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배일기에 기록된 가족 사별(死別)과 유배객의 심적 상태 - <적소일기>와 <신도일록>을 중심으로 (Family bereavement and mental state of exiles as recorded in the exile diaries - Focusing on and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1.11
27P 미리보기
유배일기에 기록된 가족 사별(死別)과 유배객의 심적 상태 - &lt;적소일기&gt;와 &lt;신도일록&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55호 / 51 ~ 77페이지
    · 저자명 : 조수미

    초록

    유배라는 형벌을 이해할 때 그것이 갖는 정치적 의미에 지나치게 집중하게 되면, 그 형벌이 살던 곳에서의 추방, 가족과의 격리 등을 동반하는 일상의 파괴였다는 사실을 간과하기 쉽다. 그러나 유배가 가진 징벌적 성격은 가족 구성원을 강제로 이산(離散)시킴으로써 유배객과 그 가족들에게 가하게 되는 정신적 고통에도 그 중요한 본질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김약행의 유배일기 〈적소일기〉와 이세보의 유배일기 〈신도일록〉을 대상으로 하여 일기에 나타난 가족 이산, 특히 사별(死別)의 정황과 그 기록 속에 드러나는 유배객의 심적 상태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유배일기에는 대체적으로 유배객이 부고장을 받는 것으로 가족과의 사별에 대한 서술이 시작된다. 평상시와 같았다면 오히려 부고장을 다른 이들에게 보내주어야 하는 입장의 유배객들이, 오히려 뒤늦은 부고를 통해 가족의 죽음을 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지는 상장례 절차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도 다른 이를 통해 전해 듣고, 유배객 본인은 직접 참여하지 못하는 정황들이 계속해서 이어진다.
    그리고 그 서술 속에서 발견되는 유배객들의 두드러진 심적 상태는 자책(自責)과 여한(餘恨)이라는 말로 요약이 가능하다. 가족의 죽음에 자신의 유배가 직·간접적으로 그 원인을 제공했다는 사실 때문에 느끼는 괴로움은 자책으로 이어지고, 장례 절차에도 제대로 참여하지 못하는 유배객으로서의 처지는 되돌릴 수 없는 여한을 남기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유배는 가족의 죽음이라는 일대 사건 앞에서 그 징벌적 특성이 부각 된다. 가장 가까운 이를 절망과 기다림 속에서 죽음으로 이끌기도 하고, 영원한 이별 앞에서도 방관자로 머물 수밖에 없도록 하는, 일견 매우 가혹한 형벌이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When considering the political meaning behind punishment of exile, it is easy to overlook the fact that it was a destruction of daily life accompanied by the expulsion from one’s place of residence and isolation from one’s family. The punitive nature of exile in forcibly dispersing family members was the main sourceof the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 amongpeople in exiles and their famili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mental state of those in exile by focusing on the circumstances of family separation, especially during bereavement, by referring to exile diaries such as Kim Yak-haeng’s 〈Jeoksoilgi〉 and Lee Se-bo’s 〈Sindoilrok〉.
    It is significant to note that when an exile received news about the death of his family he experienced self-blame and regret. This desperate pain of believing that his exile may have directly or indirectly contributed to the death of his family leads to self-blame, Further, being an exile who cannot properly participate in the funeral process creates an irreversible sadness.
    Thus, the punitive nature of exile is significant in the major event of death in the family. The cruel punishment, of exile not only leads one’s family to death while they wait in despair but also forxes exiles to remain as bystanders eternal separation from their family. them. This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why exile was chosen as the second most severe punishment right after the death penal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