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가로서의 디지털 개인정보 - 데이터의 개인정보보호법 및 계약법적 의의 - (Daten als Entgelt - Die datenschutzrechtliche und vertragsrechtliche Bedeutung der personenbezogenen Daten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7.11
38P 미리보기
대가로서의 디지털 개인정보 - 데이터의 개인정보보호법 및 계약법적 의의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사법 / 24권 / 4호 / 1521 ~ 1558페이지
    · 저자명 : 김진우

    초록

    디지털 개인정보의 가치는 매우 상이할 수 있다. 그것은 쉽게 현실화될 수 있는 고도의 경제적 가치를 가질 수 있다. 온라인 이용자가 일정 회원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그 처리에 동의해야 한다. 이때 온라인 사업자는 흔히 “무료서비스”를 운운하지만, 그 서비스는 피상적으로만 공짜이고 개인정보가 금전 유사의 가치 즉 대체화폐로서 기능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 글은 온라인 이용 시에 제공되는 개인정보의 의미를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지를 개인정보보호법 및 민사법적 관점에서 시론(試論)적으로 탐색하였으며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온라인 사업자에게 제공된 개인정보는 반대급부로 보아야 할 경우가 있으며, 그때의 인터넷 서비스 이용관계는 쌍무적 교환관계라고 하겠다. 여기서 두 가지 유형이 구별되어야 한다. 첫째, 개인정보의 입력이 있어야 비로소 급부가 가능한 경우이다. 예컨대 가격비교포털을 이용하려는 사람은 그가 어떤 제품을 찾는 것인지를 밝혀야 한다. 또 타지의 호텔을 인터넷에서 예약하려는 자는 언제 어느 곳을 방문할 것인지를 입력해야 한다. 이와 유사한 예로는 온라인 판매자에게서 물품, 용역 또는 디지털콘텐츠를 구매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유형에서의 개인정보 제공은 대가라고 할 수 없다. 둘째, 인터넷 서비스 제공에 본래 필요하지 않은 개인정보를 이용자가 입력해야 하거나 개인정보의 유통에 동의하여야 비로소 사업자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이다. 다시 말해 이용자가 그의 개인정보를 입력하지 않거나 개인정보의 처리에 동의하지 않으면 온라인 사업자가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려 하는 경우이다. 온라인 사업자에 의한 개인정보처리는 그 정보를 제공한 이용자의 직접적 관여 없이 이루어지고 이용자는 개인정보의 가격형성에 있어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한다. 이와 유사한 유형으로 개인정보의 입력이 급부제공에 필요하기는 하지만 온라인 사업자가 개인정보에 대하여 필요한 바를 넘는 권리를 부여받는 경우가 있다. 이들 유형에서의 개인정보는 금전적 가치가 있는 대가 내지 대체화폐로 보아야 한다. 이 경우 인터넷 서비스 이용자는 사업자에 대하여 유상계약의 당사자로서의 법적 지위나 미성년자보호를 위한 민법규정의 적용을 주장할 수 있다. 이것이 개인정보가 대가로서의 의미를 가지는지를 탐구해야 할 실천적 의미라고 하겠다. 우리에게도 디지털 개인정보의 경제적 가치를 반영한 해석론과 입법이 절실히 요청된다.

    영어초록

    Häufig muss der Nutzer einer im Internet angebotenen Leistung für diese zwar keine monetäre Vergütung zahlen. Er muss aber Daten eingeben, und aufgrund seines Nutzungsverhaltens werden automatisch weitere Daten erzeugt. Der Wert der Daten kann unterschiedlich sein. Sie können einen hohen ökonomischen Wert haben, der leicht zu realisieren ist. Wenn der Anbieter der Leistung berechtigt ist, diese Daten beispielsweise zu Werbezwecken zu verwenden, fragt sich, ob hierin ein Entgelt im zivilrechtlichen Sinne liegt. Klassischerweise kommt der Einwilligung die Funktion eines Rechtfertigungsgrunds zu – wer in eine Verletzung seiner Rechtsgüter einwilligt, schließt damit die Rechtswidrigkeit dieser Verletzung aus. Gerade im Fall der informationellen Selbstbestimmung aber kommt der Einwilligung darüber hinaus zunehmend auch eine andere, neue Funktion zu, nämlich die eines Kommerzialisierungsinstruments. Mittels Einwilligung macht sich der Einzelne den wirtschaftlichen Wert seiner personenbezogenen Daten zunutze, er willigt in eine Verarbeitung seiner personenbezogenen Daten ein, um dafür im Gegenzug auch vom Datenverarbeiter eine Leistung (kostenlose Online-Dienste etc.) zu erhalten. Die Einwilligung stellt so betrachtet die Gegenleistung in einem gegenseitigen Vertragsverhältnis dar, es kommt zu einem Tausch „Einwilligung gegen Leistung“. Der folgende Beitrag behandelt die rechtlichen Fragestellungen, die mit einer solchen Entwicklung einhergehen. Es liegt jedenfalls dann kein Entgelt vor, wenn sich die entsprechende Leistung ohne die Eingabe der Daten nicht erbringen lässt und sich der Anbieter der Leistung auch nicht mehr Rechte an Daten einräumen lässt, als zur Erbringung der Leistung erforderlich ist. Wenn die Erbringung einer Leistung davon abhängig gemacht wird, dass der Nutzer Daten eingibt, die für die Erbringung der Leistung eigentlich nicht erforderlich sind, oder sich der Anbieter weitergehende Rechte einräumen lässt, als zur Leistungserbringung notwendig ist, liegt dagegen Entgeltlichkeit nah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