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목회상담학의 최근 연구동향: 「목회와 상담」 게재논문 분석(2001~2016) (A 16-Year Research Trend Analysis of the Korean Journal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2001~2016))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7.05
32P 미리보기
목회상담학의 최근 연구동향: 「목회와 상담」 게재논문 분석(2001~2016)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회상담학회
    · 수록지 정보 : 목회와상담 / 28권 / 269 ~ 300페이지
    · 저자명 : 장미혜, 정연득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목회상담학의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 나아갈 연구방향을 제언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목회상담학의 잠재적인 연구영역을 발견하여 앞으로의 목회상담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한국교회와 한국사회를 위한 목회상담학 연구를 촉진시키는데 공헌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목회상담학회가 발행하는 「목회와 상담」에 2001년부터 2016년까지 게재된 연구논문 250편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연구대상으로 수집된 각 논문내용을 제목, 초록, 키워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접근방법으로 분류하였다.
    그동안 「목회와 상담」의 게재논문에서 다루어진 연구주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자들은 250편의 논문을 17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했다.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연구주제는 “목회상담”과 “정신역동”이었다. 두 주제는 전체 논문에서 42.8%를 차지하였다. 연구대상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목회상담”, “신앙공동체”, “신앙자원”이었고, 전체 논문에서 48.0%를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목회상담연구에 사용된 연구접근방법을 분석하였는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접근 방법은 전체 논문의 40%를 차지한 심리학적 접근방법이었다. 그 다음 순위가 17.2%를 차지한 성서·신학적 접근방법이었다. 특별히 성서·신학적 접근방법에서는 여성주의 목회상담이론이 강세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목회와 상담」에 여성 목회상담학자들의 참여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와 상관있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본 연구는 그동안 「목회와 상담」의 게재논문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진 학자들의 이름을 조사하고, 심리학, 신학 및 철학, 목회상담 및 종교심리학의 세 분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 목회상담 연구의 발전방향을 논의하였다. 목회상담의 패러다임의 확대는 목회상담에서 다루어지는 연구주제에도 확장을 요청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으로의 목회상담 연구가 문화적 다양성을 추구하며, 지역교회와의 소통을 위해 보다 적극적 관심을 가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목회상담연구는 삶의 정황에서 출발하는 연구로서, 구체적 사례를 일반화 해 나가는 방향성을 지양하고 국소적으로 작은 것이 가진 의미를 발견하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목회상담의 연구대상은 보다 세분화되고 구체적일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목회상담의 연구접근 방법이 이론 연구 외에 다양한 연구방법론의 시도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current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and examines potential research areas as well as neglected areas in the field. Therefore, we expect that it will facilitate further discussions of the study and practice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The trends were identified by an intensive review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KJPCC) from 2001 to 2016. Overall, 250 research article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three content categories: research topics, research objectives, and research approache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the 250 identified articles were coded into 17 categories. The most popular topics were “Pastoral Counseling” and “Psychodynamics.” These two topics accounted for 42.8%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KJPCC. The study also found that “Pastoral Counseling,” “Faith Community,” and “Spiritual Resources” were the frequently preferred research objectives. These three objectives accounted for 48.0% of the articles published. Moreover, this study collected a list of scholars’ names cited in the published articles and categorized them into three areas that include Psychology, Theology & Philosophy, and Pastoral Counseling & Religious Psychology.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recommend a paradigm shift in Korean Pastoral Theology and identify a potential future research direction for KJPCC. This study outlined that the study and practice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must consider pursuing cultural diversity, communicating with local congregations, and focusing more on unique outcomes discovered from specific cases that includes the reality of life rather than general cases. For that, this study suggests that framework broader range of research methodologies and theoretical frameworks be used in the research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목회와상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