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시대, 칸트의 무관심적 감상이 갖는 의미: YouTube 음악 영상물에 대한 감상자의 댓글을 중심으로 (The significance of Kantian disinterested appreciation in digital age : On the basis of listeners’ comments about music videos on YouTub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0.09
26P 미리보기
디지털 시대, 칸트의 무관심적 감상이 갖는 의미: YouTube 음악 영상물에 대한 감상자의 댓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97호 / 209 ~ 234페이지
    · 저자명 : 양희진

    초록

    본 논문은 오늘날 음악 감상 문화를 칸트가 발견한 무관심적 감상의 특징을 통해 이해해 보려고 한다. 이때 무관심적이라는 것은 개인적 취향이나 신념과 같은 관심을 결부시키지 않고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을 뜻한다. 현재 음악의 디지털화는 우리의 감상 방식을 혁신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우리는 공연장에 가지 않아도, 언제 어디서나 음질 좋은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칸트는 사심이 없는 상태에서 작품을 평가하게 되면, 자신의 미적 감정을 모든 사람과 공유할 수 있다는 강한 기대감을 갖게 된다고 설명한다. 과거에는 물리적으로 작품에 대한 보편적 공감이 실제로 가능한지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했지만, 지금은 인터넷 기술로 이것이 가능해졌다. 필자는 그런 의미에서 일단 온라인상에서의 일어나는 모든 음악감상 활동을 순수한 공감적 행위로 간주해본다. 대표적인 소셜미디어 사이트 YouTube에서 음악적 공감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살펴보는데, 특별히 감상자들의 댓글에 주목한다.(2장) 음악 댓글에는 곡에 대한 감상자의 공감적 정서가 담겨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본론에서는 방탄소년단의 《Black Swan》뮤직비디오와 조성진의《베토벤,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A장조 소나타 3번》공연 영상에 대한 외국인들의 댓글들을 사례로 든다. 필자는 두 음악 영상물에 대한 댓글들을 감상자 입장에서 살펴보려고 한다. 어떤 댓글평에는 동의를 표하기도 하도, 일부 댓글에는 그 표현방식을 비판하기도 한다. 이는 무관심적 감상이 어떤 방식으로 가능한지 그 본보기를 보여줌으로써 그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우리의 마음 안에서 작품을 평가하는 능력은 취미이다. 칸트에 따르면 취미는 자신의 평가가 진정 무관심적 관조에 의한 것인지를 검사한다. 이러한 검사 능력이 미숙하면, 우리는 관심에 의한 판단을 하고도 이를 발견하지 못한다. 그러나 다른 사람의 작품평의 의도를 의심하고, 비판하는 활동은 우리의 평가 능력을 향상시킨다.(3장, 4장) 칸트는 성숙한 취미를 가진 자를 문화의 계승자로 간주한다. 디지털 시대의 감상자들은 창작자이기도 하다. 감상자가 직접 음악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하는데, 이러한 공유가 오늘날 예술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 방식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음악을 이미지 영상을 보며 감상하게 되면서 자극적인 음악 영상물도 많아진 것이 사실이다. 이에 대한 분별력을 가지려면, 우리는 사심 없이 작품을 감상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나의 감상 활동이 편향된 의도에 의한 것은 아닌지 계속해서 성찰해 보는 것이다.(5장)

    영어초록

    This thesis tries to understand today’s culture of listening to music through discussions about Kant's disinterested appreciation. Disinterestedness means to evaluate the value of art works without interest such as personal taste or belief. The digitalization of music has innovatively transformed our listening types in music. Kant argues that it is difficult for us to listen to music disinterestedly because of the sensitivity of its sound. In the digital age, however, there are many opportunities to enjoy various genres of high-quality music anytime, anywhere, even if not visiting a concert hall with good sound facilities. Kant explains that an appreciator who evaluates a work without interest expects to share his aesthetic feelings with everyone. In the past, it was physically impossible for us to confirm universal sympathy for works, but now the technology of internet makes this possible. So, once I regard all activities of listening to music that take place online as pure reactions of sympathy. Especially I pay attention to comments of music from listeners, to consider how musical sympathy occurs on YouTube, a representative social media site.(Chapter 2) I think that its comments contain the listener's sympathetic emotion for music. To understand it better, in the main chapters are given the examples of the comments of foreigners on BTS's music video of Black Swan and Jo Seong-Jin's performance video of Beethoven's Sonata No. 3 in A Major for Cello and Piano. I try to examine their comments on the two music video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stener. I agree to some comments, but criticize the way some of the comments are expressed. This is to explain the necessity of disinterested appreciation by showing a model of how it is possible. It is taste that is ability to judge works in our mind. According to Kant, it tests in our mind whether the judgment truly results from disinterested contemplation. But if the testing ability of our taste is inexperienced, we don’t find it although the judgment of taste is based on some interests. However, doubting and criticizing the intentions of others’ comments of music improve our taste.(Chapter 3 and Chapter 4) Kant regards appreciators with mature taste as successors of culture. Listeners in the digital age can also be creators. They create and share music content themselves, and sharing music in itself is a way of inheriting and developing art culture today. However, it is true that the number of stimulating music videos has increased as music has been enjoyed through images of video. To have discernment about them, we need to try to appreciate art works disinterestedly. It is to constantly reflect on whether my appreciation activity is due to biased intentions.(Chapter 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