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백의 시 : 가는 것과 오는 것의 사이에서 (Poem of Blank Space: Between Going and Com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9.02
26P 미리보기
여백의 시 : 가는 것과 오는 것의 사이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人文科學硏究 / 39권 / 125 ~ 150페이지
    · 저자명 : 한혜린

    초록

    세계와 자아의 동일성이 진리였던 20세기 중반을 지나면서 시인들은 새로운 표현과 언어를 모색한다. 새로운 시적 작업은 자신을 한정함으로써 무無로 돌아가는 훈련을 통하여 바깥을 수용하는 ‘여백’에서 시작된다. 동양회화의 독특한 화면 구성법인 여백은 화면 속의 빈 공간으로, 그려진 것과 그려지지 않은 것(빈 공간)이 각각 그것 자체에 머물지 않고, 서로가 서로를 환기하는 작용을 통해 의미 영역을 확산시킨다. 회화적, 공간적 개념인 여백이 시에서는 감정의 절제와 문장의 생략을 통한 외부 묘사로서의 공백으로 나타난다. 이로써 말한 것과 말하지 않은 것이 서로 마주한다. 김종삼과 김춘수는 동시대적 문제의식을 지니고 있던 시인들로서 시작(詩作)에서 유사점을 보여준다. 두 시인의 시는 객관적인 외부세계 묘사와 주관으로서의 추상화가 병치되고 조화를 이룬다. 이로써 두 시인의 무(無)로 돌아가는 시적 작업은 허무주의로 귀결되지 않으며, 자신을 최소한으로 한정시키면서 최대한으로 세계와 관계 맺고자 하는 것으로 정리된다.
    여백의 시란 자아로 세계를 언어화하는 것도, 남김없이 비우는 작업을 통해 외부의 세계를 그대로 재생산하는 것도 아니다. 비움과 채움이 동시에 울림으로써 외부와 내부가 서로 침투하고 작용하는 관계의 장場인 것이다. 언어란 계속적으로 자아의 재현으로 향하려 한다. 두 시인의 길은 동일성의 언어를 넘어 이쪽에서 말하는 것과 저쪽에서 오는 것 사이의 울림에 놓여 있다. 여백의 시가 아름다운 것은 공백이 아니라 현실(물리)과 관념(심리)이 함께 호흡한다는 것에 있다.

    영어초록

    Through the mid twentieth century, when the identity of the world and self was true, poets seek new expression and language. The new poetic work begins with a blank space to accommodate the outside through training of returning to nothing by defining oneself. The blank space, which is the unique screen composition of Oriental paintings, is an empty space in the screen. The painted and unpainted things(empty spaces) diffuse the meaning space through the action of mutually ventilating each other, rather than settling for the way things are. The blank space, a pictorial and spatial concept, appears in the poem as a void of an external description through the abstraction of emotion and the omission of sentences. As a result, things spoken and unspoken face each other. Kim Jong sam and Kim Chun soo show similarities in poetry as poets who possessed the consciousness of contemporary problems. The poetry of the two poets is juxtaposed and is in harmony with the description of the external world and the abstraction as the subject. Thus, their poetic work of returning to nothing does not result in nihilism, and it is summarized as trying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the world at the maximum while limiting himself to the minimum.
    It is neither the language of the world through self, nor the reproduction of the outside world as it is, through the work which empties without leaving. It is a place where the outside and the inside penetrate and function as emptying and filling sound at the same time. Language is constantly about to return to the representation of self. The paths of the two poets lie beyond the language of identity to the sound between speaking here and coming from beyond. The beauty of blank space is that the reality(physics) and ideas(psychology) breathe, not blank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人文科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