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시 이벤트를 활용한 도시 지역공동체 형성의 과제 4개 도시 사례의 비교연구 (Measures for Enhancing the Sense of Local Community Through Urban Events: A Comparative Study of Four Korean Citie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2.06
28P 미리보기
도시 이벤트를 활용한 도시 지역공동체 형성의 과제 4개 도시 사례의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35권 / 2호 / 101 ~ 128페이지
    · 저자명 : 황익주, 정헌목

    초록

    본 연구는 도시에서 벌어지는 각종 행사들 가운데 도시 축제와 기념의례, 스포츠경기 등과 같이 다양한 배경을 지닌 주민들의 사회적 통합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가진 행사들을 ‘도시 이벤트’라고 개념화하고, 그를 활용한 지역공동체 형성의 실천적 과제들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논의한다. ‘도시 이벤트’들은 도시 지역사회가 지닌 다양한 상징적 자원들 가운데 특정한 것들을 선택하여 지역정체성을 대내외적으로 표현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해당 행사를 통해 단순히 지역정체성을 표현해내는 것만으로는 도시 이벤트가 지역공동체 형성에 성공적으로 활용될 수 없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적 문제 제기이다. 도시 이벤트를 통한 지역정체성의 표현은 해당 도시의 주민들이 행사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경험을 통해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이 함양되는 경우에야 비로소 도시 지역공동체 형성에 기여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하에서 본 연구는 강릉시의 단오제, 광주 5·18 기념행사, 부천시의 국제만화축제, 그리고 포항시의 스틸러스 축구단 등 네 가지 주목할 만한 사례를 선정하여, 이렇게 다양한 유형의 도시 이벤트에서 각기 어떠한 구성요소들의 결합을 통해 해당 도시의 지역정체성이 표현되는지 고찰한다. 이어서 이들 사례를 바탕으로, 주민들의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을 증진시켜 궁극적으로 도시 지역공동체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도시 이벤트를 만들기 위해 어떤 실천적 과제들이 필요한지 논의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도시 이벤트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적절한 행사의 소재와 형식을 갖추어야 하며, 지역주민들의 긍정적 참여 경험의 지속성을 확보해야 하고, 축제 운영에 관련된 효율적인 민·관 협력적 거버넌스 구조를 구축해야 하며, 도시의 전체적인 공간 구도를 고려하면서 효율적인 이벤트 공간의 디자인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 등을 주요한 실천 과제로서 제시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oposes the new concept of ‘urban events,’ which encom- passes those events, including urban festivals, commemorative rituals, artistic and sport events, of which the function is the social integration of diverse local population of various scale, ranging from neighbourhood to the entire city. This study also suggests several measures for enhancing the sense of local community through those urban events. Organizers of various urban events throughout Korea have attempted to express, both externally and internally, the identity of the locality concerned by selecting particular, out of myriads of, symbolic resources locally available. In our view, however, it is not enough for the urban event to express the presumed identity of the locality. It is only when the local people come to experience the sense of belonging to the locality through participating,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in a specific urban event that the urban event may be said to be functioning as a catalyst for the enhancement of the urban local community.
    Based upon the afore-mentioned problematique,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s four different, more or less successful, cases of urban events found in four different Korean cities: the Gangneung Danoje Festival, the Gwangju May 18 Memorial Ceremony, the Bucheon International Comics Festival, the Pohang Steelers Football Club. We first examines, in each case, how different types of urban event manages to express the identity of the city concerned by combining various elements of symbolic resources locally available. We then discusses, vi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ur cases, the practical measures needed for the urban event to function eventually as the catalyst for the formation of urban local community through successfully enhancing the sense of community amongst its participants. We suggest four such practical measures; firstly, appropriate item and format of the urban event, and secondly, sustainably securing the positiv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the urban event on the part of local people, and thirdly, forming efficient governance structure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related to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urban event, and fourthly, building up proper design of the urban event space which is in tune with the overall spatial design of the city concer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