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귀여움과 장애, 기형적인 것의 향유 (Cuteness and disability, cultural play of deformed thing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8.08
32P 미리보기
귀여움과 장애, 기형적인 것의 향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79호 / 35 ~ 66페이지
    · 저자명 : 권유리야

    초록

    이 연구는 대중문화 콘텐츠에서 등장하는 귀여움을 가시적인 낙인이 없는 장애상황으로 규정한다. 귀여움은 미(美)와 그로테스크의 경계에 걸쳐 있는 대단히 불균형한 감정이다. 귀여움은 기형적인 존재가 놓여 있는 장애상태를 전혀 다른 성격의 판타지의 형태로 인지되는 독특한 감정인 것이다. 작고 무력한 존재가 전적으로 자신의 보호 아래 있다는 생각이 황홀감으로 바뀔 때 귀여움의 판타지가 작동한다. 미성숙한 것을 아름다움으로 긍정하려는 마음의 준비가 있기 때문에, 일단 귀여움이라는 단어가 개입되면 대중들은 금방 황홀감에 빠져 귀여움의 결핍상황을 인지하지 못할 뿐이다.
    따라서 친밀성의 사회에서는 귀여움에 내재된 장애상태를 쉽게 인지하지 못한다. 결핍과 불편함이 친밀감 속으로 숨어들었을 때, 이를 구별해 내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오히려 이례적이고 강렬한 자극을 갈구하는 대중문화사회에서 장애는 더욱 매력적인 상품으로 각광받는다.
    이 연구는 귀여움의 본질을 유아적 판타지로 규정하고, 걸그룹 소녀, 반려동물, 오타쿠의 캐릭터를 통해서 귀여움의 결핍상황이 대중적 유희의 대상이 되는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첫째, 걸그룹의 글로벌한 인기의 요인을 작고 앙증맞은 미니어처에 대한 우월한 관음의 욕망으로 이해한다. 미니어처적인 의미를 갖는 걸그룹 소녀들, 경배와 경멸의 시선을 동시에 받는 소녀들의 무력한 상황이 글로벌한 문화상품이 되는 동력이 되고 있다.
    둘째, 반려동물의 등장을 인구수 급감으로 인한 사회적 공백을 메우려는 필연적인 현상으로 파악한다. 반려동물이 인간 사회 내부로 들어오면서 생기는 공포를 귀요미 동물에 대한 행복으로 바꾸어 내는 공포와 매혹의 착시 현상을 다룬다.
    셋째, 오타쿠들은 캐릭터가 놓여 있는 현실 서사를 삭제하고 캐릭터의 외양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만을 소비하는 동물적인 삶을 보여준다. 이들은 원본의 진정성에 애착을 갖지 않으며, 인간성이 동물성과 데이터베이스 수준으로 분열된 채 공존하는 장애상황 자체가 유희의 테마가 됨을 고찰한다.
    ‘걸그룹 소녀→ 반려동물→ 오타쿠 캐릭터’로 이어지는 과정을 ‘미니어처에 대한 관음의 쾌감→ 공포와 매혹의 착시→ 허구적 데이터베이스의 향유’에 대응시켜 장애 상태가 글로벌한 문화적 유희의 대상으로 이행하는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defines a situation of disability where there is no visible stigma of cuteness in modern society. Cuteness is a very unbalanced feeling that crosses the border between beauty and grotesque. Cuteness is a very unique emotion that is recognized in the form of a fantasy of a different nature as a condition of dis ability in which a deformed being is placed. Fantasy of cuteness turns into ecstasy in the idea that a small helpless being is entirely under his protection. Because there is preparation of mind to express immature for beauty, once the word 'cuteness' is involved, the public is instantly ecstatic and does not appreciate the lack of 'cuteness'.
    In a society of intimacy, disability is not easily recognized. When scarcity and inconvenience move into intimacy,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In a popular cultural society, which crave unusual and intense stimulation, disability is seen as a more attractive product.
    The study defines the essence of cuteness as an infant fantasy and examines the lack of cuteness as the subject of popular entertainment through girl groups, animal companions and cariters of otaku.
    First, I understand the global popularity of girl groups as the superior voyeurer's desire for small, dainty miniatures. The helpless situation of girl bands and girls who are looked upon as miniatures and worship and contempt at the sametime is becoming a global cultural product.
    Second, we see the presence of pets as an inevitable phenomenon to fill the social vacuum caused by the rapid decline in population. It is an optical illusion of fear and fascination that turns fear, which is formed, animal companions entering human society into happiness for cute animals.
    Third, otaku shows an animal life by deleting the real-life epic where the character is placed and consuming only the database related to the character's appearance. They are not attached to the authenticity of the original, and consider that the disability situation in which human nature collapses disastrously at the leve of animal nature and database itself becomes the theme of entertainment. The process of connecting ‘girl groups→animal companions→otaku characters’ is reflected in ‘enjoyment of miniatures→an optical illusions of fear and fascination→the enjoyment of fictional databases’, cosnider that the disability status is transferred to the global entertainment mark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