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柳健休의 『異學集辨』에 나타난 불교 비판 의식 (Consciousness about the Buddhist critique that appeared in the Ihagjibbyeon(『이학집변』) of the Lyu-gunhyu(류건휴))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2.06
32P 미리보기
柳健休의 『異學集辨』에 나타난 불교 비판 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10호 / 149 ~ 180페이지
    · 저자명 : 김순미

    초록

    류건휴의 『이학집변』은 필사본으로서 미간행본이다. 이것을 종택에서 기탁받아 2004년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영인하여 간행하였다. 때문에 이 책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 단계이며, 19세기의 성리학자였던 류건휴가 이학을 어떻게 보았는지 한 눈에 알 수 있는 자료다.
    19세기는 많은 외래 문물과 함께 다양한 학문이 수입되고 있을 때였다. 그러나 오히려 주자학으로 무장된 학자들은 성리학을 제외한 모든 학문을 正學에 반하는 異學 내지는 異端으로 간주하고, 정학을 기필코 사수하여야만 조선 사회가 유지된다는 신념으로 목소리에 날을 세워가며 비판하고 나선다. 그 중에 하나가 『이학집변』이다.
    『이학집변』에서 비판하고 있는 18가지 이학 중에서, 필자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선불」편에만 주목하였고, 삼봉 정도전의 「불씨잡변」과 비교하면서 「선불」편의 특징을 드러내었다. 「선불」편은 「불씨잡변」보다 500년이나 지난 후대에 저술된 것으로써 「불씨잡변」을 직접 거론하고 있지는 않다. 그렇지만 그 비판 시각을 유지하면서 훨씬 더 많은 조목과 내용을 담고 있다. 「불씨잡변」은 19조목이고, 「선불」편은 102조목이니 양적으로 봤을 때는 더 적극적인 비판 논의가 있었을 듯하나, 실상 불교 교리에 대한 치밀한 비판은 「불씨잡변」을 뛰어넘었다고 말하지는 못한다. 특징적인 것은 선학과 불학을 구분 짓고 선학의 폐해를 더 집중적으로 비판하고 있다는 것, 부조가 불교를 받들 경우 후손으로서 취해야 할 범절에 대해서 언급한 것, 그리고 36조목은 척불을 하거나 호불을 한 실존 인물들의 이름을 직접 거론하고 그들의 행적을 살핀 점들이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대야가 앞 시기의 불교 비판보다 더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면은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An Ihagjibbyeon(『이학집변』) written by Lyu-gunhyu(류건휴) was not a published manuscript.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photoprinted this manuscript donated by Chongga(宗家) in 2004. The research on Ihagjibbyeon(『이학집변』) is in its beginning stage. Ihagjibbyeon(『이학집변』) is a valuable resource that demonstrates how Lyn-gunhyu, the 19thcentury Confucian scholar interpreted Ihag(異學).
    The 19th century observed the import of many foreign cultural relics and the acceptance of a verity of fields of study from abroad. However, Confucian scholars kept their beliefs that orthodox Neo-Confucianism(주자학) is the only valid studies, while other fields of interest were criticized. Other studies other than orthodox Neo-Confucianism(주자학) were challenged and were not accepted, with the belief that a fair study(正學) was the only way to strengthen Chosun Dynasty. Ihagjibbyeon(『이학집변』) is the one of those take.
    This study focuses on “the Zen-Buddha article” in its comparison with Bulssijapbyeon(「불씨잡변」). The Zen- Buddha article” was published 500 years after Bulssijapbyeon(「불씨잡변」) and did not directly make connections to Bulssijapbyeon(「불씨잡변」), it contains more extensive and critical perspectives Buddhism.
    Bulssijapbyeon(「불씨잡변」) consists of 19 provisions and might be assumed to have more aggressive critique about Buddhism than the Zen-Buddha, considering its quantative character- 102 provisions. However, Zen-Buddha article(「선불」편) could not further Bulssijapbyeon(「불씨잡변」) with its critical analysis of Buddhism. What we can observe from Bulssijapbyeon(「불씨잡변」) in terms of the critical analysis of Buddhism include the following: the distinction between the Zen and Buddhism, the disclosure of critique about negativity of Zen(禪學) the elaboration of rules for posterity of Buddhists, and lastly, the direct achievement records of Buddhists and anti-buddhists (included in 36 provision). From this perspective, we can argue that Lyu-gunhyu(류건휴) has more critical, concrete, and practical critique of Buddhism than the existing historical documents from the p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