전비평” 데이터와 “사전류” 데이터를 추가 학습 자원으로 활용하는 것 등을 대안으로 생각해볼 수 있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Creative AI in Sino-poetry and discusses its futur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Since the rise of deep learning technology, various Creative AI challenge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have become visible, and similar attempts are being made in the field of Sino-poetry. Sino-poetry, a representative literary form of the East Asian culture, can be an effective medium to represent the performance of Creative AI due to its characteristics that emphasize connotation, style, rules, and images. In addition, genre big data based on web standard formats is required to trigger Creative AI, and Sino-poetry is fully equipped with this, making it very convenient to implement.
    There are dozens of Sino-poetry Creative AIs in existence, including <九歌>, <SikuGPT2>, <詩三百>. 九歌 is a Creative AI and implementation website created by Tsinghua University that uses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method. This Creative AI utilizes a public database of about 800,000 Sino-poetry and learns from its own database of about 100,000 Sino-poetry to create poems based on them. SikuGPT2 is a Creative AI created by Nanjing Agricultural University that uses GPT2's Causal Language Model (CLM) method. This Creative AI draws inspiration from extensive public databases, including around 300,000 Sino-poetry entries and the 四庫全書(Sikuquanshu) database to fuel its creative processes. <詩三百> does not explicitly state its language model, but it reveals that in addition to the public databases mentioned above, it uses a 對聯(couplet) database containing about 700,000 couplet entries.
    While AI Creation for Sino-poetry has certain significance as a scalable implementation of AI Creative technology, the decline of Sino-poetry makes it difficult for the poems Created by AI to receive much more than cursory praise. Some takeaways, however, include the unexpected benefits of Sino-poetry in advancing Creative AI, the web-standardized format-based databases in China that have enabled rapid adoption of Creative AI, and the new context and insights that a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guiding the training of Creative AI. In addition to the shortcomings commonly found in Creative AI, the work of Sino-poetry Creative AIs shows a tendency toward homogeneous creation, a lack of allusion, and an over-reliance on rules in Sino-poetry. Alternatives to these developmental weaknesses include using "classical Sino-poetry criticism" and accepting data from "thesaurus" as another valid variable in the fun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