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갯벌지역의 어로활동과 어로신앙 (The fishing Activities and Fishery Faith in Foreshore Region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09.06
29P 미리보기
갯벌지역의 어로활동과 어로신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도서문화』 / 33호 / 229 ~ 257페이지
    · 저자명 : 이경엽

    초록

    갯벌은 수많은 생물의 서식지이자 다양한 어업문화를 낳고 전승해온 배경이다. 어민들은 갯벌 속에 깃들어 살면서 다양한 민속지식을 창출해왔다. 어로 기술과 도구를 통해 갯벌 환경에 적응해왔으며, 그와 연계된 유무형의 토착지식을 전승해왔다. 그리고 갖가지 의례를 통해 초자연적인 존재와의 소통을 도모하고 풍어와 어로 안전을 축원해왔다.
    갯벌 어로는 갯벌의 생태환경 조건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물때’라는 생태적 시간은 어로의 적절성을 가늠하는 기준이 되며, 어민들은 그것에 맞춰 어로활동을 하고 의례를 수행한다. 생태적 시간과 어로력(漁撈曆)․의례력(儀禮曆)이 긴밀하게 연계돼 있음을 볼 수 있다.
    갯벌지역 어로신앙의 특징은 갯바위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더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네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어로 종류별 의례의 대응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해 고기를 잡는 갯벌 어로의 원리와 의례의 수요가 상관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갯벌지역의 정치(定置) 어로작업이 대부분 개인 또는 집안 단위로 수행되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
    둘째, 갯제의 지속과 변화를 볼 수 있다. 현행 갯제에 남아 있는 도깨비고사의 흔적은, 어로 방식의 변화와 관련된 의례적 대응 과정을 보여준다. 현행 갯제는 해조류 양식(養殖)이 등장 한 이후에 새로운 전승력(力)을 확보해서 전승되고 있지만, 재래의 내용을 일정 부분 담고 있다. 이것을 통해 갯제의 지속성과 변화를 볼 수 있다.
    셋째, 여성의 주도적 참여를 볼 수 있다. 공동체신앙의 일반적인 양상에 비추어볼 때, 여성들이 갯제를 주도하는 것은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그 배경으로, 어로활동 주체와 의례 주체의 동일성, 여성 생식력과의 관련성, 도깨비신앙과 여성의 관련성을 들 수 있다.
    넷째, 기풍의례적(祈豊儀禮的)인 주술종교성(呪術宗敎性)이 두드러진다. 밀물에 제사를 지내고, 상황을 연출해서 풍어를 가져다준다고 여기는 도깨비(진서방, 김서방) 부르기 놀이를 하며, 김 농사가 잘 된 마을의 갯벌을 퍼다가 갯벌에 뿌리는 것은 주술적인 사고와 연관 있다. 그리고 갯제 직후에 해산물 채취 흉내를 내고 해산물을 육지로 퍼올리는 모의적 동작을 하는 것도 주술적 원리에 기초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Foreshore is the background which is the home for numerous creatures and which has given birth to various fishery culture and transmitted it. Fishing people have lived on foreshore and created various cultural knowledge. Fishing techniques and tools have allowed them to survive in foreshore regions and fishing people have transmitted native culture which is involved with them materially or immaterially. In addition, through various rituals, they attempted to communicate with the supernatural beings and wished for a heavy catch and safe fishery.
    Foreshore fishery has accepted the ecological condition of foreshore just the way it has been. ‘Multae’, a biological time, is the criterion to judge the appropriateness of fishery; fishing people catch fish in accordance with it and conduct rituals. We can observed that biological time, fishery timetable, and ritual timetable are closely related.
    The characteristics of fishery faith in foreshore regions appear more concretely in comparison with the rocks on the sea shore region. There are more characteristics. Firstly, there is the correspondence among the rituals for each fishery. This shows the relation between the principle of foreshore fishery which us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de to catch fish and the demand for rituals. Also, fishery station work is conducted individually or in family has is related to it as well.
    Secondly, there is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foreshore ceremony. The traces of goblin offering remnant in the current foreshore ceremony display the process of ritual correspondence which is related to the changes of the method. The current foreshore ceremony, after the emergence of seaweed farming, has gained new momentum and is being transmitted, containing some of the existing contents. Through this,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foreshore ceremony can be observed.
    Thirdly, we can observ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woman. Observe the general aspects of community faith, it is quite remarkable that women lead the foreshore ceremony. For that, the identity of subject of fishery activities and the ceremony, the relation with the female productiv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blin faith and women can be given.
    Finally, there is evident customary sorcery religiosity. It is related to the sorcery thinking: offering sacrifices to the tide, staging and performing the calling the goblin (Mr. Jin and Mr. Kim) which is considered to bring a heavy catch, spreading sand from the foreshore of the town which had a good seaweed harvest. In addition, performing the seafood catching after the foreshore ceremony and performing simulated motions to bring up seafood unto the earth can be said to be based on sorcery princip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