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거노인을 위한 공동생활시설의 공간구성과 이용실태연구 - 경기도 지역의 카네이션하우스 6개 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f Space Composition and Usage Pattern of Shared Living Facilities for the Solitary Elderly - Based on the Six Carnation Houses in Gyeounggi Province -)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5.02
9P 미리보기
독거노인을 위한 공동생활시설의 공간구성과 이용실태연구 - 경기도 지역의 카네이션하우스 6개 시설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4권 / 1호 / 34 ~ 42페이지
    · 저자명 : 문자영, 신경주

    초록

    독거노인의 수적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독거노인의 사회적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고자 2013년에 시범 실시된 경기도지역 독거노인을 위한 노인공동생활시설(일명 카네이션 하우스)를 대상으로 연구 하였다. 연구는 현장관찰과 실측조사, 사진촬영, 면담조사로 2014년 4월부터 10월까지 진행 되었다. 연구내용은 평면유형과 전체면적 및 공간별 면적구성, 접근성 및 시각적 개방성, 보유가구 및 기기종류, 시설의 이용실태 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았다.
    1)거실공간은 면적을 확보하면서 방을 함께 배치하여 공동 작업이나 여가는 거실에서, 휴식은 방에서 이루어지게 계획한다.
    2)부엌은 공간 면적과 입구의 폭, 수납공간을 확보하며, 거실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개방성을 주어 계획한다.
    3)화장실은 문 폭을 80cm 이상으로 넓히고, 단차를 낮추어 계획한다.
    4)현관은 이용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신발장을 확보하도록 계획한다.
    5)거실과 방의 창문은 앉아서 외부조망이 가능하게 80cm 이하 높이로 하며, 면적에 적합한 개수의 창문을 계획한다.
    6) 독거노인을 위한 노인공동생활공간은 지역 독거노인들의 요구와 의견을 반영하여 이용시간 및 운영형태에 대한 적절한 기준을 보완, 지역별 노인요구에 맞는 공간으로 활용 하도록 계획한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s about shared living facilities for the solitary elderly in Gyeonggi province (so called “Carnation House”), which was opened after 2013. These facilities aim to help solving the social problems of the growing number of the solitary elderly.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pril 2014 to October 2014 by using observation, measurement, photography, and interview methods. This research reviewed floor plan, area, accessibility, visual openness, and furniture and equip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e need for rest area and the protection of privacy, livingroom should at least be equipped with a variable wall or have a separate room. Secondly, for the kitchen plan, considering the fact that large number of people move simultaneously, kitchen entrance should be widened or LDK type is preferable. Thirdly, the bathroom entrance should be widened to at least 800mm and should have barrier free design. Fourthly, porch entrance should be planned to secure enough space and shoe cabinets for multiple users. Fifthly, to allow the users to enjoy outside view, the windows of living spaces should be placed no higher than 800mm from the floor level. Finally, for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people prefer the location be at the center of the village or near home. In addition, location with easy accessibility for the elderly is advisable. Therefore, establishing local guidelines for shared living facilities for the solitary elderly is advisable. When establishing local guidelines, local characters, culture and usage patterns should be consid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