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나라 유적 출토 개 유체 고찰 (A Study of Dog-Remains from Archaeological sites in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1.02
22P 미리보기
우리나라 유적 출토 개 유체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37권 / 5 ~ 26페이지
    · 저자명 : 김건수

    초록

    우리나라에서 개는 동삼동패총, 서포항패총 등에서 출토되어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신석기시대부터 사육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런데 이런 개의 특징은 종래 알려져 있는 것이 거의 없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풀기 위하여 전국의 유적에서 출토된 개 유체를 살펴본 결과, 개를 사육하면서 수렵, 애완, 식용 등 여러 가지로 이용한 것 같다. 패총과 저습지에서 각 부위가 산발적으로 출토되는 예는 식용으로 이용된 후에 폐기된 것으로 보이며, 무덤(순장)과 관련되어 출토되는 것들은 제의·공헌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개 유체를 계측하여 크기를 분석한 결과, 신석기시대의 북한지역의 개는 중형, 남한지역의 개는 중형 이하, 청동기시대에는 전국적으로 중형 이하의 개가 확인되었다. 철기시대의 늑도패총과 삼국시대의 기장 고촌유적에서 출토 예는 대형부터 소형까지 다양성을 갖게 됨을 볼 수 있다. 즉 품종이 다양화되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통일신라시대 이후에는 개 유체가 출토되는 유적의 절대 수가 부족한데 이는 연구자들의 개에 대한 인식에 문제가 있다고 보인다.

    영어초록

    In Korea, dogs have been breeded from Neolithic Age to today, as dog-remains were excavated at the site such as Dongsam-dong shell midden site and Seopohang shell midden site in Neolithic Age. But we don't know about charateristics of these dogs.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I searched dog-remains that were excavated at sites in Korea. As a result, dogs seemed to be used as hunting dogs, pets, food as well as breeding. Dog-remains that were excavated sporadically at shell midden and swampy place seem to abandon after using as food. Dog-remains that were excavated at tomb (buried alive with dead) seem to be related to sacrificial rites and contribution .
    I measured these dog-remains and made a analysis of their size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dogs of northern part of Korea were medium size, and the dogs of southern part of Korea in the Neolithic Age were lower medium size, and the dogs in the Bronze Age were lower medium size. I could find out various sized dogs at Neukdo shell midden site in the Iron Age and at Kochon swampy place site in Three Kingdoms period. So I think that the kinds of dogs were very diverse at these Age. Since Unified Silla period, the sites that dog-remains were excavated are rare, because researcher's recognition on the dog-remains are lac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