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1세기 국제규범으로서의 ‘정당한 전쟁’: ‘보호해야 할 책임’이 갖는 논쟁점과 전망 (A New Just War as an International Norm in the 21st Century : Issues and Prospect of Responsibility to Protect)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8.09
24P 미리보기
21세기 국제규범으로서의 ‘정당한 전쟁’: ‘보호해야 할 책임’이 갖는 논쟁점과 전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문사회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과 인식 / 42권 / 3호 / 73 ~ 96페이지
    · 저자명 : 조의행

    초록

    본 연구는 보호해야 할 책임이라는 개념이 국제사회의 규범으로서 어느 지점에 있는지를 분석했다. 본 연구는 특히 이 개념이 중세부터 논의되기 시작해 현대에 이르기면서 정착된 정당한 전쟁론에 그 규범적 기초를 했다는 것에 주목했다. 보호해야 할 책임은 유엔 사무총장은 캐나다 등의 국가와 NGO등과 함께 보호규범이라는 주권과 인권의 절충적인 대안을 통해 인도주의 개입을 국제규범화 시키고자 했으며, 실제로 2005년 유엔총회를 거쳐 명문화됨으로써 제도화에 성공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호해야 할 책임은 여전히 국제사회의 규범으로는 내면화 과정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할 수 있다. 첫째, 보호해야 할 책임은 유엔헌장이 명시해 완전한 국제규범으로 자리 잡고 있는 주권의 원칙과 직접적으로 충돌하고 있다. 여전히 일부 국가들은 보호해야 할 책임의 실질적 이행을 주권의 침해로 간주하고 있다. 더군다나 개입의 수행(Jus in Bello) 또한 인도주의 개입 논쟁과 마찬가지로 개입국가의 국익과 정치에 연관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전후처리의 정당성(Jus post Bellum)의 측면에서도 보호책임은 실패국가의 재건과 부흥의 당위성은 강조하지면 개입 이후에 적절하게 이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통설과 달리 보호책임이 국제규범으로서 내면화 과정에는 이르지 못하고 그 전망 또한 밝지 않다고 결론을 내렸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shed light on where “Responsibility to Protect(R2P)” as an international norm is located in International Society.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modern ‘Just War Theory’ which plays theoretical roles in forming R2P. This concept has been developed by the three norm entrepreneurs: UN Secret General, State like Canada and NGOs. Thanks to their great efforts to establish R2P, it was able to be codified in UN General Assembly in 2005. Yet, it is hard to claim that R2P is firmly internalized in international society. Through the angle of the just war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R2P does not function—preventing humanitarian issues—designated in the R2P report. Second, the military interventions de fact are still controversial due to hidden political purpose and interests of outsiders. Finally, there has not any suitable case of implanting a concrete plan for rebuilding and rehabilitating the society in failed stat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claims R2P is not fully internalized as well as its prospect is not bri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상과 인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