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애니메이션 <십만 개의 냉소적 유머>에 나타난패러디 분석 (The study of The Parodies in the Chinese Animation, “One Hundred Thousand Bad Joke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8.12
21P 미리보기
중국 애니메이션 &lt;십만 개의 냉소적 유머&gt;에 나타난패러디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53호 / 85 ~ 105페이지
    · 저자명 : 조욱이, 박성원

    초록

    중국은 자국의 정책적 지원을 기반으로 2003년부터 10년간 다수의 애니메이션 회사를 설립하고 작품을 제작했다. 이때 제작된 애니메이션은 대부분은 어린이를 타깃으로 한 작품이었는데, 중국에서 대중들이 애니메이션은 어린이를 위한 상품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성인들도 즐길 수 있는 애니메이션 제작이 미흡했는데, 이런 틀을 깬 작품이 2012년에 방영된 <십만 개의 냉소적 유머>이다.
    <십만 개의 냉소적 유머>는 패러디를 통해 성인 관객층의 흥미를 이끌어냈다. 전통적인 패러디의 정의는 원작을 풍자하고 조롱하는 표현이었지만, 다양한 매체에 활용되면서 오마주 등의 존경의 의미를 포괄하게 되었다. 현대에는 중립적이고 장난스러운 키치적 성향까지 가지게 되었고, 문학, 미술, 영화, 음악, 건축,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대중문화에 활용되며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패러디 개념이 적용된 애니메이션 <십만 개의 냉소적 유머>의 두 번째 극장판을 중심으로, 중국 애니메이션이 어떻게 패러디를 사용해 관객들을 사로잡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는 <십만 개의 냉소적 유머>가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글로벌 시장의 확장으로 엄청난 문화홍수를 경험하고 있는 중국의 사회문화적 현상을 패러디를 통해 꼬집고 있다. 이를 비판적 패러디 사례와 혼성모방적 패러디 사례로 나누어 살펴보면 비판적 패러디는 대중 인지도가 가장 높은 원작을 모방하여 관객들이 공감되는 사회적 문제를 풍자한다. 혼성모방적 패러디는 여러 나라의 영화, 애니메이션, 만화, 회화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을 모방하여 관객들에게 고금동서의 문화상품들을 다시 추억할 수 있게 만든다.
    결론적으로 현대 중국 사회에서 애니메이션에 쓰일 수 있는 최적의 패러디는 다양한 세계적 문화코드를 혼합하면서 사회 이슈 문제를 지적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In 2003, based on its own policy support, China established a number of animation companies and produced works for 10 years. Most of the animations produced were directed at children, because the public think animation is a commodity for children. For that reason, there was a lack of animation that adults could enjoy, and the work that broke this framework was the <One Hundred Thousand Bad Jokes>that was aired in 2012.
    <One Hundred Thousand Bad Jokes> arouses interest of adult audiences through parody. The definition of the traditional parody was a satirical and mocking expression of the original, but it has been used in all kinds of media, including the meaning of respect such as hommage. In modern times, it has become a neutral and playful kitsch, and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popular cultures such as literature, art, film, music, architecture, and animation. This study tries to analyze how Chinese animation captures the audience by using parody, focusing on the second movie version of the animation <One Hundred Thousand Bad Jokes>.
    As a result of the study, <One Hundred Thousand Bad Jokes2> is parodying the social-cultural phenomenon of China which is experiencing a huge flood of culture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expansion of global market. There are two types of parody in the animation. One is critical parody and the other one is pastiche parody. The critical parodies satirize the social problems by imitating the most popular works. The pastiche parodies make it possible for the audience to review classical works in various fields such as films, animations, cartoons and paintings of various countries.
    In conclusion, the optimal parody that can be used in animation in contemporary Chinese society is to point out the social issue problem by mixing various global cultural cod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