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축제콘텐츠 활용 박물관의 관람객 참여프로그램 기획 전략 연구 (A Study on Planning a Visitor’s Participation Program utilizing Festival Contents for Museum)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0.12
39P 미리보기
축제콘텐츠 활용 박물관의 관람객 참여프로그램 기획 전략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콘텐츠 / 59호 / 67 ~ 105페이지
    · 저자명 : 유동환

    초록

    2000년대 이후 문화환경의 변화는 박물관 내에서 수동적인 관람에서 능동적인 참여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시민교육프로그램에서 참여체험에 대한 질적 심화를 요구 하는 방향으로 변화 하고 있다.
    그동안 대표적인 공간콘텐츠(Spatial Contents)인 박물관전시와 대표적인 실연콘텐츠(Live Contents)인 축제이벤트는 ‘공간’과 ‘시간’이라는 콘텐츠의 주요 존재형식의 차이로 쉽게 만나기 어려웠다.
    그러던 중 한국에서는 1995년 지자체 시행 이후 급격히 개최 횟수가 증가하고 있는 지역축제 가운데 박물관과 주변 유적지에서 개최되는 축제 대부분 주제가 ‘전통문화축제’이며‘교육형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박물관과 협력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유럽에서도 각종 ‘미디어아트축제’가 발전하여 ‘학제간 융합과 국제협력’에 기반한‘예술경연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박물관과 협력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박물관 주변의 문화자원을 콘텐츠소재로 활용하고, 공통의 무대(박물관과 주변 장소), 공통의콘텐츠(교육형 프로그램), 운영인력(도슨트, 전문가, 파트너십 기업과 기관 등)들을 함께 활용하며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본고에서는 박물관과 연계하여 개최 하는 축제의 주제, 무대, 체험콘텐츠(참여와경연), 운영인력 4대요소가 박물관 전시의 3요소인 전시물(오브제), 전시공간, 전시콘텐츠와의 상호 융합을 통해서 관람객 참여를 제고 하는 기획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국내의 대표적인 전통문화 교육축제로 선사유적 문화제에서 출발하여 박물관 설립 이후에도 계속 프로그램을 발전시킨 ‘연천구석기축제’ 와 ‘전곡선사박물관’의 관계를 국내사례로 분석한다. 다음으로 세계적인 미디어아트축제로부터 과학예술박물관 설립을 촉진한 오스트리아의 ‘아르스 일렉트로니카(Ars Electronica)’의 핵심 센터(Future Lab.)와 페스티벌의 관계를 해외사례로 분석한다.
    위의 2가지 사례로부터 박물관과 축제 콘텐츠의 상호 융합을 통한 발전적인 기획전략을 도출한다. 이를 기반으로 지역시민이 지역축제를 통하여 지역박물관에 협력과경연 프로그램을 스스로 만들고 참여하면서 체험도를 제고하는 기획전략을 발전시킨다.

    영어초록

    Since 2000, cultural environment is changing in the direction from passive viewing in the museum to emphasizing active participation, and direction of strengthening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ies and demanding deepening of the quality of participation experiences in children's education programs.
    Museum exhibitions, which are representative spatial contents, and festival events, which are representative live contents, were difficult to meet easil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existence form of the content platform such as space and time. However, local museums and local festivals, which have increased sharply since 1995, the local government was implemented, utilizing local cultural resources as content materials, and use common stages(museums and historic sites), common contents(educational contents), and operating personnel(docent, teacher, Cultural experts, etc) began to develop together.
    I will analyze that the effect of the theme of the festival held in connection with the museum, the stage, the experience content(contest and participation), and the four elements of the operating manpower on the planning of the participation program by fusion with the three elements of the museum which are objects, space, and exhibition. For this I will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eoncheon Paleolithic Festival' and the Jeongok Prehistory Museum, which started as a cultural festival held at a prehistoric site as a representative traditional cultural festival in Korea, and continued to develop the program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museum as a domestic case. Next I will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stival and the core center(Future Lab.) of Austria's(Ars Electronica) which promoted the establishment of a science and art museum from a global media art festival as an overseas case in this paper.
    I derive a developmental planning strategy through the fusion of museum and festival contents as implications from the above two cases. Planning strategy is derived to enhance the level of experience while local citizens participate in regional museums through contests or cooperation through regional festivals based on this. finally this show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museu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콘텐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