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리스토텔레스주의와 토마스주의에 관한 비교 연구 - 포부가 큰 것(megalopsychia)를 중심으로 - (0n the Study of Comparision Aristotelianism with Thomism - focused on megalosychia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3.03
28P 미리보기
아리스토텔레스주의와 토마스주의에 관한 비교 연구 - 포부가 큰 것(megalopsychia)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67호 / 217 ~ 244페이지
    · 저자명 : 이상일

    초록

    성 토마스(St. Thomas)의 도덕규범 안에는 서로 상이하게 보이는 두 가지의 도덕규범 체계가 공존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하나는 아리스토텔레스적인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그리스도교적인 것이다. 그런데 만일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이 하나의 완전한 체계로 본다면, 그의 체계를 초자연적인 그리스도교의 도덕 체계와 결합시켜서 하나의 종합을 이루려고 할 경우에는 반드시 어떤 긴장관계가 초래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양자간의 긴장 관계를 해석하는 두 가지의 관점이 존재한다. 하나는 성 토마스의 양자 간의 종합은 성공적이었다는 관점과 또 다른 하나는 그의 종합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관점이다.
    이에 대하여 본 글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포부가 큰 것(megalosychia)에 대한 성 토마스의 해석을 중심으로 해서 이러한 논란에 대한 적절한 답을 찾고자 애쓸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첫째, 호너(David Honner)와 할로웨이(Carson Hollow)의 주장, 즉 성 토마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포부가 큰 것’에다가 감사(gratitudinis)와 겸손(huminitas)을 부가 또는 보충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의 ‘포부가 큰 사람(megalopsychos)의 자신에 대한 우월의식과 다른 사람들에 대한 경멸, 그리고 배은망덕의 문제를 해결했다는 주장을 먼저 살펴볼 것이다. 둘째, 호너와 할로웨이의 주장에 대한 반론으로써 두 가지를 지적할 것이다. 하나는, 머천(p.Merchen)이 언급했던, ‘도덕성의 내면화’와 관련되어 있는 성 토마스의 ‘외적 좋음의 내면화’를 지적함으로써 호너와 할로웨이의 주장에 대한 반론을 제기할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코플스톤(Frederick Charles Copleston)의 주장, 즉 성 토마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독립적인 인간으로서의 포부가 큰 사람을 의존적인 인간으로서의 포부가 큰 사람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의 포부가 큰 것이라는 탁월성을 심각하게 왜곡했다는 주장을 중심으로 호너와 할로웨이의 성 토마스의 주장에 대하여 반론을 제기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re are two different moral precepts in St. Thomas’ moral precept. One is Aristotelian. The other is Christian. By the way, If Aristotelian teaching were a complete system, When we make a synthesis by combining his scheme with Christian moral scheme, that would cause a tension relation between two schemes. Then, There are two viewpoints to interpret the bilateral tension relation. One is the viewpoint that St. Thomas’ bilateral synthesis is successful. The other is the viewpoint that his synthesis is actually failed.
    As for this, I will try to find a proper answer to this controversy by centering about St. Thomas’ interpretation on Aristotle’s ‘megalosychia’. For the sake of this, First, I will see through David Honner and Carson Holloway’s assertion that St. Thomas solves the question about megalosychia’s own superiority, contempt for others and ingratitude to be mentioned by Aristotle, by adding or supplying gratitudinis and huminitas to Aristotle’s megalosychia.
    In the first place, I will refute against David Honner and Carson Holloway’s assertion 효 pointing to ‘the internalization of external good’ in relation to the internalization of morality to be mentioned by p.Merchen. The next thing, I will refute against David Honer and Carson Holloway’s assertion by centering about Frederick Charles Coplestone’s assertion that St. Thomas distorts seriously the virtue of megalosychia by transforming Aristotle’s megalosychia as a independent person into the megalosychia as a dependent pers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