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두대간 운영관리전략을 위한 방문객의 이용행태와 만족도 조사 연구 (A Survey on the Usage Pattern and Satisfaction among Visitor for a Strategy for the Operational Management of Baekdudaegan)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8.06
12P 미리보기
백두대간 운영관리전략을 위한 방문객의 이용행태와 만족도 조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22권 / 2호 / 17 ~ 28페이지
    · 저자명 : 정태열, 김차권, 강기래

    초록

    백두대간은 우리나라의 자연관과 인문관이 융합된 독창적인 지리시스템이다. 산과 물을 대립의 관계로 보지 않고 하나의 유기적 관계로 인식한 생태적 공간 개념이 우리의 전통적 지리관이었다.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백두대간의 의미와 명칭은 사장되어오다 1980년대 들어서 산경표의 발견 이후 그 명칭과 지리체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재조명되고 있다. 이러한 명칭의 발견과 확산은 뜻있는 개인과 사회단체들이 백두대간에 대한 보존의노력을 시작으로 정부에서도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법적인 지위를 얻기에 이르렀다. 백두대간이이처럼 짧은 시간에 법적인 지위를 얻고 백두대간 보호지역까지 설정한 것은 백두대간이 가지는 민족적인 동질성,생물다양성과 압도적인 생태적 지위를 가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백두대간에 대한 정책의 방향은 1990년대부터 태동되어 약20여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 백두대간을 바라보는기본적인 정책의 시각은 정부나 시민단체, 산악인단체, 지방자치단체, 환경부, 산림청, 국립공원관리공단 등 집단에 따라 상반되기도 하고 동일한 공감대를 형성하기도 한다. 이는 각 단체의 행정 정책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정책으로 백두대간을 관리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 백두대간은 우리나라의 남북을 가르는 701km의 길이를 가진 생태축이며, 이 생태축을 지나는 각 지자체와 국립공원, 산림청 관리 국유지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그 이해관계 또한 복잡 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백두대간 방문객을 대상으로 기본적인 이용행태와 만족도 조사, 그리고관련 정책의 입안에 대한 정책적 개념을 제시 하고자 수행 되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18년 까지 4년간 백두대간 방문객을 대상으로 1:1 대면 설문하여 2,519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백두대간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이용행태는 3,40대의 방문자가 주말을 이용하여 당일로 주로 방문한다.백두대간 방문지까지의 소요시간은 3시간 정도 걸리며, 3회 이상 백두대간을 방문한 사람들이 가장 많다. 거주지는 서울·경기도와 충청도 거주민이 가장 많으며, 방문비용은 약 4만 4천원 정도를 소비하며, 등산에 대한 정보는인터넷을 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두대간 방문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9개 선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의 순위는 백두대간의 방문객들이 느끼는 원시적 경관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다고 할수 있다. 그 다음으로 등산을 하고 난 후의 성취감과백두대간까지의 접근의 편리성의 순서로 나타났다. 방문객을 대상으로 유추한 백두대간에 대한 기본적인 정책은자연생태계와 자연환경에 대한 보전을 우선 시 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백두대간에 대한 정책은 아직도 진행 중이고, 관련법의 제정과 정비에 따라 이제는 더 이상 개발을 중지하고 복원과 마루금의 연결에 중점을 둔 정책을 기본적으로 견지하고 있다. 하지만 백두대간과 연관된 이해 집단과 행정단위의 정책과 이익에 따라 서로 간의 이해가 상충되기도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이해 상충을 완화 시키고 관련 집단간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기본적인 자료의 제공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Baekdudaegan is the geological system unique in Korea, which incorporates the traditional views on ecology and humanity. Korea’s traditional geological system used to be a concept of ecological space, in which the mountains and water were not recognized to be in a competitive relationship, but rather in an organic relationship.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ignificance of Baekdudaegan and the geological titles in the system were fell into oblivion until the 1980s when Sangyeongpyo, a geographical book that describes the Baekdudaegan system, was discovered. From then on, the titles and the geological system have been getting a fresh recognition. The rediscovery of the place names and promulgation thereof were initiated by pioneering individuals and social organizations who were devoted to preserving Baekdudaegan, and at last, the government answered to this endeavor by enacting a law for protecting Baekdudaegan. Baekdudaegan received legal status and became the criteria for setting Baekdudaegan Retention Area, and these were partly possible because of the fact that Baekdudaegan holds the national identity, biodiversity, and enormous ecological status. The policies related to Baekdudaegan is no longer than two decades since they started in the 1990s. The basic policy perspectives toward Baekdudaegan are sometimes contradictory or in consensus among different entities such as the central government, civil organizations, mountain climbers’ clubs, regional government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In other words, each agency conducts different administrative policies, and this makes it challenging to manage Baedudaegan as a whole with an identical policy. Baekdudaegan is an ecological axis with a length of 701km across the north and south of the Korean peninsula. As this axis passes through a number of regional governments, national parks, national forests under the management of the Korea Forest Service, the interests of various agencies are intricately intertwine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the visitors who visited Baekdudaegan between 2015 and 2018. The survey aims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usage pattern and satisfaction and to provide a policy concept that might help future policy-making in related issu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survey are as follows: This study conducted a face-to-face survey of the visitors who visited Baekdudaegan during a four-year period between 2015 and 2018. In total, 2,519 respons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swers, the most typical usage pattern of Baekdudaegan was of visitors in their 30s or 40s who tripped Baekdudaegan for a day on weekends. They traveled about three hours to reach Baekdudaegan, and most of them had visited Baekdudaegan more than three times. Residents of Seoul, Gyeonggi-do or Chungcheong-do were most common among the Baekdudaegan visitors; visitors spent about 44 thousand Korean won; and most visitors utilized information on the internet concerning the climbing plans. This paper selected nine factors that most influenced the satisfaction of the visitors to Baekdudaegan and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regards to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dependent variables, the primitive landscape appeals the most to the satisfaction of the visitors. The sense of accomplishment when reached the top and the accessibility to the Baekdudaegan followed as the second and third prominent factors.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s of the visitors, suggests that the basic policy for the Baekdudaegan give priority to the conservation of natural ecosystem and natural environment. The policies for Baekdudaegan are still unfolding, and as related laws have been enacted, the fundamental direction of policies have shifted toward connecting ridges, reverting past reckless developments on Baekdudaegan and prohibiting further damage on the ecosystem. Nevertheless, various interest groups and administrative units which have a stake in Baekdudaegan conflict in regards to the future of Baekdudaegan.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can provide a basic data for promoting mutual-understanding and relieve these conflicts in interests between those ent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산림휴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