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봉준호 영화의 내러티브 공간이 갖는 지정학적 의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Geopolitical Meanings of Narrative Spaces in Bong Joon-ho’s Film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5.03
29P 미리보기
봉준호 영화의 내러티브 공간이 갖는 지정학적 의미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화연구 / 63호 / 259 ~ 287페이지
    · 저자명 : 한미라

    초록

    봉준호 영화는 공간을 통해 서사를 진행시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공간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건을 배치하면서공간을 장소화시키는 것이 봉준호 영화의 내러티브 전략이다. 모든 영화들이자신의 프레임에 의해 포착된 공간 이미지를 통해 당대의 현실을 드러내고사회문화적 문제에 직간접적으로 말걸기를 시도한다는 점에서 영화의 공간은 장소화 된다. 봉준호 영화가 의미 있는 지점은, 특히 현실 세계의 특정 공간을 포착함으로써 그 공간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문화적 상황의 지형도를 그려내고 이것은 한국 사회의 근현대라는 시간성을 불러오고 있다는 것이다.
    그의 영화는 “다양한 질감의 흔적과 주름들이 엉켜 시간과 장소들을 의미화시키는” 로컬적인 특성을 보인다. 영화가 끊임없이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것들을 물질화하고 구체화하면서 작동한다고 볼 때, 봉준호 영화가 갖고있는 개별적인 공간적 팩트들이 어떤 내재적 가치와 의미를 만들어내며 한국 사회의 근현대라는 시간성으로 확장되고 있는지, 그 역동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봉준호 영화의 로컬리티는 상상의 정체성이 아니라, 현실의 장소에 바탕을 둔 실재하는 정체성 그리고 중심에 의해억압당하는 주변성, 소수성 등의 가치를 가져왔다는 점에서 무척 흥미롭다.
    그의 영화는 좁게는 한국의 1980년대-2000년대 또는 넓게는 1945년 해방이후 현재까지 서울 주변부 공간(<플란더스의 개>에서의 거여역, 서울 주변부 화성이라는 소도시(<살인의 추억>), 근대화의 상징이자 주한미군에 의해독극물이 방류됐던 한강(<괴물>), 골프장이 들어서며 개발이라는 이름으로착취되고 있는, 이름을 알 수 없는 지역의 소도시(<마더>) 등의 공간이 그시대의 사회적 사건들과 어우러진 특수한 장소성으로서의 로컬리티를 형성하고 있다.
    봉준호 영화의 내러티브가 재미있는 지점은 ‘원인과 결과의 논리적 관계’가 항상 엇나간다는 점이다. 그의 영화의 엔딩은 항상 예기치 못한 방향으로 비켜가는데 이러한 엉뚱한 결말과 코미디적 요소는 영화 전체의 내러티브에 균열과 틈을 만들며, 본고가 주장하는 봉준호 영화의 로컬리티로 작용한다. 그의 영화에서는 한국의 근현대사라는 특정한 시간들에 의해 서사가앞으로 곧추 나아가지 못하고(않고) 옆으로 비켜서게 된다. 말하자면 한국의 로컬리티라는 특정성의 시간적 경험들이 서사의 인과관계를 방해하며탈구하게 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영어초록

    In Bong Joon-ho’s films, space has a very important part because itmakes narration progress. It’s his narrative strategy to make the space intoa place as events are being set there as time goes on. All his films revealcontemporary realities and tries to talk about socio-cultural problemsdirectly and indirectly with spatial images he chooses into the viewfinder.
    His film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pture particular places in the realworld and picture the topography of socio-cultural situations around them,calling up the temporality of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in Koreansociety.
    His films are local, which “give times and places meanings in tangledmarks and wrinkles of various textures.” If cinema functions byphysicalizing and concretizing something ideal and abstract, it’s interestingto study the dynamic relationship of what internal value and meaningsseparate spatial facts in his films make and how they extend to thetemporality of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in Korea. The locality ofhis films is special for carrying real identities existing at actual places,not imaginary identities, and the value of marginalities and minoritiessuppressed by the “center.” The locality of specific placeness is formed incombination of the modern times in Korea of, narrowly, 1980’s-2000’s, or, widely, from the Liberation(1945) to the present (for which the U.S.
    Forces have been stationed in Korea) and the sites like the periphery ofSeoul (Geoyeo Station in Barking Dogs Never Die), Hwaseong, a smallouter city (in Memories of Murder), the Han river which is the symbol ofthe Korean modernization and a disgraceful place toxic chemicals aredischarged by the U.S. Forces (in The Host), and a nameless small citywhich is being exploited under the label of development typified by agolf course construction (in Mother) with social happenings in thosetimes.
    It’s an interesting point in the narrations of his films that “the logicalrelationship between cause and effect” is always beyond usualexpectations. The ending parts of his films tend to be odd and blank,which break a narrative and make many chasms with comical elements.
    Their narrations can’t go straight and deviate from the usual way with thespecific tim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 That is, the specifictemporal experiences of Korean locality interrupt and dislocate thecontinuity of nar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8 오후