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말 자전거 복장 논란과 여성의 대응(들) (The Controversy over Women’s Cycling Dress and Their Responses in the Late 19th Centur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1.12
39P 미리보기
19세기 말 자전거 복장 논란과 여성의 대응(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영국연구 / 46호 / 103 ~ 141페이지
    · 저자명 : 배혜정

    초록

    본 논문은 사상 최초로 자전거 열풍이 분 1890년대 영미권에서 여성의 자전거 복장을 두고 벌어진 논란과 이에 대한 여성들의 다양한 대응 및 전략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세기말 요동치는 젠더 담론의 양상을 파악하고 초창기 페미니즘 운동의 한 단면을 드러내는 것이 목표다. 기존 연구처럼, ‘여성이 자전거를 탈 때 얼마나 바지를 입었는지’ 같은 양적 결과만을 본다면 여성과 자전거를 둘러싼 당대의 복잡한 시대상을 그려낼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은 자전거 복장에 대한 여러 엇갈리는 주장과 반응을 두루 살피는 한편, 여성의 사이클링을 지지하면서도 바지류의 ‘합리적 복장’에는 의견이 갈리는 대목에 특히 주목했다.
    19세기 말 자전거를 탄 여성 대다수가 합리적 복장을 꺼리고 치마를 입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들이 당대의 젠더 규범을 묵묵히 따랐다고 단선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 자전거 복장을 통해 다양한 전략을 구사했기 때문이다. 어떤 이는 ‘신여성’의 상징인 자전거를 사회적으로 ‘안전하게’ 타기 위해 치마를 입었고, 또 다른 이는 자전거를 더 널리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품위와 명예를 담보한다는 기존 여성복을 내세웠다. 그리고 소수지만 합리적 의복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은 여성도 있었다. 자전거를 발판으로 개혁복을 대중화하고 복식개혁의 저변을 확대하려는 대의를 지향한 쪽이었다. 여성에게 전에 없는 활동성을 부여한 자전거를 통해 여성의 몸을 해방하는 ‘자유의 옷’을 홍보한 이들의 목표를 고려하면, 합리적 복장으로 자전거를 탄 여성이 비율상 소수일지라도 페미니즘 역사에서 의미가 적지 않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ontroversy over women’s cycling dress in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bicycle craze which start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o find the various responses of women cyclists to it, in order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the early feminist movement.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several conflicting arguments about women’s cycling dress.
    It was the skirt that remained the dominant form of dress adopted by women cyclists at the turn of the century.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women cyclists followed or maintained the gender norms just because they adopted traditional clothing or gave up ‘rational dress’ for bicycling. This is because they used various strategies through bicycling dress. Some wore skirts to ride “safely” a bicycle as a symbol of a ‘new woman’, while others insisted on conventional clothing that signalled femininity and respectability in order to promote cycling to women more widely. And there were also a few women who stuck to rational dress to the end. They strove to expand dress reform movement using women’s cycling dress as a foothold. Even if there are small number of women cyclists in rational dress, their cause is significant in feminist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국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