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5세기 갈리아 귀족들의 개종 배경 연구 재고찰 (Revisiting the Christianization of the Fifth-century Gallic Aristocrat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0.06
28P 미리보기
5세기 갈리아 귀족들의 개종 배경 연구 재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89호 / 139 ~ 166페이지
    · 저자명 : 나현기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5세기 갈리아 귀족들의 상당수가 금욕적인 기독교(수도원)로 개종하고 이어서 감독이 된 배경과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 중요 이론들을 소개하고, 재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5세기 초 갈리아는 게르만족의 침입으로 사회, 정치적 변화를 경험했다. 이러한 변화는 갈리아 지역에서 “교회의 귀족화”를 낳는다. 말하자면 귀족들이 빠른 속도로 개종하고 교회로 유입된 것이다. 마틴 하인젤만(Martin Heinzelmann) 과 랠프 마티젠(Ralph Mathisen)은 갈리아 귀족들의 개종 과정을 면밀하게 연구한 중요한 학자들이다. 그들은 갈리아 귀족들이 어떻게 전통적인 로마 귀족 문화와 기독교적 가치관을 통합시켰는가를 밝히고자 했다. 하인젤만은 갈리아 감독들이 대부분은 귀족 출신이고, 그들의 정치, 사회적 특권을 교회의 감독직으로 확장시켰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마티젠은 하인젤만의 주장을 발전시키면서 5세기 초반 귀족들은 그들의 전통적 가치와 역할을 감독직을 통해서 여전히 발휘될 수 있음을 발견했고 개종의 사상적 근거를 형성해 가기 시작했다고 주장한다. 게르만족의 침입으로인한 정치, 사회적 변동의 시기에 귀족적 가치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이해가 상당수의 귀족들이 무난하게 수도원에 입문하고 감독이 되는 과정을 받아들일 수 있는 근거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논문은 5세기 이후 갈리아 귀족들 개종 배경 이해에 여전히 영향을 주고 있는 두 학자의 이론들을 재검토한다. 그들은 당시 갈리아 문헌들을 폭넓게 연구하여 잘 정리된 이론을 제시했지만 바로 이것이 문제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그들이 살펴본 다양한 문헌들의 배경과 상황과 저자의 의도들을 충분히 반영했는가 하는 의문 때문이다. 특별히 5세기 대표적인 수도 문헌들인 마르티누스(Martinus of Tours), 파울리누스(Paulinus of Nola), 호노라투스(Honoratus of Arles)와 관련된 문헌들의 의도와 배경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이 수도 문헌들은 5세기 갈리아 귀족들의 개종 원인에 대해 또 다른 중요한 요소들을 제공하고 있다.
    그것들은 기독교적 이상에 대한 순수한 헌신, 예를 들어 세속적인 지위의 포기와 가난한 이들에 대한 자선과 선교적 행위들이 그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갈리아 수도원의 설립자들이 제시하는 갈리아 귀족들의 개종 원인에 대한 연구를 분석하면서 개종 원인에 대한 정치, 사회적 배경뿐 아니라 종교적 배경 역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examine why and how the fifth-century Gallic aristocrats became ascetic bishops in the church. The socio-political changes of the early fifth-century Gaul caused “the aristocratization of the Church in Gaul.” That is to say, the nobility gradually chose to be monks and bishops in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Gaul. Martin Heinzelmann and Ralph Mathisen have been concerned with why and how aristocrats dedicated themselves to ascetical and episcopal lives. They take into consideration how the Gallic aristocrats incorporated their traditional noble values and identity into Christian ideals. Heinzelmann argued that Gallic bishops came from Roman noble families and thus had a tendency to regard episcopal office as an extension of social privilege. Ralph Mathisen develops Heinzelmann’s argument. He concludes that the early fifth-century nobility began to reinterpret their traditional aristocratic stature. In particular, the noble class came to value ecclesiastical offices much more highly. This new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values led many Gallic aristocrats to become ascetic and attracted many to the bishoprics. As late-antique scholarship suggests, this can be understood as survival strategy in a transitional world.
    However, this article attempts to revisit the theses of these two influential scholars. It argues that the simplicity of their well-ordered arguments raises problems. Unfortunately, they are not much concerned with the diverse contexts and intentions of the Gallic documents, especially of the ecclesiastical writers: Martion of Tours, Paulinus of Nola, and Honoratus of Arles. Gallic ascetic writings provide another significant motivational element: pure commitment to Christian ideals (giving up secular noble status, giving alms to the poor, and enhancing missionary work). Thus, this paper shows that as Gallic monastic forefathers, their lives act as an important motivation for the nobility to ascetic conversion to Christia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