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劍에 대한 고고학적 상상 (An Archaeological Imagination of the Dagge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4.12
22P 미리보기
劍에 대한 고고학적 상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2024권 / 4호 / 633 ~ 654페이지
    · 저자명 : 배진성

    초록

    이 글은 검과 호를 한반도 청동기시대 내세관념의 상징물로 바라보면서 장송의례에서 검이 어떤 의미로 인식되었는지를 구체화해 본 것이다. 사회적 지위를 상징하는 위세품이자 의기로 여겨져 온 청동검 및 마제석검은 생전에는 신분 상징물이었더라도 사후의 장송의례에서는 다른 의미로 인식되었을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적색마연호를 영혼의 호로 바라보는 관점의 연장선상에서라면, 영혼이 담긴 호를 보호하는 신령한힘을 지닌 무기로서의 기능을 떠올려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고고학적 근거를 찾기 위해 검과 적색마연호의위치 관계를 살펴보니 대부분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출토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장송의례에서의 검이 적색마연호를 보호하는 의미가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과는 잘 부합하지 않는다. 검과 호가 서로 다른 위치에 놓이는양상은 각각에 담긴 관념에도 차이가 있었을 개연성을 생각하게 한다. 그래서 벽사와 영혼이라는 관점을 이어가면서 장송의례에서의 검에 대한 몇 가지 발상을 제기해 보았다. 첫째, 혼백의 관념을 적용하여 적색마연호가 망자의 혼을 천상으로 보내는 통로로서의 역할이라고 할 때, 신체에 인접해 있는 검은 육신을 떠난 백이지하 세계로 무사히 갈 수 있도록 지켜 주는 역할이라는 생각이다. 둘째, 분묘와 시신을 사악한 기운으로부터지킨다는 벽사의 기능으로서, 개석이나 벽석 등 신체와 동떨어진 곳에 놓인 검은 망자의 백이 있는 육신과 그공간인 분묘를 지키는 상징물일 것이라는 추정이다. 셋째, 장송의례에 사용된 검은 칼집 없이 날을 드러낸 채로 부장하였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의도적인 파검이나 벽석 사이에 꽂힌 검 등은 칼집의 존재를 생각하기 어렵다. 넷째, 김유신과 주몽의 보검 이야기처럼 고대 문헌에는 검의 신비성과 주술성이 묘사되어 있어 영검이자 신검으로서의 성격이 부여되었다. 특정의 검에 신성한 힘이 깃들어 있을 것이라는 인식의 연원을 찾아 거슬러 올라간다면 청동기시대 장송의례용의 단검에 다다르지 않을까.

    영어초록

    This paper looks at the dagger and the jar as objects symbolizing perceptions of the afterlife in the Bronze Ag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considers the meaning of the dagger in funeral rites. It is easy to think that the bronze dagger or the stone dagger,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an object symbolizing social status, was buried in a state of being worn around the waist; but it was not and has been excavated from various locations within the tomb.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even if it was a status symbol during the owner’s lifetime, it came to be recognized in a different way in funeral rites after death. As an extension of the perspective of viewing the red burnished jar as the soul jar, it is possible to think of the dagger’s function as a weapon with divine power protecting the jar containing the soul. Looking at the loc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dagger and the red burnished jar to find an archaeological basis for this, it can be observed that most of them were excavated from separate locations. This pattern is inconsistent with the idea that the dagger in funeral rites would have been meaningful in protecting the red burnished jar. The pattern in which the dagger and the jar are placed in different positions reminds us of the possibility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dea contained in each. So, while continuing the perspective of ‘defeating evil’(辟邪) and soul, some ideas about the dagger in funeral rites were raised. First is the idea is that the dagger adjacent to the body protected the soul, allowing it to go to the underworld safely, given that the red burnished jar served as a passage for sending the soul of the dead to the sky. Second is the idea in which it is assumed that the dagger, which is separated from the body, is a symbol that protects the body and tomb from evil energy. Third is the idea that the dagger used in funeral rites was buried with the blade exposed and without a sheath. This is because the appearance of revealing the blade without a sheath is more appropriate for the magical notion that the object will exert spiritual power. Fourth is the idea of the mystery and magic of daggers, also described in ancient literature. Going back to the origin of the perception that the dagger contained divine power, one will arrive at the dagger used in funeral rites in the Bronze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