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성동 마을만들기의 거버넌스 특성 분석: 시민참여 및 시민주도의 관점에서 (The Characteristics of Daesung-dong Community-Building Governanc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6.11
30P 미리보기
대성동 마을만들기의 거버넌스 특성 분석: 시민참여 및 시민주도의 관점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역개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28권 / 4호 / 155 ~ 184페이지
    · 저자명 : 김상민, 김현호, 하혜수

    초록

    2000년대 후반 이후 우리사회에서 마을만들기가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보다 급격한 산업화·도시화에 따른 지역공동체의 와해, 그리고 이에 따른 지역적·사회적 문제 발생에 대응하기 위한 처방적 접근에 기반한다. 특히 마을만들기는 마을이라는 공간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이 궁극적인 목적이기 때문에 주민을 포함한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동의, 협력이 없이는 성공할 수 없는데, 이는 곧 어떻게 하면 바람직한 거버넌스를 구축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으로 귀결된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의식에 토대를 두고 최근 새로운 방식의 마을만들기 모델로까지 주목을 받고 있는 대성동 마을만들기 프로젝트의 거버넌스 구조와 작동방식을 분석해보고, 그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론적 논의에서는 마을만들기의 개념 및 단계, 그리고 거버넌스 관련 이론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성동 마을만들기 거버넌스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우선 거시적인 측면에서의 제도적·맥락적 요인(환경적, 정치·경제·사회적, 제도적)은 마을만들기 발전 단계와 각 단계별 거버넌스 구조와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또한 주체와 내용의 질적·양적 변화에 따라 마을만들기의 발전 단계를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주요 주체와 활동의 주요 내용, 전략, 특성 등을 분석한다. 이러한 시기별 발전 단계는 거버넌스의 구조와 특성과도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되는데, 이 연구에서는 마을만들기 거버넌스의 과정적 요인인 참여성, 책임성, 네트워크 및 상호작용의 세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다.
    대성동 마을만들기 프로젝트의 참여주체 및 거버넌스는 한반도의 분단 상황에서 민통선 이북에 자리한 지정학적 특성과 상당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었다. 토지가 미수복된 상황에서 주택의 소유권 행사가 거의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행자부, 지역발전위원회, 경기도, 파주시 등 행정기관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행자부는 거버넌스 구축 및 과정에서‘ 중개자’(broker) 혹은‘시민참여 촉진자’(civic enabler)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마을 내·외부의 다양한 인적·물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연계시키고 동원할 수 있었다. 특히 대성동 사례에서 두드러졌던 점은 종래 행정주도의 거버넌스에서 벗어나 시민단체나 이들의 집단지성이 마을만들기에 대거 참여하는 시민참여적 거버넌스로 변화시켰다는 점이다. 집단적 시민요소 활용을 위한 온․오프 라인 상의 마을만들기와 관련된 직접적인 이해관계자 뿐 아니라 일반 시민, 다양한 시민사회의 행위자들이 참여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채널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특징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대성동과 같이 특수한 여건에서 정부 주도로 마을만들기가 계획되고 시민참여가 활성화되는 민관 협력적 마을만들기는 특수 지역의 마을만들기 활성화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The expansion of community-building since the late 2000 seems to be basedon the prescriptive approach, which aims to solve the increased local and socialproblems due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particular, theparticipation of wide stakeholders and their collaborative efforts through the ‘formationof collaborative governance’ have been emphasized as a key strategy to proceed withdiverse community-building activities successfully. Given this significance of collaborativegovernance approach, this paper examines the Daesungdong Community Project in thecity of Paju, especially focusing on how their community building governance has beenstructured and processed. The case study shows that in those special areas, the role ofcentral and local government was very critical in initiating the community-buildingproject. The national government took a role of network broker or civic enabler, whichfacilitated the effective mobilization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within/beyond thecommunity. In particular, the case demonstrates the transformation of thegovernment-initiated community=building governance to a civic participatory model,where diverse actors in civil society and their collective intelligence made a meaningfulcontribu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지역개발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