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언할 수 없는 것을 발언하기: 홀로그램 시위와 일상적 수행의 연극적 관계망들 (Speaking the Unspeakable: Hologram Demonstrations and Their Theatric Relations with Performativity of the Everyda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7.02
24P 미리보기
발언할 수 없는 것을 발언하기: 홀로그램 시위와 일상적 수행의 연극적 관계망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드라마학회
    · 수록지 정보 : 드라마 연구 / 51호 / 65 ~ 88페이지
    · 저자명 : 임형진

    초록

    연극과 일상성의 관계는 단지 무대 위에서 시도되는 일상적인 것들의 수용이라는 측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제는 연극적인 것들이 일상 속으로 수용되는 역전현상이 일어난다. 동시대 연극의 이러한 경향과 현상적 특징들은 문화적 환경과 연관된 사회적 정치적 지형의 위치와 상태에 따라 예민하게 반응한다. 지난 2015년 4월의 스페인 마드리드와 2016년 2월의 서울에서 일어난 해당 국가의 사회적 정치적 사안과 관련된 시위와 집회는 이러한 경우를 잘 설명한다. 두 지역에서 시도된 사회적 목소리의 전달 방식은 홀로그램(Hologram) 매체를 통해 이루어졌다. 눈에는 보이지만 전통적인 개념으로서 실재한다고 규정하기는 어려운 홀로그램 속에 등장한 시위자들은 전통적으로 일상을 통제하였던 거대 권력의 작동방식을 간단히 해체하였다. 이 과정에 작동한 연극적 수행방식은 전통적 미학범주를 완전히 의존하지 않고 변용되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전통적으로 이해되고 수용되어 온 연극의 정치성에 대한 개념은 동시대에 이르러 관객이 연출가의 정치적 의도와 방향, 동의에 관한 수동적 태도를 지양하면서 서서히 이탈하기 시작하였다. 관객은 수용자로서 자신들의 발언을 스스로 전달하게 된다. 동시에 이것은 구체적인 구호나 외침의 형태나 형식을 성실히 따르지 않는다. 참여하는 몸, 집단적인 몸의 현존과 주변 참여자의 시선의 결합을 통해 연극은 동시대적 정치성을 획득하고 존재하는 동시에 은폐된 몸으로서 자신의 목소리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목소리는 일상적인 것으로서 위치하고 연극의 일상화로서 특징된다.
    홀로그램 시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매체적인 몸의 전시는 녹음된 목소리의 전달을 통해 현상적인 몸의 전이를 시도한다. 기록된 목소리의 재생은 발언이 금지된 몸을 전통적 재현의 범주를 넘어서 실재하는 기억과 역사적 존재로서 복원시킨다. 신체적인 부재가 가능한 홀로그램의 몸과 성대의 신체적 울림이 작동하지 않는 녹음된 목소리는 그 현장에 함께 존재하는 응시자, 즉 수용자들의 몸 사이에서 상호매체적인 관계를 구축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공감의 확대는 현상(학)적으로 드러나며, 발언할 수 없는 것을 발언하는 현상적인 몸으로서의 복원과 복제가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끊임없이 연결되는 것이다. 이 모든 과정에서 작동하는 수용자 몸의 수행성은 홀로그램 시위에서 발견되는 동시대 연극과 일상 속의 경계를 해체하고 타자의 발언을 자유롭게 위치시킬 뿐만 아니라, 몸과 물질들 사이에서 상호매체성의 연결고리를 작동시키는 출발지점이 된다. 이로써 일상의 연극적 수용이 아니라, 연극의 일상적 수용이라는 교환의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영어초록

    Das Wechselverhältnis zwischen Theater und Alltag ist nicht nur auf Einflüsse von alltäglichen Erscheinungen auf das Theater begrenzt, sondern schließt auch umgekehrt Rückwirkungen des Theaters auf den Alltag ein. Die Tendenz des zeitgenössischen Theaters, Grenzen zwischen Theater und Alltag zu verwischen, verbindet sich mit kulturellen Hintergründen, die soziale und politische Positionen in der Gesellschaft konstituieren. Zwei soziale und politische Demonstrationen sind in diesem Zusammenhang von besonderem Interesse für die Theaterwissenschaft.
    Demonstranten benutzten sowohl im April 2015 in Madrid, als auch im Februar 2016 in Seoul Hologramme als Ersatz für menschliche Demonstranten. Dabei ist von besonderem Interesse, wie theatrale Prozesse in Situationen integriert werden, in der es um Demonstrations- und Redefreiheit geht. Die Holographie projiziert die Körper von Demonstrationsteilnehmern, die ihre Stimmen gegen die staatliche Politik erheben. Die Ähnlichkeiten der Vorgänge in beiden Hauptstädten zeigt die Effizienz der gesellschaftlich-politischen Kraft, die der Kombination von holographischen Körpern und aufgenommenen Stimmen innewohnt.
    Die Methoden der Teilnehmer an den Hologramm-Demonstrationen unterscheiden sich von traditionellen Konzepten des Protestes gegen Machtsubjekte. Sie unterwandern und dekonstruieren bisherige Mechanismen der Kontrolle. Dabei löst sich das Performative ihrer ,Auftritte‘ von traditionellen Kategorien der Ästhetik und gleichzeitig verändert sich die Rolle des Politischen im Theater. Anders als im traditionellen politischen Theater verliert die politische Haltung des Regisseurs an Bedeutung und die Zuschauer, bisher vor allem Rezipienten, werden zu Teilnehmern mit einer eigenen Stimme, und konstitutieren in Ko-Präsenz mit den anderen Teilnehmern einen kollektiven Körper. Wie im Theater generiert Körperlichkeit auch auf den Demonstrationen politische Schlagkraft, wenn die vielfältigen Stimmen mit den holographischen Körpern der Teilnehmer identifiziert werden. Ihre Stimmen treten dabei als etwas Alltägliches in Erscheinung.
    Die aufgenommenen Stimmen ergänzen die demonstrierenden Hologramme zu phänomenalen Körpern. Das Hören der Stimme führt zur Wiederherstellung des Körpers des Anderen im Alltag. In der Stimme wird das Körperliche als allgegenwärtig wahrgenommen. Durch diese Form der Ko-Präsenz können die Körper der Demonstrationsteilnehmer und -beobachter in ein Verhältnis der Intermedialität zueinander eintreten.
    Der akustische Klang der reproduzierten Stimmen und die gespenstischen Körper konnotieren zudem Aspekte des uneingeschränkten Diskurses über zentralisierte Kontrolle. Sie verkörpern die politischen Stimmen der Anderen, die von der Macht ausgeschlossen sind. Indem die Performativität des Körpers ein intermediales Verhältnis zwischen den Teilnehmern und ihren Hologrammen schafft, wird der Wechsel des Theatralen zum Alltäglichen mögli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드라마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